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귀포 ‘KAL호텔 바당’ 전망
 서귀포 ‘KAL호텔 바당’ 전망
ⓒ Jonathan Lee 제공

관련사진보기


물집이 잡히는 이유

전날에 25km를 걸었다. 그 전날에는 20km. 드디어 물집이 잡혔다. 소천지를 지날 때 오른쪽 발가락 통증이 일어서 양말을 벗었더니 물집뿐만 아니라 발톱 하나가 빠지려는지 피가 묻어있었다. 발톱 2개 정도는 빠져줘야 걸었다고 할 수 있는데…

나는 몇 년 전 산티아고 순례길(Camino de Santiago; the Way of St. James; 199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스페인과 프랑스 접경에 위치한 기독교 순례길 800km)을 걸을 때를 회상하며 미소를 지었다. 물집 잡히는 것은 걷는 욕심이 크기 때문이다. 중간중간 쉬면서 양말을 벗고 열을 식혀줘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고 강행하기 때문이다.
 
위미항 포토존에서
 위미항 포토존에서
ⓒ 차노휘

관련사진보기

 
실은 운동화를 조깅화로 가지고 왔다. 첫 번째 올레길 여정을 8일 정도 잡았다. 긴 여정이 아니라 짐을 줄일 겸 가벼운 운동화를 챙겼더니 전혀 방수가 되지 않았다. 눈이 왔던 이틀은 신발과 양말이 다 젖어서 '질퍽'거렸다. 걸을 때 발생하는 열 때문에 발은 시리지 않았다(잠시도 쉴 수가 없었다는 것이 단점이었지만).

신발이 젖거나 물집이 잡히거나 발톱이 빠진다고 해서 겁먹을 것은 없다. 이런 일이 처음도 아니다. 걷다 보면 아름다운 풍경에 헉, 거리며 감탄사가 절로 터지면서 지금 이 자리에 있음에 감사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5코스와 6코스를 걷는 날도 그랬다. 전날까지 눈보라가 쳤다는 것이 거짓말처럼 느껴질 정도로 하늘이 청옥의 사파이어를 뿌려놓은 듯 눈이 부셨다. 남원(南元) 포구에 차를 세워 두고 해안도로를 따라 15분을 걸었을 때 남원 큰엉 해안경승지 입구에 내가 서 있었다.

큰엉 해안경승지
   
큰엉 경승지 산책로는 높이가 15~20m에 이르는 기암절벽이 성곽처럼 둘러 서 있는 곳 위에 길이 나 있다. 1.5km 정도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큰엉('큰엉'은 사투리로 '큰 언덕'이라는 뜻인데 '큰 입'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바닷가 절벽 등에 뚫린 바위 그늘을 뜻하는 제주어이다)이 기이하게 시선을 끈다.

새카만 절벽 또한 기기묘묘하다. 갯바위에서 낚시하는 사람, 사진 찍는 사람을 자주 볼 수 있는 그야말로 명소 중에 명소이다. 하지만 내가 그 입구에 서 있던 날은 1월 1일. 제주형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행정 조치에 따라 주요 관광 명소 출입이 금지되어 리본이 입구를 막고 있었다.

데칼코마니처럼 닮은 에메랄드빛 바다와 하늘, 그 하늘에 뭉게구름이 떠가고 있는 것을 보면서 나는 살며시 눈을 감았다. 그리고 상상했다. 거센 바닷바람에 뒤로 누운 섬쥐똥나무와 돈나무 군락. 시원하게 시야에 들어오는 검은 절벽과 속이 다 들여다보일 정도로 투명한 바다, 그리고 묘한 대칭으로 흩어져 있는 뭉게구름. 

신영영화박물관 근처를 지날 때는 생뚱맞게 공중에 떠(?) 있는 공룡 형상물에 슬그머니 미소를 머금을 것이고 한반도 지도가 보이는 산책로에 들어섰을 때는 그 구도에 감탄을 자아낼 것이다. 곳곳에 마련된 쉼터에서 바다를 바라보면서 벅차오르는 가슴은 또한 어떻게 누를까.

