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가족이 함께 봤다. 같은 영화를 봤는데, 재미있었다는 공통평. 더하기 각자의 감동 포인트와 받아들이는 깊이가 따로 있었다."

최근 개봉한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아래 <곰돌이 푸>)에 대해 '장고'라는 누리꾼이 남긴 후기다. 개인적으로는 이 분의 후기가 영화에 대한 가장 적확한 후기라고 본다. 사실 그동안 '곰돌이 푸'가 주인공으로 나온 영화들의 개봉관들은 항상 시끌벅적했다. 영화를 보러 온 대다수 관객들이 아이들이었기에, 상영 도중 화장실에 다녀오는 아이부터 장면 장면이 바뀔 때마다 재잘거리며 이야기를 하는 아이까지,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로 어수선했다.

<곰돌이 푸>는 어린이와 어른 모두에게 나름의 추억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영화다. 특히 어린 시절을 '곰돌이 푸'와 함께 보낸 이들은 더더욱 새로운 감동을 느낄 수 있다. 과거 유행하던 일본 애니메이션 <짱구>는 부적절한 내용이 많이 담겨 있다며 못 보게 하던 엄마가 그나마 허락해준 것이 '곰돌이 푸'였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최근 젊은층들 사이에선 <곰돌이 푸, 서두르지 않아도 괜찮아> <곰돌이 푸, 행복한 일은 매일 있어>가 인기라고 한다. 영화 속에서도 마찬가지지만, 느림보 곰돌이 푸는 하루하루 바쁘게 살아가다가 자신을 놓치는 요즘 젊은이들에게 어린 시절 추억을 되돌려줌과 동시에 '힐링'이 되어준다.

그렇다면 그 옛날 아이들과 함께 곰돌이 푸를 시청하던 부모 세대에게 영화 <곰돌이 푸>는 어떤 의미일까? 아마도 '곰돌이 푸'보다는 어른이 되어버린 로빈, '책임감으로 사는 어른'의 이야기가 어른들의 마음을 건드리지 않았을까?

추억의 만화를 실사로 구현한 디즈니의 라이브 액션 작품 <곰돌이 푸>는 이전의 <미녀와 야수>보다는 외려 영국, 프랑스 합작 작품인 <패딩턴> 시리즈와 더 비슷해 보인다. <패딩턴>은 도시로 온 곰돌이 인형 패딩턴이 도시적 삶에 길들여진, 그래서 가족 간 불화를 겪고 있는 한 가정에 들어가 본의 아니게 다시 가정을 '평화롭게' 만들어준다는 내용인데, <곰돌이 푸> 또한 이야기 구조가 동일하다. 이는 초창기 디즈니 이래로 줄곧 구현하고자 해온 '스위트 홈' 신화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다는 점에서는 여전히 매우 '디즈니'적이기도 하다.

어른이 되어버린 소년, 로빈의 책임감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영화 <곰돌이 푸>는 그 '스위트 홈' 신화를 재현하기 위해 어른이 되어 버린 로빈을 내세운다. 헌드레드 에이커 숲에서 봉제 인형 곰돌이 푸와 피글렛, 티거, 이요르, 올빼미, 토끼 등과 함께 '소꿉놀이'를 하던 로빈. 하지만 소년의 '동화'는 '성장'과 함께 멈춰버린다.

그의 부모들은 시류에 따라 로빈을 기숙학교로 보내버린다. 하지만 그곳에서도 여전히 '곰돌이 푸'를 끼적이던 소년에게 '동화'의 세계는 유효했다. 그런 그에게 닥친 아버지의 죽음. 친척 할머니의 "이젠 네가 이 집안의 가장이야"라는 말 한 마디는 소년을 급격하게 철들게 만든다.

에블린을 만나 사랑에 빠진 것도 잠시, 로빈은 전쟁터에 나갔다가 다시 돌아와 그 시대의 여느 남자처럼 가방 회사 '윈슬로'를 다니게 된다. 영화 <모던 타임즈>의 또 다른 버전처럼 돌아가는 직장. 그는 마치 일벌처럼 열심히 일하지만, 책임자 자리를 맡은 로빈에게 닥친 건 경비 절감 차원에서 자신의 부하직원들의 정리하라는 지침이 내려온다.

동료들의 밥줄을 쥔 그가 어떻게든 한 명이라도 더 살리기 위해 고심하는 시간은 곧 그의 가족에게 '소외'의 시간이 된다. 그의 부모가 그랬던 것처럼 '돈을 잘 벌어 아이를 좋은 기숙학교에 보내면 좋은 부모가 되는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로빈 때문에 아내도, 아이도 지쳐간다. 그리고 그런 그의 앞에 친구들을 잃어버렸다고 찾아온 어린 시절의 친구 '곰돌이 푸'가 나타난다.

