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호! 슬프다 한민족 사랑하는 조국이요
차라리 칼을 빼 목숨을 끊고 싶어도
이 한 몸 죽음 적이 바라는 피함이요
곡기 끊어 굶어 죽고 싶으나
나라 팔고 이름 사는 일 차마 할 수 없구나
이제 분루 삼키며 하늘 끝 치욕을 받을 것인가
끝내 힘 길러 밝은 결과를 보겠는가
– 국립서울현충원 '이상룡 선생 무덤 빗돌에 새겨 있는 글'-

국혼(國魂)은 살아있다
국교(國敎) 국학(國學) 국어(國語) 국문(國文) 국사(國史)는
국혼(國魂)에 속하는 것이요,
전곡(錢穀) 군대(軍隊) 성지(城池) 함선(艦船) 기계(器械) 등은
국백(國魄)에 속하는 것으로 국혼의 됨됨은 국백에 따라서
죽고 사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국교와 국사가 망하지 아니하면 
국혼은 살아 있으므로 그 나라는 망하지 않는다.
- 국립서울현충원 '박은식 선생 무덤 빗돌에 새겨 있는 글'-

 

국립서울현충원 임정묘역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의 생생한 어록이 빗돌(비석)에 새겨져 있어 이곳을 찾는 이의 마음을 숙연케 한다. 이렇게 조국의 독립을 위해 투쟁한 박은식, 신규식, 노백린 장군 등의 유해는 1993년 8월 10일 중국에서 한국땅으로 모셔왔다. 2018년 10월 현재 국립서울현충원 임정묘역에서 영면하고 있다.
 
박은식 대통령은 국립서울현충원 <임시정부요인-1>에서 영면하고 계시며 1993년 8월 10일 상해에서 유해가 봉환되었다. 그러나 국가보훈처 기록에는 아직도 상해 정안사로(靜安寺路) 공동묘지에 묻혀 있다고 기록해 놓고 있다. 기자는 10월 13일 오후 4시무렵 무덤을 찾아 뫼절을 올렸다.
▲ 박은식 무덤 박은식 대통령은 국립서울현충원 <임시정부요인-1>에서 영면하고 계시며 1993년 8월 10일 상해에서 유해가 봉환되었다. 그러나 국가보훈처 기록에는 아직도 상해 정안사로(靜安寺路) 공동묘지에 묻혀 있다고 기록해 놓고 있다. 기자는 10월 13일 오후 4시무렵 무덤을 찾아 뫼절을 올렸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임정묘역에 잠들어 계시는 독립운동가 무덤. 앞쪽은 노백린 장군( 무덤에 새겨진 직함은 국무총리) 무덤이다.
▲ 임정묘역 임정묘역에 잠들어 계시는 독립운동가 무덤. 앞쪽은 노백린 장군( 무덤에 새겨진 직함은 국무총리) 무덤이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노백린 국무총리 무덤, 노백린 국무총리 역시 1993년 8월 10일 이곳으로 모셔왔으나 국가보훈처에는 아직도 정안사로(靜安寺路) 공동묘지에 묻혀있다고 기록해 놓고 있다.
▲ 노백린 국무총리 무덤 노백린 국무총리 무덤, 노백린 국무총리 역시 1993년 8월 10일 이곳으로 모셔왔으나 국가보훈처에는 아직도 정안사로(靜安寺路) 공동묘지에 묻혀있다고 기록해 놓고 있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박은식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 2대 대통령은 국립서울현충원 임시정부요인-1에서 영면하고 계시며 1993년 8월 10일 상해에서 유해가 봉환되었다. 기자는 10월 13일 오후 4시 무렵 무덤을 찾아 뫼절을 올렸다.

