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율 스님.
 지율 스님.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마을 어르신들이 한 분 두 분 떠나신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어르신들이 살아 계시는 동안 전해드리고 싶었고, 마음의 고향 길도 풀섶에 묻히지 않게 하고 싶었다. 누구보다도 애정을 가지고 계셨을 '산막의 일지'."

지율 스님이 손으로 써서 보낸 편지글이다. 비구니 지율 스님이 오지마을에서 지내며 어르신들과 부대끼며 지냈던 이야기를 책 <산막 일지>(사계절출판사)에 담아 최근 펴냈다.

'천성산 지킴이' 지율 스님은 경부고속철도 터널공사로 천성산 습지가 훼손되자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지율 스님은 터널공사와 관련해 '도롱뇽'을 대신해 환경소송을 내 관심을 끌기도 했다.

지율 스님은 4대강사업을 우려하며 낙동강을 도보순례하면서 기록하기도 했고, 내성천 영주댐 수몰지 안에서 텐트 생활하면서 다큐 <모래가 흐르는 강> <물 위에 쓰는 편지> 등을 만들기도 했다.

이 책은 지율 스님이 낙동강 도보 순례를 떠나기 전 3년 동안 머물렀던 오지 마을에서 쓴 이야기다. 그 마을은 경북 영덕 칠보산 기슭에 있다. 닷새에 한 번 버스가 들어오는 깊은 산속 오지 마을이다.

땅을 일구는 사람들의 일상이 담겨 있다. 지율 스님은 심고, 가꾸고, 수확하고, 나누는 어르신들의 모습을 기록했다. 서로 일손을 보태고 음식을 나누며, 오순도순 투덕투덕 정을 쌓아가는 마을 어르신들의 일상을 통해 자연스레 생명의 귀함과 인간사의 애틋함을 느낄 수 있다.

지율 스님이 경북 영덕 칠보산 기슭에 있는 오지 마을에서 머물며 어르신들의 삶을 기록했던 이야기를 책 <산막일지>로 펴냈다.
 지율 스님이 경북 영덕 칠보산 기슭에 있는 오지 마을에서 머물며 어르신들의 삶을 기록했던 이야기를 책 <산막일지>로 펴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자연은 가장 오래된 경전"

지율 스님이 마을 사람들과 부대끼며 풀어 놓았던 생각을 몇 대목을  따라가 보면 재미있고 의미가 깊다. 지율 스님은 "자연은 가장 오래된 경전"이라 했다.

"자연의 신음소리에 함께 아파하며 쓰러져 가던 지율스님은 바람 소리, 빗소리, 할배의 장작 패는 소리, 댓잎이 사그럭거리는 소리, 할매의 구성진 노랫소리 등 자연의 소리를 들으며 몸을 일으켰다. 긴 겨울 끝에 다시 봄이 오고, 또다시 낫과 호미를 드는 소농들의 삶. 돌고 도는 자연의 순리가 곧 깨달음이요, 경전이었다."

오지 마을은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지율 스님은 "칠순, 팔순을 넘긴 어르신들이 자기가 태어난 혹은 시집 온 집에서 예전 방식 그대로 농사를 지으며 한 해를 보내는 모습이 담겨 있다"고 했다.

지율 스님은 "도시 사람들에게 계절의 변화라고 하면 옷차림이 달라지는 정도겠지만, 농촌에서는 마을 전체가 앉는 자리가 달라지고 하는 일이 바뀐다"며 "한 장 한 장 달력을 넘기듯, 철따라 달라지는 농촌의 풍경과 쉴 틈 없이 움직이는 농부의 손과 발이 눈앞에 그려진다"고 했다.

지율 스님이 정리해 놓은 농사일지도 있다. 가령, 1월은 "할배는 마치 조각가가 조각품을 대하듯, 결의 흐름을 흩트리지 않고 장작을 쌓아두신다"라 했고, 2월은 "동제(洞祭) 전날은 일 년에 한 번 차를 불러 온 마을이 온천에 가는 날이다. 할매들은 목욕재계한 후 장을 보신다"고 했다.

3월은 "음력 2월 초하루는 '2월 할매'가 오시는 날이다. 이날 마을에서는 농한기의 마지막 마을 축제를 벌인다"고, 4월은 "아직은 바람이 차지만 할매들은 옷깃을 여미고 장에 나가신다. 봄 장은 장거리가 없으면 돌덩이라도 지고 따라 나선다는 나들이 장이다"고 했다.

12월 마을 사람들에 대해, 지율 스님은 "꿀통은 마을에서 가장 높은 산신각 앞에 있는데 동지 전에 가장 추운 날 꿀을 딴다. 벌들이 추워 집 밖으로 나오지 못하기 때문"이라 소개했다.

이 책은 누구도 기록한 적 없는 마을 어르신들의 작은 일대기다. 책에는 구십이 넘은 눈먼 할매, 팔순이 넘은 나무꾼 할배와 할매, 소를 모는 아재, 호미질로 하루를 시작하는 할매들의 삶이 담겨 있다.

장작을 쌓아놓은 광경을 본 지율 스님은 '조각작품'이라 했다.

"할배집 광과 마당에는 온통 장작이 쌓여 있다. 할배는 마치 조각가가 조각품을 대하듯, 결의 흐름을 흩트리지 않고 장작을 쌓아두신다. 사람들은 그렇게 쌓아둔 장작을 보고 앞으로 십 년은 나무를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때로는 그것이 준비되고 있는 슬픔처럼 보일 때가 있다."

"논에 물꼬를 보고 올라오시는 국화 할배를 고갯길에서 만났다. 맨발에 흰 고무신, 손에 든 삽, 밀짚모자 그리고 등에는 지게를 지고 있다. 경운기 하나 없이 다섯 마지기 논과 천여 평 언덕 밭을 부치는 것은 할배와 할배의 지게이다. 어느 때는 똥장군이, 어느 때는 거름이, 어느 때는 콩이나 고추가 할배의 지게에 실려 있다. 언덕에 앉아 쉴 때도 지게는 할배와 거의 한 몸이 되어 등짝에 붙어 있다. 그렇게 칠십 평생을 살아오셨고 그렇게 살아갈 뿐이다."

김택근(언론인)씨는 책에 대해 "지율은 풍경 속으로 들어가 산촌의 일부가 되었다. 지율의 이런 섬세함과 순수함이 있었기에 지난날 그리도 강했을 것"이라며 "지율은 산촌의 어르신들이 세상을 뜨기 전에 '지난날'을 보여드리고 싶다. 당신들이 살았던 마을이 극락이고, 그 세월이 천국의 시간이었음을 알려드리고 싶다"고 소개했다.


지율스님의 산막일지

지율 지음, 사계절(2017)

이 책의 다른 기사

막삽질 대통령은 이제 그만!

태그:#지율 스님, #칠보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