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 서교동 마당집이 북적거렸다.   

'길위의 신부'라 불리는 문정현 신부
 '길위의 신부'라 불리는 문정현 신부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백 선생님 글씨는 별 볼 일 없는데, 옷을 입혀 놓으니 그럴듯하네. 하-하. '산자여 따르라', 이 글씨, 욕심내는 사람이 많데요. 선생님 글을 보니 다 파고 싶더라고. 그런데 이거 말이에요. 먹을 확~ 묻혀가지고 붓글씨에 이런 공백이 없게 하셔야지, 왜 이렇게 칼질하기 어렵게 만드셨어요. 하-하-." (문정현 신부)

'거리의 투사'로 불리는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거리의 투사'로 불리는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중국에선 그걸 비백(획을 나는 듯이 그어 그림처럼 쓴 글씨체)이라고 했어요. 품위 있다고 했지. 우리 민중의 비백은 달라. 붓을 하도 찍으니까 녹아서 좀이 먹었어. 선비들은 그 붓을 버리는데, 무지렁이들은 그나마 붓도 없거든. 그 붓으로 쓰면 비백이 많이 생겨. 하-하-. 가난한 사람들의 비백이야! 그걸 파느라 얼마나 힘이 들었겠어."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거리의 백발 투사'와 '길 위의 신부'는 스스럼이 없이 만났다. 유쾌했다. 지난달 27일 비정규직 쉼터 '꿀잠' 건립기금을 모으려고 여는 <두 어른>전을 앞두고서다. 7월 5일부터 전시하는 백기완 소장의 붓글씨와 문정현 신부의 서각 작품 몇 점을 송경동 시인, 노순택 사진작가 등이 가져오자 늙은 주름 속에서 자글자글한 웃음이 번졌다.

두 어른은 툭툭 우스개를 던졌다. 찬우물에서 막 퍼 올린 정수가 가벼운 댓거리 속에서 불쑥불쑥 솟았다. 길 위에 서면 성난 싸움꾼이지만 손바닥으로 밥상을 내리치며 노래 장단을 맞췄다. 때론 당당했던 눈이 그렁그렁해졌다. 이런 두 어른의 '한살매'(한평생)가 이번 전시 작품에 올린 글귀에 녹아 있다. 노동자 민중들과 몸부림치면서 얻은 길 위에서의 산 깨달음이다.

이번 전시의 으뜸은 백기완 선생의 붓글씨를 받아 문정현 신부가 제주에서 나무에 새긴 공동작품이다. <산 자여 따르라>, <하늘도 거울로 삼는 쪽빛 아 그 빛처럼> 등 3점의 공동작품이 제작되었다.
▲ 천년을 실패한 도둑, 백기완 쓰고 문정현 새기다. 이번 전시의 으뜸은 백기완 선생의 붓글씨를 받아 문정현 신부가 제주에서 나무에 새긴 공동작품이다. <산 자여 따르라>, <하늘도 거울로 삼는 쪽빛 아 그 빛처럼> 등 3점의 공동작품이 제작되었다.
ⓒ 백기완 / 문정현

관련사진보기


[문정현] "심장을 깎듯이 칼과 망치를 들었다"

우선 두 어른은 속았다.

"송경동 시인이 그걸 내놓으라니 황당했지. 24시간 싸움만 하는 건 아니잖아. 시간을 죽이려고 쓸 줄 모르는 글씨를 써서 새긴 거야. 작품이라고 생각한 적 없어. 그런데 백기완 선생님이 글을 내놓으신다고 하더라고. 퍼뜩, 그 글을 파고 싶은 생각이 들었어. '다 가져와!'라고 했지. 거기에 내가 넘어간 거야. 백 선생님 이름을 들이대는 바람에 새김판을 내놓기로 했어." (문 신부)

"노순택 작가가 와서 '붓글씨를 써주면 팔아서 꿀잠에 보태겠다'고 하더라고. '택도 없는 말!', 한마디로 거절했어. 붓을 잡아 봤어야지 붓글씨를 쓰잖아. 그랬더니 느닷없이 '문 신부님이 새김판을 하니까 두 분 이름을 팔아서 돈을 만들겠다'고 하더라고. '그럼 날더러 문 신부님 들러리를 서라는 거로구나, 그러면 내가 흔쾌히 응하마!' 했지. 난 들러리야! 창피를 무릅쓰고 붓을 든 거야. 오늘도 난 들러리야. 이제부터 말 안 할래!" (백 소장)

[백기완] "한 달 동안 감옥살이하면서 썼다"

두 어른은 서로에게 속았다. 아니 속아 주었다. 비정규노동자들의 참혹한 현실이 안타까웠기 때문이다. 문 신부는 "심장을 깎는 심정으로 칼을 들고 망치질을 해 온 새김판" 70여점을 내놓았다. 백 소장은 "한 달 동안 감옥살이를 하면서 쓴 붓글씨" 40여점을 내놓았다. 이중 3점은 백 소장이 쓴 붓글씨를 문 신부가 나무판에 새겼다.

