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주시경 선생
▲ 주시경 선생 주시경 선생
ⓒ 김영조

관련사진보기

주시경의 국어사랑 정신과 연구는 생애를 두고 그의 모든 활동에서 집중되었다. 젊어서나 중년기나 다르지 않았다. 1906년 『가정잡지』에 쓴 「논설」에서 국문에 대한 애정을 거듭 살피게 한다.

글(文字)이라 하는 것은 말을 표현(表記)한 것이거나 그린(象形) 것이다. 우리 국문은 말을 표한 것이요, 한문 같은 것은 그 말은 상관없이 무슨 뜻은 무슨 표(標識)로 그린 그림이다. 말을 표하는 글(表音文字)은 말이 곧 글이므로 쉽고, 뜻을 표한 글(表意文字)은 말 외에 따로 배우는 것이므로 어렵다.

또, 우리나라 말을 기록한 글이 문법도 한문보다 매우 분명하고 쉽거니와, 또 글은 나라마다 그 천연구역의 풍토인정을 따라 각각 그 나라에서 쓰기에 합당하도록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영국 글은 영국인종이 쓰기에 합당하고, 아랍글은 아랍인종이 쓰기에 합당하고, 중국 글은 중국인종이 쓰기에 합당하고 우리나라 글은 우리나라 우리 인종이 쓰기에 합당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국문을 처음 만든 조선 세종대왕이 친히 말하기를 "우리나라 말의 음(音)이 중국과 같지 않아 그 문자와 서로 통하지 못하므로, 백성이 말을 하고자 하는 것이 있으나 이내 그 뜻을 펴지 못하는 자가 많은 지라, 내가 이것을 민망히 여겨 새로 28자를 만들어 사람마다 익히기 쉽고 날마다 쓰기에 편케 하노라" 하였거늘,

후세에 이 뜻을 본받지 않고, 보통 선비들이 어려운 한문만 일삼아 2, 30년씩 전력(專力)하되 여러 서적을 잘 해석하고 자기 뜻대로 능히 글을 짓는 사람은 백에 하나를 보기도 매우 어려우니, 이는 다름 아니라 한문은 타국 글일 뿐더러 말 외에 따로 배우는 것이어서 이같이 어려운 것이다. 좋고 쉬운 글은 쓰지 않고, 이같이 어려운 한문만 일삼아 글을 아는 사람이 몇 안 되니, 어찌 어리석은 일이 아니겠는가?

백성이 한 나라 속에 있는 것은 마치 물건이 한 궤속에 담긴 것과 같으므로, 그 궤에 있는 물건이 다 좋으면 값을 많이 받을 것이요, 그 궤이 있는 물건이 몇 개만 좋으면 값을 적게 받을 것은 이세(理勢)의 자연한 것이다. 영, 덕, 법, 미(英, 德, 法, 美) 같은 나라들은 온 나라 사람들이 다 그 나라 글로 여러 학식을 배워 값을 많이 받아 저같이 부강 문명하거늘, 우리나라는 한문자만 아는 몇 사람 외에는 다 글을 알지 못하므로,

한 궤속에 이즈러진 물건이 많이 든 것 같이 값을 적게 받아 오늘 이 정형(情形)을 당하는 것이다. 이제 2, 30년씩 전력하여도 특별한 재주 아니면 졸업할 수 없는 한문으로는 온 나라 사람을 학식있게 할 수 없으니, 우리나라 모든 사람을 다 가르치려 하면 불가불 국문을 써야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잡지도 남녀노소, 상하귀천, 빈부지우(貧富智愚) 물론하고 다 알기 쉽게 하려고 순국문으로 만들며, 또 국문을 폐하여 두고 쓰지 않던 중에 서간(書簡)에 쓰이는 것도 잘못 씀이 많고 또 국어를 잘못 기록하는 것이 많으므로, 이 잡지 다음 호부터는 국문과정(國文課程)을 만들어 기록하겠다. (주석 7)


주석
7> 『가정잡지』, 1-1호, 1906년 6ㆍ25일.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한글운동의 선구자 한힌샘 주시경선생‘]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태그:#한힌샘 , #한힌샘_주시경 , #한글, #가정잡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