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944년 8월, 치명적인 패배를 거듭하고 있던 일본 해군은 아주 오랜만에 회심의 미소를 지을 수 있었다. '악화된 전황을 한 번에 뒤집을 수 있는 비밀병기'의 투입이 비로소 가시화됐기 때문이다.

8월 16일 '비밀병기'에 탑승할 첫 특공대원들이 졸업한 데 이어, 28일에는 해당 병기가 '신요(震洋)'라는 이름을 부여받고 공식적으로 제식 채용됐다. 신요. 그것은 '태평양을 뒤흔들라'는 일본 해군 상층부의 염원이 담긴 이름이었다.

해군 상층부의 기대를 잔뜩 끌어모았던 이 '신요특별공격대'에 배속된 것은, 해군비행예과연습생(海軍飛行予科練習生, 약칭 '요카렌') 출신의 10대 중후반 소년들이었다. 애당초 전투기 조종사로 양성됐던 이들은 전황의 악화와 함께 일본군의 항공기 보유량이 급감하게 되면서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었다. '신요특별공격대'는 '쓸모 없어진' 그들이 '국가'를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처럼 보였다.

그러나 특공대에 지원해 실제로 신요를 마주한 요카렌 소년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그들이 타게 될 신요는 250kg의 폭약이 탑재된 길이 약 5미터의 모터 보트에 지나지 않았다. 즉 비밀병기라고 해봐야 보트에 폭탄을 싣고서 적 함선에 격돌하는, 고대의 화공선과 다를 것이 없는 병기였다. 이 보트를 조작하게 하기 위해 해군이 그들에게 할애한 교육기간은 겨우 두 달 남짓이었다.

조악한 모터보트, 경악한 소년들
 
일본 해군 측은 '명중에만 성공한다면 단 한번의 신요 공격으로 적 항공모함을 격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 일본 해군 상층부의 기대를 모았던 비밀병기 "신요" 일본 해군 측은 "명중에만 성공한다면 단 한번의 신요 공격으로 적 항공모함을 격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 wiki commons

관련사진보기

 
길게는 2년의 시간동안 고난도의 비행기술을 연마해왔던 요카렌 소년들은, 자신들의 종착지가 모터 보트에 불과하다는 사실에 허탈감을 느꼈다.

허탈감으로 끝났다면 차라리 다행이었으리라. 허탈감은 곧 절망감으로 바뀌었다. 보트의 재료는 거친 파도에 쉽게 부러지는 베니어(얇은 목재 합판)였고, 보트를 움직이게 하는 모터라는 것은 결국 자동차 엔진이었다.

이 허술한 보트에 의지해, 특공대원들은 적 함선을 찾아 수 km의 항해를 감내해야 했던 것이다. 항해 중 사고를 겪지 않고 무사히 적 함선과 마주하게 된들, 보트의 얇은 목재 합판이 적의 사격을 견뎌낼 수 있을 리 만무했다. 적의 사격을 운 좋게 피하여 돌진하는 데 성공한다 하여도, 탑승원의 탈출 대책 같은 것은 없었으므로 그들에게 있어 죽음은 피할 수 없었다.

즉 일본 해군은 허술한 내구도의 보트를 탄 특공대원이 풍랑, 적 포화와 같은 수많은 위험을 뛰어넘어 적 함선에 자폭케 하는 것을 필승의 전황 타개책이랍시고 내놓은 것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깜짝 놀랐어. 이런 어이없는 것에 우리를 태워서 폭탄이랑 같이 날려버린다는 건가? 이렇게 끔찍할 수가. 베니어라고, 당신들 알아? 베니어 판자. 우리 손가락 하나, 주먹으로도 구멍을 낼 수 있다고. 그따위 물건에 타서, 폭탄을 싣고 가야하다니. 당신들은 어떻게 생각해?"
▲ 신요 특공대원이었던 쿠보 모리토 씨의 증언(2009년) "깜짝 놀랐어. 이런 어이없는 것에 우리를 태워서 폭탄이랑 같이 날려버린다는 건가? 이렇게 끔찍할 수가. 베니어라고, 당신들 알아? 베니어 판자. 우리 손가락 하나, 주먹으로도 구멍을 낼 수 있다고. 그따위 물건에 타서, 폭탄을 싣고 가야하다니. 당신들은 어떻게 생각해?"
ⓒ NHK 전쟁증언 아카이브

관련사진보기


'누구도 생각해내지 못할 기묘한 방책'이란 것

자폭보트의 도입을 처음 주장한 이는 군령부 제2부장 쿠로시마 카메토(黒島亀人) 소장이었다. 그는 연합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山本五十六) 대장의 참모로서 진주만 공습을 비롯한 태평양 각지의 작전에 종군했던 인물이었다.