그런데 국가보훈처 누리집(홈페이지) 공훈전자사료관 → 독립유공자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에는 아직도 이분들이 상해에 묻혀 있다고 적어 놓았다. 기가 막힐 일이다. 박은식 대통령의 경우 "1925년 11월 1일 상해에서 숨진 뒤 정안사로(靜安寺路) 공동묘지에 안장하였다"고 써놓았는가 하면 신규식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의 경우는 "1922년 9월 25일에 과로로 상해에서 43세를 일기로 영면하였으며, 상해 만국공묘(萬國公墓)에 안장되었다"라고 써놓았다.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공훈록 신규식 국무총리 기록 일부
▲ 독립유공자공훈록, 신규식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공훈록 신규식 국무총리 기록 일부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독립유공자 공훈록에는 신규식 국무총리의 무덤이 상해 만국공묘에 안장되었다고 써 놓았다. 공훈록 해당 부분을 확대한 것.
▲ 만국공묘에 안장 독립유공자 공훈록에는 신규식 국무총리의 무덤이 상해 만국공묘에 안장되었다고 써 놓았다. 공훈록 해당 부분을 확대한 것.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신규식 국무총리 역시 국가보훈처 기록에는 여전히 '상해 만국공묘(萬國公墓)에 안장되었다' 고 적어놓고 있다. 현재 국립서울현충원 "임정묘역 8'에서 영면해 계신다
▲ 신규식 국무총리 무덤 신규식 국무총리 역시 국가보훈처 기록에는 여전히 "상해 만국공묘(萬國公墓)에 안장되었다" 고 적어놓고 있다. 현재 국립서울현충원 "임정묘역 8"에서 영면해 계신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그런가 하면 1920년 2월 20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윌로스에 비행사양성소를 설립하여 비행사를 양성하는 한편 상해로 돌아와서는 교통 겸 군무총장직을 겸직했던 노백린 장군의 경우에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서 노심초사하던 노백린 장군은 상해에서 병을 얻어 1926년 1월 22일 한 많은 일생을 마치게 되니, 임시정부에서는 정부요인 및 학생 등 8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성(仁成) 학교에서 성대한 장의식을 거행하고 정안사로(靜安寺路)의 공동묘지에 안장하였다"라고 써 놓았다.

위에 든 임정요인들처럼 고국으로 유해를 모셔온 지 올해로 25년째에 이르는데도 국가보훈처는 이들 독립운동가의 기록을 25년 전 상태로 방치하고 있다. 이래서 어떻게 국민에게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을까.

기자는 2010년에 박은식 대통령이 묻혀있던 상해 만국공묘(萬國公墓)에 다녀 온 적이 있다. 당시에 만국공묘에는 박은식 대통령처럼 고국으로 유해가 돌아간 분들은 빗돌을 남겨 '고국으로의 이장'을 적어두고 있는 것을 확인한 적이 있다.

상해에서 고국으로 돌아온 유해뿐이 아니라 미주지역에서 봉환된 독립운동가 기록도 엉터리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독립운동가로 활동한 강혜원, 김성권 부부의 유해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외곽에 있는 로즈데일무덤에 묻혀 있다가 2016년 11월 16일,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5-138 묘역에 안장되어 있다.

하지만 국가보훈처 기록에는 "김성권 지사는 노년에 접어들어 8년간 뇌일혈 증세로 고생하던 중, 1960년 1월 85세를 일기로 로스엔젤레스에서 사망하여 로즈데일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라고 적혀 있다. 이 내용만 보면 국가보훈처는 강혜원, 김성권 부부 유해가 고국으로 봉환되어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된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강혜원, 김성권 부부독립지사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로즈데일무덤에서 2016년11월 16일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 기자는 2017년 5월 31일, '애국지사 묘역 제5-138'에 잠들어 계신 강혜원, 김성권 지사 무덤을 찾아 뫼절을 드렸다. 아울러 2018년 8월 8일, 로스앤젤리스 로즈데일무덤을 찾아 강혜원, 김성권 지사의 무덤이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옮겨진 자리에 국화꽃 한송이를 헌화하고 온바 있다.
▲ 국립대전현충원 강혜원, 김성권 부부독립지사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로즈데일무덤에서 2016년11월 16일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 기자는 2017년 5월 31일, "애국지사 묘역 제5-138"에 잠들어 계신 강혜원, 김성권 지사 무덤을 찾아 뫼절을 드렸다. 아울러 2018년 8월 8일, 로스앤젤리스 로즈데일무덤을 찾아 강혜원, 김성권 지사의 무덤이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옮겨진 자리에 국화꽃 한송이를 헌화하고 온바 있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미주에서 독립운동을 한 임성실(1882-1947) 지사 역시 미국 로스앤젤레스 로즈데일 무덤에 묻혀 있다가 2017년 11월 16일,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5-234 묘역으로 옮겨왔지만 국가보훈처 기록에는 아예 무덤 이야기는 없다.

