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 1편 <소방관 국가직 전환, 한국당은 이러면 안 됩니다>에서 이어집니다.)

직장협의회나 노조가 허용되지 않는 제복근무자인 소방공무원이 1인 시위를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 행동 자체가 신분상 징계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4년 6월 소방국가직 전환 1위 시위 당시 참여자에 대한 징계 조치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공무원 신분을 잃을 수 있다는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단호함이 없으면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뿐만 아니라 각오가 섰다고 하더라도 이를 주관하는 측에서는 상당한 계획과 논의가 필요한 사항이기도 하다.

그러나 2014년 6월 거리로 나선 소방관들은 그렇지 않았다. 그들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고 계획적이지 않았다. 그건 한 사건으로 갑자기 시작되었다.
 
2014년 6월 광화문광장에서 소방공무원은 소방공무원의 국가직전환을 요구하며 1인 시위에 나섰다. 사진속 소방공무원 1인 시위와 세월호 시위가 같은 장소에서 진행됐다.
▲ 2014년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1인 시위 2014년 6월 광화문광장에서 소방공무원은 소방공무원의 국가직전환을 요구하며 1인 시위에 나섰다. 사진속 소방공무원 1인 시위와 세월호 시위가 같은 장소에서 진행됐다.
ⓒ 고진영

관련사진보기

 
2014년 4월 16일 잊지 못할 일이 일어났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포함해 304명이 바다와 함께 삶을 달리한 세월호 참사가 일어났다. 대한민국 모든 국민은 안방에서 생생하게 그 광경을 지켜봐야만 했다. 그건 참으로 끔찍한 일이었다.

더구나 대한민국의 재난을 책임진다는 소방관으로서 그 광경은 더욱 참기 힘들었다. 필자가 소방발전협의회 회장으로 있을 때이기도 했다. 당연히 실시간 휴대전화로 소방발전협의회 위원들의 이야기들이 오고 갔다. 하나같이 분노하고 안타까워하고 안절부절 발만 동동 굴렀다.

결국 우리는 구조장면을 끝내 보지 못했다. TV는 반복되는 레코드를 틀어 놓은 것처럼 이미 가라앉은 생명과는 관계없이 '난 잘못 없어'란 변명과 책임자 찾기라는 소리만 반복하는 듯했다. 각종 상상을 초월하는 이야기들이 만연했다. 세상은 가라앉은 바닷속 슬픔보다 더 혼란스럽고 고통스러워 보였다.

그렇게 얼마가 흘렀을까. 이젠 무력감으로 짓눌릴 만큼 짓눌린 감정이었지만, 그래도 우리가 뭔가 해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을 모두 하고 있었다. 아마 대한민국 모든 국민이 같은 마음이었을 것이다.

그때 소방발전협의회 경기도 A위원이 갑자기 메시지로 "1인 시위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닌가? 방화복 입고 1인 시위하자"라고 보내왔다. 모든 위원은 기다렸다는 듯이 앞다투어 "하자", "까짓것 하자", "찬성"이란 메시지를 보내왔다.

그렇게 2014년 6월 7일 '안전도 빈부격차? 평등한 소방서비스, 소방관을 국가직으로'란 팻말을 들고 광화문에서 소방관 국가직 1인 시위를 시작했다. 그 참혹한 광경에 무엇이라도 해야 한다는 대한민국 국민이자 소방관으로서의 순수한 감정의 발로였다. 그 죽음에 무엇으로든 답해야 한다는 마음이었다.

1인 시위 문구 역시 충북의 B위원이 집에서 아내랑 밤새워 만들었다. '소방청 독립'으로 할 것인지 '소방국가직'으로 할 것인지만 정해졌을 뿐 자세한 내용은 B위원이 알아서 만들었다.

세월호와 소방관 국가직, 어떻게 설명할지 난감
 
2014년 6월 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화재진압복을 입은 소방관이 지방직인 소방관의 '국가직 전환' '현장대응 소방인력 증원' '낡고 부족한 장비 현대화' 등을 요구하며 릴레이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2014년 6월 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화재진압복을 입은 소방관이 지방직인 소방관의 "국가직 전환" "현장대응 소방인력 증원" "낡고 부족한 장비 현대화" 등을 요구하며 릴레이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세월호 참사와 소방관 국가직 전환이 어떤 관계가 있단 말인가. 물론 이런 참사를 반복하지 않도록, 대한민국의 안전을 책임지는 소방조직이 그 임무를 확실히 수행하도록, 소방국가직이란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이상할 것은 없었다. 그렇다고 현장 소방관들이 직을 걸고 1인 시위를 하는 것을 우리를 제외하고 많은 국민은 이해하지 못한 듯했다.

1인 시위를 하며 광화문광장에 서 있을 때 그 앞을 지나는 시민들은 "소방이 국가직 공무원 아니었어?"란 질문을 해왔다. 이와 관련해 당시 필자가 JTBC에 출연해 손석희 앵커와 인터뷰 할 때도 이런 질문과 답이 오갔다.

손석희 앵커 "소방방재청이 해체되고 국민안전처로 흡수되면서 소방의 수장인 청장이 한 계급 강등되는 것에 대한 소방관들의 불만이 아니냐?" 

필자 "대한민국의 재난을 책임지는 소방관으로서 이런 참사를 지켜볼 수만은 없었다. 반복되는 참사를 막기 위해서라도 소방의 국가직 전환은 반드시 필요하다."


다른 언론도 소방관 국가직을 왜 지금 들고나오는지 의아해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어쩌면 당연하다. 구할 수 있었는데도 구하지 못했다는, 구조과정에서 드러난 석연치 않은 의혹으로 온 나라가 들끓고 있는 상황에서 소방관 국가직 주장은 공허하게 들릴 만했다. 우리의 주장보다는 소방관들이 무더운 땡볕 아래 방화복을 입고 1인 시위를 한 최초의 사건이라는 점에 시민과 언론은 더 흥미를 느끼는 듯했다.
 
2014년 6월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광화문 1인시위 관련 JTBC뉴스 필자 인터뷰 장면
▲ 2014년 6월 소방공무원 국가직 1인 시위 JTBC인터뷰 2014년 6월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광화문 1인시위 관련 JTBC뉴스 필자 인터뷰 장면
ⓒ JTBC뉴스 영상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소방관은 재난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사람을 위해 언제든 자신의 목숨을 희생할 수 있는 영웅이 아니다. 다른 사람들처럼 두려워 하고 행복한 일상을 꿈꾸고 아픔에 고통 받는 사람들이다. 단지 소방관이 다르게 행동하는 이유는 소방관의 업무가 영웅적인 행동을 원하기 때문이다. 소방관이 위대하다면 그건 이웃집 아저씨, 오빠, 동생, 자식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 위대한 업무를 부여받았기 때문일 뿐이다.

세월호 사건을 바라보는 소방관의 심정이 각별했던 것은 소방관이 남달랐기 때문이 아니라 남다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희생자들로 인해 아파했다. 그리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해야만 했다. 소방관 국가직 전환. 이것이 세월호 참사로 희생당한 안타까운 생명들에 대한 소방관들의 대답이었다.

오랫동안 소방공무원의 국가직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해왔지만 1인 시위 행동으로 촉발된 것은 세월호 참사를 지켜볼 수만은 없었던 소방관들의 마음 때문이었다. 소방국가직화 1인 시위는 최초로 그렇게 지펴졌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는 서대문소방서(전 소방발전협의회 회장) 소방관입니다.


태그:#소방국가직전환, #소방국가직, #소방국가직시위
댓글7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