'산자여 따르라' '천년을 실패한 도둑' '하늘도 거울로 삼는 쪽빛 아 그 빛처럼'

문정현 신부가 <두 어른>전에 내놓은 작품. '과거를 팔지 말고 오늘을 살라'.
 문정현 신부가 <두 어른>전에 내놓은 작품. '과거를 팔지 말고 오늘을 살라'.
ⓒ 문정현

관련사진보기


[문정현] "과거를 팔지 말고 오늘을 살라"

문 신부에게 첫 새김판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신동엽 시인의 '껍데기는 가라'였다. 전시 작품 가운데 애착이 가는 말씀은 무엇이냐고 물었다. "지금은 엉터리로 살면서 과거에 이렇게 살았다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과거를 팔지 말고 오늘을 살라'는 작품을 꼽았다. 그는 "성서에도 이런 말씀이 있다"면서 '이 바닥에 남아 있어라', '고통 받는 사람 편에 남아 있어라'라고 소개했다.

문 : "그런데 성경 말씀만 빼고 다 가져갔더라고. 대신 백 선생님 글을 많이 팔아야 되겠어. 하-하-. 백 선생님 붓글씨는 밑바닥에서 우러나오는 글귀야. '천년을 실패한 도둑'. 이것도 칼질하면서 한참을 생각했어. 역사성과 철학이 담긴 말씀이더라고."

백 : "51년도에 부산서 기차를 타고 형님(전쟁 때 사망) 시체를 찾으러 삼랑진까지 왔는데, 못 찾았어. 그 때 기차가 안 가고 자꾸 멎었어. 아침 점심 저녁도 못 먹고 기차에 몰래 탔는데, 얼마나 배고프겠어. 나와 동갑으로 보이는 젊은 아주머니가 돌잡이밖에 안 된 아이를 업고 '따끈따끈한 달걀 사이소야~ 사이소야~' 하면서 군인들에게 팔러 다니더라고.

근데 엄마 등에 있던 아이가 자꾸 울어. 불쌍해서 안아줬어. 고맙다고 달걀 한 개랑 굵다란 소금을 주더라고. 이틀은 굶었으니까 환장했지. 입에 확~ 넣으려니까 애가 앙~ 울어. 모가지 비틀어 죽이고 싶더라고. 허-참-. 모가지를 비틀어 죽이고 싶더라니까! 결국 다 빼앗겼지 뭐. 2~3일 기차를 함께 탔기에 헤어질 때 손을 흔들다가 울었어. 그때 사람 마음을 알았지. 배고프면 별 짓 다하고 싶구나.

'천년을 실패한 도둑'이라는 것은 앗딱수(속임수)를 써서 한탕 하려다가 사람 같지 않은 것 같아서 때려치우고, 눈 딱 감고 꿀꺽 하려다가 오금이 저려서 때려치우고, 남의 피눈물을 슬쩍 하려다가 눈시울이 뜨거워서 그만뒀으니 아, 천년을 실패한 도둑이 아니냐. 그게 예술이라는 거야. 이 글귀를 보고 눈시울이 뜨거워지지 않는 사람들은 지옥도 천당도 못 가. 박근혜처럼 갈 데가 없다고. 허-허-."

백기완 소장이 <두 어른>전에 내놓은 작품.
 백기완 소장이 <두 어른>전에 내놓은 작품.
ⓒ 백기완

관련사진보기


[백기완] "하늘도 거울로 삼는 쪽빛 아 그 빛처럼"

문 : "'하늘도 거울로 삼는 쪽빛 아 그 빛처럼'을 파면서 감옥을 연상했어요. 감옥엔 빛이 없잖아요. 하루종일 있으면 창문도 아닌 구멍으로 햇빛이 들어와. 그 빛이 얼마나 귀한지 몰라. 손으로 요렇게 만져도 봤다가, 눈으로도 봤다가, 배꼽에다 맞춰도 봤다가. 그것을 보고서 백 선생이 이런 글귀를 썼나 했지. 햇빛의 고마움을 그때 알고."

