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번에 북한이 단독 등재한 정조가 직접 지은 <무예도보통지>의 서문이다. 정조는 이 병서를 통해 이 땅의 백성들을 아픔없이 지키고자 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며 느꼈던 참혹한 고통을 치유하기 위하여 정조는 이 병서를 만들었다. 이제는 분단으로 고통 받는 이 땅에 통일을 향한 새희망으로 '무예도보통지'의 무예24기가 올곧게 다시 자리매김했으면 한다. 수련은 배신하지 않는다.
▲ <무예도보통지> 서문 이번에 북한이 단독 등재한 정조가 직접 지은 <무예도보통지>의 서문이다. 정조는 이 병서를 통해 이 땅의 백성들을 아픔없이 지키고자 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며 느꼈던 참혹한 고통을 치유하기 위하여 정조는 이 병서를 만들었다. 이제는 분단으로 고통 받는 이 땅에 통일을 향한 새희망으로 '무예도보통지'의 무예24기가 올곧게 다시 자리매김했으면 한다. 수련은 배신하지 않는다.
ⓒ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관련사진보기


남북공동 등재의 꿈이 사라졌다.

지난 1일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가 북한의 단독 등재신청으로 제13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 회의 심사를 거쳐 세계기록유산 목록에 선정됐다.

<무예도보통지>는 1790년(정조 14) 4월, 4권 4책에 언해본을 별도로 묶어 목판본으로 편찬한 병서로서 보병무예 18가지와 기병들이 익힌 마상무예 6가지가 수록된 군사무예 훈련서이다. 이 병서는 현재 육군박물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을 비롯해 국내 여러 박물관에 소장돼 있으며, 북한의 경우에는 평양 인민대학습당에 보존돼 있다. 그리고 일본의 쓰꾸바대학(筑波大學) 도서관에도 한 부가 보관돼 있다.

이 병서에는 단순히 우리의 무예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그리고 몽골과 동남아시아의 군사무예가 조화롭게 실려 있다. 비록 적국의 무예지만, 오늘날 우리를 지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조차도 배워야 한다는 철저한 실용의 논리로 만든 병서였다. 머리로만 아니 입으로만 자주국방을 외치는 것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몸으로 배우고 깨우치는 진정한 실학의 완성품이 <무예도보통지>인 것이다.

실은 지난 2016년에 북한이 자신들이 보존하고 있던 <무예도보통지>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지역 기록유산으로 등재했다고 공식 발표한 후 약간의 물밑 접촉을 통해 남북공동 등재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던 중이었다.

특히 필자의 경우 북한의 공식 발표가 있던 날부터 꼭 3일 후인 11월 3일에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무예도보통지 편찬과 그 가치'라는 제목으로 창립기념 논문발표를 진행할 예정이었기에 그 보도 내용이 더욱 아쉽기만 했다. 그날 서울대 규장각에서 열린 논문발표는 '정조대 어정서 및 명찬서의 재조명'이라는 주제로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여러 가지 서적들에 대해 심도 있는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지난 11월 3일,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열린 논문발표는 “정조대 어정서 및 명찬서의 재조명”이 핵심 주제였다. 여기서 필자는 <무예도보통지 편찬과 그 가치>로 발표하였다.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학술발표 지난 11월 3일,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열린 논문발표는 “정조대 어정서 및 명찬서의 재조명”이 핵심 주제였다. 여기서 필자는 <무예도보통지 편찬과 그 가치>로 발표하였다.
ⓒ 최형국

관련사진보기


정조는 "문치규장 무설장용(文治奎章 武設壯勇)"이라고 표현하면서 "규장각을 통해 '문'을 융성시키고, 장용영을 통해 '무'를 강고히 하겠다"는 국정운영 철학을 세운 바 있다. 그런 규장각의 창립 기념논문 발표회에서 장용영이 온 힘을 다해 만든 <무예도보통지>의 가치를 발표하는 것이었기에 필자에게는 한없이 중요하도도 중요한 자리였다.

필자가 역사학 공부를 하게 된 계기가 바로 이 병서에 대한 깊이 있는 탐독과 이를 바탕으로 '몸의 역사'를 규명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오로지 '정신'만 찬란하고 고귀한 존재고, '몸'은 더럽고 비속한 것이라 속단하는 기존 철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몸을 통한 역사와 철학을 풀어 보고 싶었다.

그런 이유로 미리 보낸 발표 논문의 서두를 통해 '이 병서를 남북이 공동등재하자'는 의견을 내비쳤고, 이를 통해 새로운 남북 문화교류의 시발점으로 풀어가자고 제안하려 했던 것이다.

아쉬운 점은 또 있었다. 현재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군사무예인 무예 24기를 전문적으로 수련해 대한민국 최초로 시립시범단을 만든 곳이 바로 경기도 수원이고, 정조 시대에도 무예 24기가 가장 활발하게 수련된 곳이 수원 화성(華城)이었기에 그 의미성은 남다른 것이었다.

필자의 경우도 반평생을 이 병서연구에 집중했기에 더욱 아쉽고도 아쉬운 마음이 가득했다. 만약 수원에서 <무예도보통지>를 공동 등재했다면,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과 짝을 이뤄 더 비약적인 문화콘텐츠로 부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그 아쉬운 마음을 접고 새로운 꿈을 그려본다. 이제는 <무예도보통지>에 대한 가치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공인된 상황이 됐다. 비록 남북한이 공동등재를 하지 못했지만, 북한도 충분히 이 병서의 가치를 인지하고 추진한 일이기에 이제는 실제 무예 교류를 통해 그 아쉬움을 새로운 희망으로 풀어내야 한다.

수원시립공연단 무예24기시범단의 ‘월도’ 정렬 모습이다. 남북이 무예로 하나되는 모습을 꿈꿔본다.
▲ 무예24기시범단 월도 수원시립공연단 무예24기시범단의 ‘월도’ 정렬 모습이다. 남북이 무예로 하나되는 모습을 꿈꿔본다.
ⓒ 최형국

관련사진보기


이제는 무예24기시범단이 직접 북한 평양에 들어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무예도보통지>의 몸동작을 그곳에서 펼쳐냈으면 한다.

머릿속으로 혹은 입으로만 소위 '좌파'나 '우파'로 구분하는 정치적 책략을 넘어 이제는 '무예'를 통해 분단의 장벽을 조금이라도 허물어냈으면 한다. 분단의 상징 판문점을 말을 타고 넘고, 평양에서 무예 24기 시범을 통해 지금도 우리의 몸은 하나다! 라는 것을 보여주자.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인 이 땅의 아픔을 이제는 '우리의 몸'으로 '우리의 땀'으로 치유해 보자.

위기는 기회가 될 수 있고, 아쉬움은 또 다른 희망을 품어가는 동력이 된다. <무예도보통지>의 무예 24기로 남북이 하나 되는 꿈을 그려본다.

덧붙이는 글 | e수원뉴스에도 송고했습니다.



태그:#무예도보통지, #무예24기,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무예의 역사와 몸철학을 연구하는 초보 인문학자입니다. 중앙대에서 역사학 전공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경기대 역사학과에서 Post-doctor 연구원 생활을 했습니다. 현재는 한국전통무예연구소(http://muye24ki.com)라는 작은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