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여러분, 단풍 알아요?
"..."
"산에 보면 나뭇잎이 빨갛게 변한 나무들 있죠? 겨울이 오기 전에 나뭇잎이 빨간색, 노란색으로 변하는 걸 단풍이라고 하는데, 한국 사람들은 그때 나들이를 많이 가요. 여러분도 나들이, 여행 가고 싶죠? 여행."
"네~"
"그럼, 단풍 여행 간다면 어디로 가고 싶어요?"
"제주도요"

매주 일요일, 이주노동자쉼터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이주노동자들은 수준별로 반을 구분했다고 하지만, 같은 반 안에서도 그 수준 차이가 많이 나는 편입니다. 그런 반에서 한국어가 서툰 사람들은 선생님의 질문에 잘하는 사람들을 따라 답하는 경우가 보통이지만, 그 중 유독 수줍음이 많은 사람들은 그냥 입을 닫아 버립니다.

문제는 잘하는 사람이 선생님이 원하는 대답이 아닌 엉뚱한 반응을 보였을 때입니다. 그럴 때마다 답답한 것은 선생님입니다. 그런 일은 초급반에서 매번 일어납니다.

초급반은 한글을 읽고 쓸 수 있지만 유창하지 않은 사람들로 구성된 반인데, 계절에 대한 공부를 하고 있을 때였습니다. 단풍이 무엇인지 묻는 말에는 묵묵부답이던 이주노동자들이 어디로 나들이 가고 싶으냐는 질문에 누군가 '제주도요'라고 큰소리로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다들 따라서 '제주도, 제주도'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럴 때 보면 마치 초등학교 1학년 교실을 보는 것 같습니다.

"제주도, 좋지요. 제주도 말고, 가고 싶은 산, 여러분이 알고 있는 산이 있어요?"
"..."

제주 가을  풍경
▲ 제주 억새 제주 가을 풍경
ⓒ 노미경

관련사진보기


선생님은 내장산, 설악산, 속리산, 지리산, 오대산처럼 단풍으로 유명한 산을 기대했나 봅니다. 그런데 초급반 학생들은 달리 아는 산이 없는지 또 다시 눈만 멀뚱멀뚱합니다. 그 모습에 노련한 선생님은 학생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싶지 않았나 봅니다. 바로 제주도 이야기로 넘어가면서 흥미를 갖게 합니다.

"그럼 제주도에 요즘 뭐가 유명한지 알아요? 여러분, 억새 알아요?"
"..."
"산이나 들에서 하얀 새털처럼 부드럽게 흔들리는 풀이 억새예요. 제주도는 바람이 많아서 바람이 불 때 날리는 억새가 그렇게 예쁘대요. 나중에 같이 가 볼 수 있으면 좋겠죠?"
"네~"

이렇게 이주노동자 한국어수업은 사계절을 이야기하며 제주도 억새 여행까지 한순간에 왔다 갔다 합니다. 우왕좌왕하는 것 같지만, 이주노동자들은 고단한 몸에도 다들 진지한 표정으로 한 마디라도 더 알아들으려고 노력합니다. 이주노동자들의 꿈, '제주도 여행'이 현실이 될 날이 있을까요? 그날이 언젠가는 오기를 소망하며, 시 한 수로 그들의 마음을 달래봅니다.

억새

이 가을, 바람 찬데
오름에 선 가을은 훌훌 벗을 채비에 바쁘구나
여름내내 질끈 동여메고 올린 머리
헤실바실 풀어 헤쳐
창포물인냥
갈바람에 감은 머리
어느 중년 머리숱 빠진다고 툴툴댈 때
하늘하늘 훨훨
나긋나긋
지팡이 짚었던 우리 할망 닮아
부러질듯 휘는 허리
낫질이라도 간듯 풀풀 쓰러지는가 싶더니
눕듯 일어서는 춤사위구나
그래

이 가을에 이만한 흥이 있더냐

덧붙이는 글 | https://brunch.co.kr/@princeko에도 게재했습니다.



태그:#이주노동자, #억새, #한국어교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차별과 편견 없는 세상, 상식과 논리적인 대화가 가능한 세상, 함께 더불어 잘 사는 세상을 꿈꿉니다. (사) '모두를 위한 이주인권문화센터'(부설 용인이주노동자쉼터) 이사장, 이주인권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 『내 생애 단 한 번, 가슴 뛰는 삶을 살아도 좋다』, 공저 『다르지만 평등한 이주민 인권 길라잡이, 다문화인권교육 기본교재』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