기자는 지난 8월 11일 오전 11시(현지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 가든스윗 호텔에서 열린 미주지역 독립운동가 후손들의 '제73주년 광복절 및 도산 기념동상제막 17주년 합동 기념식 - 파이오니어 소사이티 연례 오찬회에 참석하여 임성실 지사의 증손녀인 머샤(Marsha Oh Bilodean, 62살) 씨를 만났다.

그 자리에서 머샤 씨는 임성실 할머니를 로즈데일무덤에서 고국의 국립대전현충원에 모셨다면서 "꿈에도 그리던 증조할머니(임성실)의 유해를 안고 직접 한국에 갔었다"라고 눈시울을 붉혔다. 
 
임성실 지사 유해는 LA로즈데일무덤에서 2017년 11월 16일,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 5-234'로 돌아왔으며 사진은 미국에 남아있는 빗돌(비석)로 기자는 2018년 8월 8일 이곳을 방문하여 국화꽃 한송이를 바쳤다. 국가보훈처 기록에는 임성실 지사의 무덤 이야기는 없다.
▲ 임성실 지사 임성실 지사 유해는 LA로즈데일무덤에서 2017년 11월 16일,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 5-234"로 돌아왔으며 사진은 미국에 남아있는 빗돌(비석)로 기자는 2018년 8월 8일 이곳을 방문하여 국화꽃 한송이를 바쳤다. 국가보훈처 기록에는 임성실 지사의 무덤 이야기는 없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임성실 지사의 증손녀인 머샤 씨와 기자는 증조할머니(임성실지사)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에 모신 이야기를 나눴다.
▲ 머샤 씨 임성실 지사의 증손녀인 머샤 씨와 기자는 증조할머니(임성실지사)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에 모신 이야기를 나눴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이러한 사실들은 기자가 글을 쓰면서 확인한 몇 예에 지나지 않는다. 국가보훈처 기록은 늑장도 늑장이려니와 일관성도 문제다. 어떤 분은 무덤을 소개하고(엉터리일지라도), 어떤 분은 무덤 이야기가 아예 없다.

이참에 국가보훈처에 제안하고 싶다. 독립유공자가 잠들어 있는 무덤을 알려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독립유공자들이 반드시 국립서울현충원이나 대전현충원에 잠들어 계신 것은 아니다. 이곳에 잠들어 있는 분들의 정확한 정보는 물론이고 현충원에 안장되지 않은 분들의 무덤도 친절히 알려주면 좋겠다.

기자의 경우, 전국 방방곡곡 독립유공자의 무덤을 찾아다니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다 보니 여간 시간이 걸리는 것이 아니다. 살아생전에 뵙지는 못했어도 독립유공자의 무덤을 찾아 꽃 한 송이라도 바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독립유공자 공훈록에 정확한 무덤정보를 알려주었으면 한다. 일단 25년 전에 고국으로 돌아온 독립운동가들의 무덤 정보만이라도 하루속히 바로잡아야 한다.

[이전 기사] 독립유공자 공훈록에 보이지 않는 독립유공자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우리문화신문에도 보냈습니다.


태그:#독립유공자공훈록, #임정요인, #신규식, #국가보훈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학박사. 시인.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 한국외대 외국어연수평가원 교수, 일본 와세다대학 객원연구원, 국립국어원 국어순화위원,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냄 저서 《사쿠라 훈민정음》, 《오염된국어사전》, 여성독립운동가를 기리는 시집《서간도에 들꽃 피다 》전 10권, 《인물로 보는 여성독립운동사》외 다수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