나는 큰엉 경승지 산책로를 마음으로 그리며 우회길을 따라 마침내 중간스탬프가 있는 곳에 도착했다. 이곳은 특별한 관광시설이 없는데도 입소문이 나서 사람들이 찾는 곳이었다. 아름다운 동백나무군락지가 있는, 위미리였다.

위미리 동백군락 그리고 현맹춘 할머니

1870년대, 위미리(爲美里)로 시집온 17세 소녀가 있었다. 생활력이 강했던 그녀는 어려운 형편에 해초를 캐고 품팔이를 하며 근검절약하여 모은 돈 35냥으로 '버득'이라는 황무지를 사들였다. 힘들여 농지 개간을 했지만 모진 바닷바람에 농사가 잘 될 리 없었다.

고민 끝에 한라산에서 동백나무 씨를 받아와 밭 테두리에 심었다. 그것이 자라 지금의 500여 그루나 되는 동백나무군락을 이뤘고 1982년부터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39호로 지정되었다. 동네 사람들은 이곳을 '버득할망돔박숲(버득할머니동백숲)'이라고 부른다.

그 당시 17세 새색시(현맹춘 할머니)가 심었던 동백나무는 지금은 울창한 숲을 이루어 마을의 방풍림 역할을 하고 있었다. 지금 이곳에서 작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이유이기도 했다. 나는 길가에 떨어진 붉은 동백꽃을 밟지 않으려고 조심하면서 중간스탬프를 찍고는 위미항으로 향했다.
 
신그물을 지나면서
 신그물을 지나면서
ⓒ 차노휘

관련사진보기

 
검은 바위로 둘러싸인 위미항을 지나 예로부터 맑은 물이 솟기로 유명한 '고망물'과 '넙빌레'를 지났다. 고려시대 말 원나라(몽골제국)의 지배를 받을 때 세금이란 명목으로 거둔 물자와 말 등을 원나라로 보내던 '망장포'에서는 제법 시린 바닷바람에 깜짝 놀랐다.

바닷가 길이 끝나고 오름 예촌망(禮村望, 고도66m)으로 성급하게 들어서서는 그곳에서 서성이다가 덩굴식물이 우거진 오솔길을 벗어나 효돈천(孝敦川) 쇠소깍 다리를 건너 제5코스 종점에 도착했다. 그리고 망설였다. 여기서 멈출 것인가, 좀 더 걸을 것인가…

망설임은 오래가지 않았다. 제6코스는 총 길이 11km였고 종점이 서귀포 시내 올레 여행자센터였다. 이틀 후면 나는 집으로 돌아갈 거였다. 욕심을 부려도 됐다. 나는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깊은 계곡과 숲 그늘에 고즈넉하게 숨어있는 테우(통나무를 엮어 만든 배)가 떠 있는 풍경을 감상하며 서귀포시로 향했다.

어둠이 내릴 즈음 서귀포여행자센터에서 스탬프를 찍고는 올레시장 근처에 새 숙소를 잡았다. 원래 숙소가 있는 표선(表善)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차는 남원(南元) 포구에 있었지만 숙박비보다 택시비가 더 들었다. 다음날 제주올레여행자센터에서 7코스를 시작해야하니 하룻밤 정도는 새로운 곳에서 여정을 풀어도 될 것 같았다.
 
쇠소깍
 쇠소깍
ⓒ 차노휘

관련사진보기


태그:#제주올레 , #제주도 , #여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소설가이자 문학박사. 저서로는 소설집 《기차가 달린다》와 《투마이 투마이》, 장편소설 《죽음의 섬》과 《스노글로브, 당신이 사는 세상》, 여행에세이로는 《자유로운 영혼을 위한 시간들》, 《물공포증인데 스쿠버다이빙》 등이 있다. 현재에는 광주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