백 : "사랑하는 자식들한테 옛날이야기 해줄 때, 무지렁이들은 '성황당에 가서 빌면 너에게 붙은 액을 없앤다' 이러진 않았어. 백 번 빌어봤자 액이 안 없어지거든. 강제로 빼앗겼는데, 액이 저절로 물러가겠어? 낫이라도 들어야지. 어린 손자에게 낫 들라고 할 수 없잖아. 그래서 말을 만들었어.

이 세상에는 하늘도 거울로 삼는 맑은 빛깔이 있다 이거야. 그게 쪽빛이야. 어째서 하늘도 거울로 삼는 쪽빛이 그렇게 맑느냐? 쪽빛은 맑은 물빛인데, 구정물이 들어오면 걸러내고, 썩은 강물이 오면 걸러내고, 똥물이 들어와도 걸러내서 쪽빛이야. 그래서 쪽빛을 하늘도 거울로 삼는다는 거야. 끊임없이 걸러내는 마음이 진짜 하늘도 거울로 삼는 마음이요, 하나님 마음이요, 사람의 마음이라는 거야."

[백기완] "깎아지른 바윗돌에 딱 한송이로 핀 바랄꽃이여"

'깎아지른 바윗돌에 딱 한송이로 핀 바랄꽃이여'라는 백 소장의 글귀는 비정규노동자들이 처한 현실과 희망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어떤 뜻인지 물었다.

백 : "어릴 적 산에 갔는데, 인수봉 같은 멧부리가 있어. 그 바위틈에 진달래꽃이 딱 한송이 뿌리를 내리고 있더라고. 무슨 꽃인 줄 몰랐지. 그래서 댓살 더 먹은 얘한테 물었어. "짜샤, 바랄 꽃이지"라고 말하더라고. 바랄이 뭐냐고 물으니 '짜사, 꿈이지!'라고 말해. '꿈이 뭐야?'라고 물으니 밤중에 꾸는 꿈과는 다르대. 

바랄 꽃 하나가 이만한 바윗돌, 죽은 바윗돌을 살렸어. 저 한송이가 캄캄한 밤을 하얗게 밝아오게 하잖아. 이게 바랄 꽃이야. 나 같은 할아버지는 어림도 없어. 알통밖에 없는 노동자들이 바랄 꽃이야. 꿈과 이상이 있으면 목숨을 걸고 실현하지 않으면 뒈진다 이거야! 싸우다 말면 죽는 거야. 몸은 살아도 지금처럼 죽을 수밖에 없잖아. 노동자들은 바랄 꽃이야."

문 : "현실은 비관적이에요. 욕만 해야 소용이 없고, 바랄 꽃이 있어야 하는데 누가 꽃이 될까? 말은 무성하게 많지. 실제로 그 벽 앞에 서서 견디는 사람은 없지 않느냐, 이 말이에요."

백 : "'외로운 대지의 깃발'로 시작하는 노래(잠들지 않는 남도)가 있잖아. 대지는 우리말로 '널마'야. 너른 마당이지. 문 신부님이 강정에서 띄우는 모든 뜻이 외로운 널마의 깃발이야. 그런 깃발만 여기저기서 들고 나오면, 역사의 명맥은 이어져. 우린 믿어야 해. 헬조선이다 뭐다 해서 쓰러지지 말고 '눈깔을 똑바로 뜨고 곧장 앞으로 앞으로'."

문 : "제주 강정마을에선 그 노래를 부를 때 '한라산'을 '강정'이라고 바꿔 불러요. 한 발짝만 가자. 가다가 죽자. 한 치라도 가자. 그래도 가자."

문정현 신부의 작품 <치욕>은 해군기지건설을 반대하는 미사도중 삼성물산 용역직원에게 붙들려 한움큼 뽑힌 당신의 흰 수염을 나무에 새긴 것이다. 문 신부는 "애끓는 가슴을 어찌할 수 없어 심장을 파내는 심정으로 나무를 팠다"고 말했다. 끊임없이 공사차량을 집어 넣는 삼성물산 직원에 항의하다 젊은 직원에게 멱살이 잡혔다. 사람들이 겨우 말린 후 나무 그늘에 들어 오니 신부님의 옷깃에 하얀 뭉치가 떨어졌다. 수염 한움쿰이 뽑힌 것이다. 옆에서 지켜보던 활동가는 이 수염을 버릴 수 없어 모두 모아 지금까지 간직하고 있다. 치욕은 그날 뽑힌 문정현신부의 수염이다."
▲ 치욕 문정현 신부의 작품 <치욕>은 해군기지건설을 반대하는 미사도중 삼성물산 용역직원에게 붙들려 한움큼 뽑힌 당신의 흰 수염을 나무에 새긴 것이다. 문 신부는 "애끓는 가슴을 어찌할 수 없어 심장을 파내는 심정으로 나무를 팠다"고 말했다. 끊임없이 공사차량을 집어 넣는 삼성물산 직원에 항의하다 젊은 직원에게 멱살이 잡혔다. 사람들이 겨우 말린 후 나무 그늘에 들어 오니 신부님의 옷깃에 하얀 뭉치가 떨어졌다. 수염 한움쿰이 뽑힌 것이다. 옆에서 지켜보던 활동가는 이 수염을 버릴 수 없어 모두 모아 지금까지 간직하고 있다. 치욕은 그날 뽑힌 문정현신부의 수염이다."
ⓒ 문정현

