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책숲말 2020.1.1.
새해로 넘어서기 앞서인 2019년 12월 31일에 문득 뒤적인 사전에서 '접'이란 말을 새롭게 보았습니다. 요새는 저잣거리에서도 이 말을 좀처럼 못 들어요. 김치를 담그는 이웃이나 둘레 어른도 "배추 한두 접"이 아닌 "배추 서너 포기"나 "배추 열 포기"쯤만 할 만큼, 적게 담기도 하기에 차츰차츰 '접'이란 말이 잊히지 싶더군요. 그런데 이 '접'은 '100'이 되는 숫자를 셀 적에 쓰니, 푸성귀에뿐 아니라 여느 살림을 놓고도 슬쩍 곁들이면 어떠할까 싶기도 합니다. 가래떡을 세면서, 종이를 세면서, 책을 세면서 슬그머니 "가래떡 한 접"이나 "책 두 접"처럼.

이냥저냥 쓸 적에는 몰랐는데 '나몰라·나몰라라'를 사람들이 매우 흔히 씁니다. 다만 국립국어원 사전에는 아직 안 오릅니다. 둘 모두 올림말로 삼아도 재미있겠다고 느껴요. 이른바 '방관·방임·외면·도외시·소극적·회피' 같은 말씨를 한마디로 쉽고 빠르게 나타낼 만한 '나몰라'예요. 요새는 '공동육아' 하는 분이 늘어나는데, 아이를 함께 돌보는 일이니 '함께돌봄'이나 '두레돌봄'처럼, 때로는 '마을돌봄'처럼 부드럽고 넉넉히 풀어낼 수 있겠다고 봅니다.

접 ← 백(100)
나몰라(나몰라라) ← 방관, 방임, 외면, 도외시, 소극적, 회피
함께돌봄(두레돌봄·마을돌봄) ← 공동육아


책숲말 2020.1.2.
어른이 아이한테 새해맞이로 들려주는 말을 '덕담'이라고들 하는데, 문득 생각하니 '덕담'이란 말이 쓰인 지는 얼마 안 되었지 싶습니다. 고작 백 해쯤 앞서만 생각해도 그래요. 예전에는 그저 '좋은말'을 하지 않았을까요? 이 땅에서는 새해가 겨울 한복판입니다. 겨울 한복판에 맞이하는 새해 첫날에 좋은 말씀을 들려준다고 한다면 마음을 포근하게 어루만지는 말이지 싶고, 이를 '포근말'로 나타내어도 좋겠구나 싶어요. 요즈막에 널리 퍼진 '꽃길'이란 말씨를 살려 '꽃말·꽃길말'이라 해도 어울릴 테고요.

해를 바라보는 해바라기처럼 '아무개바라기'인 분들이 있어요. 국립국어원 사전에는 '바라기'를 조그마한 그릇을 가리키는 이름 하나만 싣는데, 무엇·누구를 좋아하는 사람을 가리킬 적에 '-바라기'를 붙일 수 있어요. 책바라기·꽃바라기·영화바라기라 할 만하고, 사랑바라기·꿈바라기·하늘바라기라 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팬·추종자·지망생'을 담아낼 만하고요. 맛있게 차리는 밥을 놓고 글이나 그림이나 영상이 널리 퍼집니다. 이러며 '레시피·조리법'을 들곤 하는데, '맛솜씨·맛길·맛차림'이라 해도 어울릴 만해요.

좋은말(포근말·꽃말) ← 덕담
-바라기 ← 팬, 애호가, 추종자, 지망생
맛솜씨(맛길·맛차림) ← 레시피, 조리법, 요리법


책숲말 2020.1.3.
아이들하고 글쓰기를 곧잘 합니다. 일부러 시키지는 않고 아침저녁으로 해요. 아침에는 자리에서 일어난 뒤에 "자, 오늘은 무엇을 하고 싶니? 오늘 무엇을 새롭게 배우고 싶니? 이 모든 생각하고 이야기를 쓰렴." 하고 말해요. 아침에는 '꿈쓰기'를 합니다. 저녁에 자리를 깔고 누울 적에는 "자, 오늘 어떻게 지내거나 놀거나 배웠는가 하는 이야기를 남기자. 하루를 남기자." 하고 말합니다. 저녁에는 '하루쓰기'나 '하루남기기'를 합니다.

이러다가 얼핏 생각했지요. '일기'라는 낱말을 아이들이 퍽 어릴 적부터 못 알아들었기에 "하루를 쓰자"고 했는데, 단출히 '하루쓰기'라 해도 어울리겠네 싶어요. 일기란 저녁이 아닌 낮이나 아침에도 쓸 수 있어요. 비슷한 한자말 '일지'도 그렇고요. 이를 모두 수수하게 '하루쓰기'라 해도 좋겠지요.

시골뿐 아니라 서울에도 혼자 사는 할머니 할아버지가 많아요. 이분들을 '독거노인'이란 딱딱한 말로 가리키는데 '혼-/홀-'을 살려 '홀어르신·홀할머니·홀할아버지'라 하면 어떨까요? "의좋은 사이"는 겹말이에요. 그저 '사이좋다'라 하면 되고, '오순도순·도란도란·알콩달콩'도 좋습니다.

하루쓰기 ← 일기. 일지
홀어르신(홀할머니·홀할아버지) ← 독거노인
사이좋다(오순도순·도란도란·알콩달콩) ← 의좋다

 
'책숲말'이란?
'사전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서재도서관이 있습니다. 한국말사전을 새로짓는 일터(작업실)이자 책터(서재)이자 책숲(도서관)인 곳입니다. 이곳에서는 한국말사전을 새로짓는 일을 하면서 날마다 바지런히 온갖 말을 그러모으거나 갈무리합니다. 새롭게 짓거나 엮는 말이 있고, 오래된 텃말을 찾아내어 오늘날 즐겁게 쓰는 길을 밝히기도 합니다. 딱딱하거나 어렵거나 얄궂은 말씨를 손질해서 쉽고 부드러이 쓰는 길을 알려주기도 합니다. 이런 여러 가지 일은 얼핏 눈에 안 보일 만합니다. 그런데 날마다 꾸준히 그러모으거나 갈무리한 말살림을 사전으로 묶으면 어마어마하게 커요. 커다란 사전이 되면 아무래도 덩치 때문에 펼쳐서 보기가 만만하지 않을 수 있어요. 그래서 날마다 그러모으거나 갈무리하는 한국말사전 밑글 가운데 몇 가지를 추려서 '책숲말'이란 이름으로 나누려 합니다. 책숲에서 들려주는 말이기에 책숲말입니다. 사전(책)은 숲이 되고, 이 숲에서 말이 바람처럼 흘러 노래가 되기를 비는 마음으로 책숲말 이야기를 엮습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글쓴이 누리집(blog.naver.com/hbooklove)에도 함께 올립니다.


태그:#책숲말, #숲말, #숲노래, #한국말사전, #국어사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