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1985년과 86년 두 차례, 여름방학에 충북 괴산군 연풍면 유상리(현재 도로명 유상4리)로 농촌활동을 간적이 있었다. 그때만해도 마을엔 젊은이는 물론이고 청소년들을 위시해서 어린이들도 제법 많았다. 

낮에는 논과 밭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저녁엔 마을회관 등지에서 청소년과 어린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호기심 많은 어린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서울에서 온 대학생 언니오빠들 구경도 할겸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해 주었다. 소위 '관계기관'에서 나오신 분들은 혹시라도 불온한 내용(의식화 교육)이 있을까 호시탐탐 이런저런 채증을 했고, 시대가 시대이니만큼 농활에 참여한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농촌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당시는 소갑파동으로 홍역을 앓았었던 시기였다. 그야말로 '소값이 개값보다 싼' 지경에 이른 것이다. 이에 대한 정부의 음모론(?)과 무능함, 그간 농촌지역이 소외될 수밖에 없었던 원인, 새마을운동에 대한 비판과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짓밟은 정권.... 시대가 치열한 만큼 모두들 치열했고, 치열했던만큼 그때의 기억은 선명하게 각인되었다.

당시만해도 증평우시장에서 비포장도로를 한 시간여 들어와야만 올 수 있었던 연풍면 유상리, 그래도 살만했다. 그리고 그런 상황에서 30년이 지나면, 농민이 깨어있으면 그때보다는 훨씬 더 살기 좋아질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은 의심할 수 없는 전망이었다. 그러나 30년만에 찾아간 그곳은 쇠락의 길을 걷고 있었다. 농민이 깨어있지 않아서가 아니라, 국가정책의 희생양이 되어 버린 것이다.

마을 정자에서 만난 동네분들의 증언에 의하면 아이들의 울음소리와 웃음소리는 텔레비전을 통해서나 듣는다고 했다. 실제로 들어본지는 오래라고 했다. 농사일을 할 수 있는 이는 이제 20여 명도 남지 않았다고 했다. 애써 떠올렸던 30년 전의 이름을 대니, 그 집안은 모두 도회지로 떠났다 했고, 뒤이어 들려주는 이야기는 그리 밝은 소식이 아니었다. 기억을 더듬어 그 집을 찾아보았지만, 쇠락하는 풍경 속에서 과거의 기억은 무용지물이었다.

마을 길 초입, 무너진 흙돌담에 홀로 외로이 피어난 붉은 봉선화만이 "30년 전 이맘때도 내가 피어있었지?"하며 맞이한다.

'울밑에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길고 긴날 여름철에 아름답게 꽃필적에 어여쁘신 아가씨들 너를 반겨 놀았도다' 봉선화라는 노래가 절로 떠오르는 풍경이었다.
▲ 울밑에선 봉선화 '울밑에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길고 긴날 여름철에 아름답게 꽃필적에 어여쁘신 아가씨들 너를 반겨 놀았도다' 봉선화라는 노래가 절로 떠오르는 풍경이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누군가의 삶의 터전이었던 폐가, 이들은 왜 여기를 떠나야만 했을까? 더 나은 삶을 찾아 떠났을 터이니, 더 나은 삶을 살아가고 있길 바랄 뿐이다.
▲ 폐가 누군가의 삶의 터전이었던 폐가, 이들은 왜 여기를 떠나야만 했을까? 더 나은 삶을 찾아 떠났을 터이니, 더 나은 삶을 살아가고 있길 바랄 뿐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넉넉하진 않았어도 그럭저럭 살아갈 수 있었던 시절도 있었을 터이고, 아무리 노력해도  쪼들리는 삶을 감당할 수 없었던 시절도 있었을 것이다. 더는 감당하기 버거운 때에 정든 삶의 터전, 고향을 등졌을 것 같아 마음이 우울하다.
▲ 폐가 넉넉하진 않았어도 그럭저럭 살아갈 수 있었던 시절도 있었을 터이고, 아무리 노력해도 쪼들리는 삶을 감당할 수 없었던 시절도 있었을 것이다. 더는 감당하기 버거운 때에 정든 삶의 터전, 고향을 등졌을 것 같아 마음이 우울하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폐가 부엌지붕에 매달려있는 말벌집, 추구공보다도 훨씬 더 컸다. 민간에서 말법집은 간경화증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 말벌집 폐가 부엌지붕에 매달려있는 말벌집, 추구공보다도 훨씬 더 컸다. 민간에서 말법집은 간경화증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흙벽과 시멘트벽, 그리고 구멍난 지붕틈 사이로 쏟아진 햇살과 허물어지는 집들을 감싸며 점령해가는 덩굴식물들이 만들어낸 그림자 풍경.
▲ 그림자 흙벽과 시멘트벽, 그리고 구멍난 지붕틈 사이로 쏟아진 햇살과 허물어지는 집들을 감싸며 점령해가는 덩굴식물들이 만들어낸 그림자 풍경.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흙돌담 사이의 골목길, 한때 이곳은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울려 퍼지던 곳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점점 쇠퇴해가고, 이 흙돌담이 무너지면 다시 세워질 것 같지 않다.
▲ 연풍면 유상리 흙돌담 사이의 골목길, 한때 이곳은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울려 퍼지던 곳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점점 쇠퇴해가고, 이 흙돌담이 무너지면 다시 세워질 것 같지 않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그래도 그곳에서 살아가는 분들이 있다. 마을의 역사를 줄줄이 엮고 계신 노인분들이 대부분이다.  아이들의 울음소리를 들어본지가 오래되었다고 하시며, 쇠락해가는 고향에 대한 애착은 있으나 어떻게 지켜갈지 난감하단다.
▲ 유상리 그래도 그곳에서 살아가는 분들이 있다. 마을의 역사를 줄줄이 엮고 계신 노인분들이 대부분이다. 아이들의 울음소리를 들어본지가 오래되었다고 하시며, 쇠락해가는 고향에 대한 애착은 있으나 어떻게 지켜갈지 난감하단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정갈하게 가꿔진 잔디와 여름 햇살에 말라가는 들깨가 놓여진 마당, 농촌지역에서 만나는 집들마다 이렇게 사람들 살아가는 흔적이 가득하면 얼마나 좋을까?
▲ 유상리 정갈하게 가꿔진 잔디와 여름 햇살에 말라가는 들깨가 놓여진 마당, 농촌지역에서 만나는 집들마다 이렇게 사람들 살아가는 흔적이 가득하면 얼마나 좋을까?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처마가 넓은 집, 여름 날 처마밑에서 비를 피하며 빗소리에 신나하던 추억, 밤이면 백열전구로 불을 밝힌 처마밑에 앉아서 이런저런 일을 하던 기억들이 새롭다.
▲ 유상리 처마가 넓은 집, 여름 날 처마밑에서 비를 피하며 빗소리에 신나하던 추억, 밤이면 백열전구로 불을 밝힌 처마밑에 앉아서 이런저런 일을 하던 기억들이 새롭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뜨거운 뙤약볕을 맞으며 밭을 정리하는 할아버지, 밭이 정갈하다. 저렇게 정갈하게 밭을 가꾸려면 얼마나 부지런해야 할지 알기에 그분의 작은 손놀림과 부지런함에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 유상리 뜨거운 뙤약볕을 맞으며 밭을 정리하는 할아버지, 밭이 정갈하다. 저렇게 정갈하게 밭을 가꾸려면 얼마나 부지런해야 할지 알기에 그분의 작은 손놀림과 부지런함에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태그:#유상리, #농촌활동, #봉산화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