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여성노동자회는 2017년부터 전국 지부들과 함께 '페미-노동' 아카데미를 개최하였다. '페미-노동'은 여성노동자회가 페미니즘 관점으로 노동문제를 바라보고 재구성하자는 의미를 담아 만든 신조어이다. 올해는 여성가족부의 후원을 받아 "[2018 페미-노동 캠프] 일하는 페미니스트, 싸움의 언어를 찾아서"를 지난 7월 13일부터 2박 3일 동안 숙박교육으로 진행하였다. 전국 각지에서 모인 80여명의 여성노동자, 학생, 활동가 등이 서울여성플라자에 모여 총 5강의 강좌와 토론 및 발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페미니즘 관련 이해를 높이고, 페미니즘 관점으로 노동 문제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여성노동자회는 이번 캠프 내용과 참여자들의 에너지를 공유하고자 캠프 참여자의 참여 후기를 총 6회의 연재로 기고한다.


[2018 페미-노동 캠프 후기]
1편 페미니스트 딸 캠프에 따라나선 엄마, 뭉클했다
2편 그래도 간다! 페미니즘, 투쟁과 연대의 역사
3편 여성 셀프디펜스의 기술, 최선의 방어법은?
4편 페이미투(PayMeToo), 시대를 관통하다

“[2018 페미-노동 캠프] 일하는 페미니스트, 싸움의 언어를 찾아서” 4강, 임윤옥 한국여성노동자회 상임대표가 열정적인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 [2018 페미-노동 캠프] 4강 “[2018 페미-노동 캠프] 일하는 페미니스트, 싸움의 언어를 찾아서” 4강, 임윤옥 한국여성노동자회 상임대표가 열정적인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 한국여성노동자회

관련사진보기


안녕하세요. 저는 미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여름방학을 맞아 한국에 들어왔다가 한국여성노동자회와 연이 닿아 2018 페미-노동 캠프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인문학을 공부하는 저에게 페미니즘은 일상에서 나에게 벌어지는 사건을 해석하기 위한 도구이기도 했지만 학문적 수단에 더 가까웠습니다. 페미니즘은 어떤 일을 완전히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전복성, 혁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현상을 의미있는 방식으로 이해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틀이니까요.

그런 저에게 <4강 차별을 부수는 성평등 노동> 강의는 근대화해가는 한국 사회라는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에서 살아온 구체적인 언니들과 우리들에 관한 이야기여서 적지 않은 울림을 주었습니다. 이나영 선생님 말씀대로, 페미니즘은 이론이기도 하지만 그 뿐만 아니라, 우리들의 운동이기도 하고 개개인의 관점이기도 하다는 걸 더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4강의 강사인 한국여성노동자회 임윤옥 상임대표는 성평등 노동에 대해 먼저 설명했습니다. 남성의 노동만이 대표성을 띠어온 현실을 지적하고, 그동안 보이지 않던, '나중에 얘기할' 부수적인 것으로만 취급되던, '노동계를 분열하는 음모'로 공격받던 여성의 노동을 드러내야한다고 했습니다. 가부장제는 여성의 노동을 주변화할 뿐 아니라, 자본주의와 연합하여 여성의 노동을 저평가하고 여성에게 일/가정 양립의 부담을 지우며 이러한 폭력을 여성이 스스로에게 돌리도록 내면화시켰습니다. 성평등 노동은 이러한 구조를 타파하여 평등한 연대의 사회로 나아가자는 주장을 담고 있었습니다.

이어서 강사는 한국 사회의 근대화가 성차별적 구조에 발을 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근대화 과정에서 한국 사회의 사회경제적 구조가 변할 때마다 여성의 노동이 각양각색의 방식으로 착취되고 차별받아온 역사를 되짚는 것은 듣기가 조금 고통스럽기까지 했습니다.

여성노동자들은 국가주도의 경제개발 시기에는 국가의 이익을 위한 기생관광, 미군기지 집창촌 성매매, 노동집약적 경공업 등에 동원되었고, 1990년대에는 산업고도화의 과실을 누리지 못하고 주변 업무나 담당하는 성별 분업 체계에 종속되었습니다. IMF 경제 위기와 이후의 신자유주의 시기에 여성은 비정규직이 되어 일해도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빈곤에 허덕였고, 2000년대에는 여성고용률 상승 등 "성평등이 실현되었다"는 지표를 내미는 보수 정권 하에서 일/가정 양립의 이중 부담을 지어야 했습니다. 즉, 여성노동자들은 한국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그 공로를 인정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한국 근대화를 가능하게 한 핵심적 매커니즘이었던 성차별에 희생되어왔습니다.

“[2018 페미-노동 캠프] 일하는 페미니스트, 싸움의 언어를 찾아서” 4강 내용 일부
▲ [2018 페미-노동 캠프] 4강 “[2018 페미-노동 캠프] 일하는 페미니스트, 싸움의 언어를 찾아서” 4강 내용 일부
ⓒ 한국여성노동자회

관련사진보기


강사는 이러한 현실을 이야기함과 동시에, 근대의 각 시기를 살아내며 투쟁해온 언니들도 소개했습니다. 김경숙 열사부터 1980년대 세워진 여성노동단체들,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운동,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문제 제기들, 가정관리사 등 보이지 않던 노동자들의 노동자화, 채용 성차별에 대한 항의 등 성차별 노동에 대한 오랜 투쟁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었습니다.

학생들에게 역사를 왜 공부하는지를 설명할 때마다 저는 "지금 여기에서 내가 살아가면서 누리는 것들이 당연한 것, 자연스러운 것, 바꿀 수 없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수많은 시간과 사람들이 켜켜이 쌓여서 만들어진 결과이며 언제든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알기 위해서"라고 말합니다.

임윤옥 대표의 강의는 지금 여기, 근대화에 성공했다고 자부하는 한국에서 우리가 누리는 것들이 근대화에 헌신했지만 차별받아온 여성노동자들의 노동과, 그러한 차별에 맞서 싸워온 여성들의 힘에 기인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여기의 현실이 앞으로도 바뀌어갈 수 있다고 바뀌어야 한다고 외치는 강의였습니다. 차별을 부수는 성평등 노동의 세상으로!

* [2018 페미-노동 캠프] 자료집 다운로드 하기



태그:#페미-노동, #한국여성노동자회, #일하는 페미니스트
댓글1

여성 노동자들이 노동을 통해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운동을 하는 여성노동운동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