관련사진보기


[문정현] 나무판에 새긴 '치욕'

문 신부의 새김판 작품 '치욕'을 보면 비정규노동자들이 처한 상황과 비슷하다. 나무판에 새긴 헝클어진 실타래가 바로 문 신부의 수염이다, 어떤 상황에서 이런 작품이 나왔을까? 

문 : "비정규직들의 상황과는 좀 다르지. 강정해군 기지 공사장 앞에서 미사를 드리는데 경찰과 삼성물산, 대림산업 직원들이 나와서 우리를 막 들어내더라고. 저항을 하니까 내 수염을 잡고 내동댕이쳤어. 두 주먹의 수염이 빠졌어. 아프기도 하고 눈물이 나더라고. 아무리 거지같이 생긴 사람이지만 나이든 이의 수염을 뽑아서 내팽개치는 상황, 참 치욕스럽고 분했어. 그래서 나무판에 새긴 거야. 치욕을."  

[백기완] "꿀잠은 싸움의 거점"

두 어른의 작품은 '꿀잠' 기금 마련에 사용한다. 두 어른이 생각하는 진정한 의미의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는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까?

백 : "빌뱅이(거지)가 와도 안방이나 바깥채로 모시는 게 무지렁이들의 보편적인 인간상이야. 그런데 돈 많은 놈들이 둘로 나눴어. 주인이 있고, 머슴이 있어. 요즘은 어떻게 머슴을 지배해왔느냐? 그게 정규직과 비정규직이야. 돈 몇 푼주고, 일터는 똑같은데, 딱 갈라놓는 거야. 식민지 지배할 때 제국주의자들의 논법 있잖아. 분할, 분열 지배라는 거. 이건 인간적 범죄야. 노동자 계급의식을 파괴하는 반노동자적인 범죄야. 썩은 문명을 야기하는 반문명적인 정서야.

이걸 없애려면 비정규직이, 정규직이, 우리가 자각해야 해. 그러려면 거점이 있어야겠지. 이게 '꿀잠'이야. 노동자들이 잘 수 있고, 소주 한잔 하고 소리도 지를 데가 있어야 하잖아. 그 뜻을 다지는 데를 만들자는 거야. 비정규직 없애는 반문명의 싸움을 제대로 하자는 거야.

그래서 붓글씨를 쓸 줄 모르는 데 신부님 따라서 썼어. 붓글씨 수준 낮다고 얕보지 말어! 강매하자 이거야! '꿀잠' 만들자는 거야. 내가 이렇게 말하는 게 도움이 되진 않겠지만. 허-허-."

[문정현] "머리에 벼락이 쳤어"

문 : "진짜 도움이 안돼요. 무서워서 도망갈 거 같다니까. 하-하-. 난 이런 일이 있었어. 성당의 본당 신부로 있을 때 한 사장이 방문했어. 노조위원장이 문 열고 들어오다가 그 모습을 보고 '아, 씨팔, 재수 없어!'라고 말하고 나가려 하더라고. 그냥 앉혔지. '노동자라도 지킬 건 지키라'고 말했어. 대답이 뭔 줄 알아? '얼마나 당했으면 이러겠어요'야. 순간 머리에 벼락이 치더라고. 난 계급성이 없었던 거야. 빼앗기고 당하는 것 그 자체로 우리가 함께 있어야 할 이유야! 그래서 비정규직노동자들을 위한 꿀잠 건립에 쓰라고 새김판을 다 가져가라 했지."

한 평생 길 위를 함께 걸었던 백발의 두 어른은 또 이렇게 하나가 됐다. '꿀잠'을 위해 무지렁이들의 붓과 자기 심장을 베는 칼을 들었다. 


백기완 "불덩어리 신부님도 있구나, 그때 알았어"
문정현 "분단은 독재의 빌미, 용납할 수 없었다"


태그:#백기완, #문정현, #꿀잠, #비정규직, #10만인클럽
댓글1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오마이뉴스 장지혜 기자 입니다. 세상의 바람에 흔들리기보다는 세상으로 바람을 날려보내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