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원웅 광복회장이 15일 오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제75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김원웅 광복회장이 15일 오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제75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지난 8월 15일 제75주년 광복절 경축식이 있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김원웅 광복회장은 75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음에도 친일잔재가 여전히 한국 사회 곳곳에 남아있다며 완전한 친일청산을 촉구했습니다. 9분 남짓의 기념사에는 대한민국 화폐의 얼굴이 되지 못한 독립운동가, 애국가 작곡가의 친일행적, 국립현충원에 묻혀 있는 친일파에 대한 광복회 입장과 함께 국립묘지법 개정에 대한 바람이 담겼습니다.

[관련기사 : 김원웅 광복회장 "화폐 속에 독립운동가 없는 나라는 한국뿐"]

하지만 언론은 기념사의 취지와 전체 내용을 전달하기보다는 논란이 된 일부 대목을 발췌해 전부인 양 보도하는가 하면, '친일파 묘 이장'을 골자로 하는 '국립묘지법 개정' 제안을 '파묘 논란'으로 일축하기도 했습니다.

전광훈-김원웅이 보혁 갈등? 전혀 다른 사안인데...

이와 관련한 지역 언론 기사로는 부산일보 2건, 국제신문 1건이 있었습니다.

국제신문은 8월 18일 자 5면에 <8·15발 보혁 갈등... 與는 전광훈, 野는 김원웅 때리기>라는 큰 제목을 달아 거대 양당의 타깃이 된 인물로 김원웅과 전광훈을 소개했는데요. 이 큰 제목 아래에 <민주당 '광화문 불법' 통합당 책임론 부각><통합당 "국민 이간질이 매국" 광복회장 뭇매>라는 작은 제목의 기사가 배치됐습니다.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를 현실화한 전광훈 목사와 '친일청산'을 골자로 기념사를 한 김원웅 광복회장이라는 전혀 다른 사안을 '보혁 갈등'으로 뭉뚱그려 상반되는 사안인 양 보도한 것처럼 보였습니다.

특히 <통합당 "국민 이간질이 매국" 광복회장 뭇매>(국제신문, 8/18) 은 광복절 기념사에 대한 내용은 일절 전달하지 않은 채, "미래통합당은 김원웅 광복회장의 광복절 경축식 기념사에 대해 맹공을 펼쳤다"라는 문장으로 시작되는데요. 김원웅 광복회장 기념사와 관련한 국제신문의 첫 기사이자 유일한 기사임에도 기념사 내용에 대한 소개는 빠져있어 결과적으로 독자는 통합당 의원들의 비판으로만 기념사를 이해하게 되는 셈입니다.

또한 기념사에 대한 다양한 의견 중 통합당 의원들의 발언에만 주목하다 보니 기사 제목에서 '뭇매'라는 단어가 등장하기도 했는데요. 기념사 내용 중 일부가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언론의 역할은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와 맥락을 설명해주는 것이지 특정 입장에 편승해 '논란'을 '잘못'으로 만드는 것이 아닐 겁니다.
 
, 8월 18일자 국제신문 5면
 , 8월 18일자 국제신문 5면
ⓒ 국제신문

관련사진보기

 
부산일보 <김원웅 '친일 청산' 기념사 놓고 다시 불붙은 이념 논쟁>(8/17, 8면)은 "해방의 기쁨으로 하나가 돼야 할 광복절이 정쟁으로 인해 분열과 갈등으로 얼룩졌다"는 문장으로 시작합니다.

기사의 전반부에 기념사 내용에 대한 충분한 정보는 전달하지 않고 오히려 논란이 일고 있는 부분만 소개한 데 이어, 통합당 의원들의 원색적 비난들, 예를 들면 "국민을 이간질하는 것이 바로 매국행위", "편 나누어 찢어발기고 증오하고", "김원웅 회장은 파직돼야 한다"와 같은 발언을 갈무리했는데요. 기념사 내용 일부와 이 일부에 대한 통합당 의원의 발언을 결합해 논란을 더욱 부풀리는 모습이었습니다.

이번 기념사 내용에서 논란이 된 '국립묘지법 개정'은 갑작스러운 제안이 아닙니다. 광복회는 지난 3월,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후보들을 대상으로 찬반 설문조사를 실시하는가 하면 이 결과를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습니다. '통합당 의원들로부터 '뭇매'를 맞고 있다' 혹은 '이념 논쟁을 부추겼다'라는 논란거리로만 다루기보다 왜 이런 제안을 하는지 제안의 맥락과 의미를 전달하는 게 언론의 역할이었을 겁니다.

태그:#부산민언련, #지역언론톺아보기, #광복절기념사
댓글

1994년 불공정한 언론 보도와 행태를 개혁하기 위해 설립한 단체로, 설립 목적인 언론감시, 시민을 위한 다양한 미디어교육, 시민미디어참여를 위한 지원과 제도 마련, 정부의 언론정책 및 통제 감시와 개선방안 제시 등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시민주권시대를 맞아 시민이 스스로 미디어를 생산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실험하고 지원하는 일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