아이러니하게도 여기서 어른 로빈을 다시 동화의 세계로 내모는 건 또 다른 '책임'이다. 영화 속 곰돌이 푸는 로빈에게 사라진 친구들을 찾아달라며 "헌드레드 에이커 숲에서 우리와 함께 하던 시절의 로빈은 언제나 우리들의 해결사였다"라고 말한다. 과거 에이커 숲에서 실체 없는 괴물 헤팔럼을 무서워하는 친구들을 위해 헤팔럼용 함정을 파는 등의 갖가지 묘수를 쓰는 모습을 보였던 로빈, 그에게선 '책임'이란 단어를 엿볼 수 있었다.

영화 속 로빈은 일관되게 책임감을 보여준다. 어린 시절 로빈은 봉제 인형 친구들에게, 그리고 어른이 된 로빈은 가족과 회사에... 물론 그 방식의 문제다. 어린 시절 함정 정도 파주던 그런 정도로 맞서기엔 세상은 너무 각박해졌다. 또한 돌아가신 아버지와 어머니가 알려준, '자식을 책임지는 방식'은 아빠의 사랑을 바라는 딸에겐 시대착오적인 것이 되어 버렸다.

물론 로빈은 더 늦기 전에 다시 곰돌이 푸를 만나, 친구들과 함께 놀던 그 시절, '아무 것도 하지 않아도 행복하던' 시절의 교훈을 되살리며 행복을 찾는다. 로빈은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이 아니라, 책임을 지는 방식을 변화시킨다. '회사 일에 충실한 것이 곧 가정을 지키는 것'이라 여겼던 지난 시대의 사고방식을 어린 시절의 친구들과의 '회동'을 통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에 대한 책임'으로 전환한다. 또한 고용주에 대한 책임을 동료에 대한 책임으로 바꾸며 '회사'에 대한 소속감의 질적 변화를 이룬다.

어른이 된 로빈이 옛 친구들과 찾아낸 '행복'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영화 속 로빈의 변화는 역사적 배경을 더하며 풍성해진다. 전후 급격한 산업의 발전과 그 과정에서 빚어지는 산업의 위기, 변화를 로빈이 다니는 '윈슬로'라는 가방 회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그려낸다. 19세기 중엽 처음 등장했던 귀족들 전용 여행용 가방을 '여행'의 대중화에 걸맞게 '루이비통'이 대중화 시켰는데, 영화 속 로빈이 그 '콘텐츠의 혁신'을 윈슬로에 도입한 것으로 절묘하게 그려낸다.

거의 옷장 수준의 가방이었던 귀족들의 여행 가방이 루이비통에 의해 기차 화물칸에 적재되기 쉬운 대중들의 가방으로 탄생된 그 순간을, 윈슬로의 경영 합리화를 돌파할 묘수로 배치해놓은 것이다. 엔딩 크레디트와 함께 펼쳐진 해변에는 휴가를 받아 윈슬로 가방을 들고 해변으로 놀러온 직원들이 나온다. '아무 것도 하지 않아서 행복'하다는 곰돌이 푸의 인생철학이 시대의 트렌드로 변화되는 순간을 영화는 절묘하게 포착해 낸다.

즉 이전 세대 아버지들이 그저 나가서 돈을 잘 벌어 오는 것이 '아버지'로서의 책임감을 다한 것이었다면 윈슬로의 가방을 들고 여행을 다니게 되는 시대에 아버지의 책임감은 영화 속 로빈의 딸이 바라던 아버지의 상처럼, '가족'과 함께 일상의 행복을 나눌 수 있는 '책임'이다. 물론 윈슬로의 적자 경영을 타파한 로빈의 '신의 한 수'는 놓치지 말아야 할 아빠의 능력이다.

그렇게 영화는 '아무 것도 하지 않는 행복'을 논하면서, 결국은 변화하는 시대, 변화하는 아버지의 자리, 아버지의 책임을 말한다. 다행히도 어린 시절부터 책임감 있던 소년은 늦지 않게 다시 찾아온 친구들 덕에 강박처럼 자신을 짓누르던 아버지 세대식의 맹목적 책임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어른에게는 어른의 자리가 있다. 하지만 그 자리의 모습은 시대에 따라 변한다. 아버지 시대엔 기숙학교에 보내는 것이 책임을 다한 것이었다면, 이제 로빈이 자신의 딸, 그리고 옛 친구인 곰돌이 푸와 살아가야 할 시대 '책임'의 모습은 '함께 행복하기'다. 그건 2018년을 사는 이 시대 어른들에게도 유효하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합니다.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