미드웨이 해전 이후 계속되던 패전을 목도하던 쿠로시마 소장은,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누구도 생각해내지 못할 기묘한 방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 방책으로 쿠로시마 소장이 제시한 것은 다름아닌 '폭약이 탑재된 모터보트를 이용한 특공'이었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해군 군령부는 '신병기'의 조건으로 '무게가 가벼울 것'과 '저예산으로 생산 가능할 것'을 주문했다.

해군 군령부의 방침에 따라, 가벼우면서도 일본 국내에서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베니어(얇은 목재 합판)가 자폭보트의 재료로 선택됐다. 베니어는 해군 군령부가 제시한 조건에 확실하게 부합하는 재료였다. 가볍고 저렴한 베니어의 이점 덕에 신요 보트는 순식간에 6200척 이상 건조될 수 있었다. 문제는 그 이점을 얻기 위해 보트 탑승원의 안전은 철저하게 외면됐다는 점이다.
 
해군 군령부는 '가볍고도 저예산으로 만들 수 있는 특공병기'를 요구했다. 이  지침에 따라, 신요 보트는 베니어(얇은 목재 합판)로 만들어졌다. 베니어로 만들어진 신요 보트는, 적의 총격은 커녕 거친 파도조차도 견디지 못했다.
▲ 신요 보트의 생산 해군 군령부는 "가볍고도 저예산으로 만들 수 있는 특공병기"를 요구했다. 이 지침에 따라, 신요 보트는 베니어(얇은 목재 합판)로 만들어졌다. 베니어로 만들어진 신요 보트는, 적의 총격은 커녕 거친 파도조차도 견디지 못했다.
ⓒ NHK 전쟁증언 아카이브

관련사진보기

 
탑승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보트로 적에게 자폭해 타격을 입힌다는 발상이 실제 정책과 작전으로 구현된 것은, 당시의 제국 일본에 횡행했던 인명경시 풍조를 극단적으로 드러내는 사례라고 평할 수 있다. 물론 해군 내에도 신요의 운용에 대해 우려를 표하던 일부 상식적인 사람들이 있었다. 특히 이들은 탑승원의 죽음이 무조건적으로 전제되는 자폭 전술에 의문을 품고서 '탑승원이 탈출하여 생환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급박하게 돌아가는 전쟁 상황 속에서, 이들의 주장대로 탈출 장치가 고안되는 일은 없었다. 최종적으로는 적 함선에 보트가 충돌하기 전에 탑승원이 보트로부터 스스로 이탈하는 방법이 제시됐다. 하지만 보트의 불안정성을 고려했을 때 탑승원이 충돌 직전에 보트에서 뛰어내리면서 특공을 성공시킨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다. 이 비현실적인 방법 제시를 끝으로, 탑승원 생명 보장에 대한 논의는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일본군은 해안에 동굴을 파고서 신요 보트를 숨겨두었다. 적 함대가 근해에 출현할 때 자폭공격을 벌여 적의 상륙을 원천 저지하겠다는 발상이었다. 일본군은 제주도에도 미군이 상륙할 것이라 판단하고 신요 부대를 배치하였다.
▲ 제주도 송악산에 구축된 일본군 해안특공진지 일본군은 해안에 동굴을 파고서 신요 보트를 숨겨두었다. 적 함대가 근해에 출현할 때 자폭공격을 벌여 적의 상륙을 원천 저지하겠다는 발상이었다. 일본군은 제주도에도 미군이 상륙할 것이라 판단하고 신요 부대를 배치하였다.
ⓒ wiki commons

관련사진보기

 
신요에 대한 집착 꺾지 않은 일본 해군

1944년 10월 레이테 만 해전에서 일본 연합함대가 궤멸되면서 '특공'에 대한 해군 상층부의 집착은 더욱 심화됐다. 특히 신요는 앞으로 더욱 빈발하게 될 미군의 상륙작전을 저지할 대책으로 더욱 촉망받게 됐다.

이에 따라 필리핀, 오키나와, 심지어는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장차 연합군과의 결전이 예상되는 주요 지역으로 신요 부대들이 급파됐다. 그러나 이미 연합군이 제해권과 제공권을 확실하게 장악하고 있던 상황에서 신요 부대를 실은 일본군 수송선은 손쉬운 먹잇감에 지나지 않았다. 운 좋게 겨우 목표 지역까지 도착해도 그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연합군의 공습이나 보트의 자체적인 폭발 사고로 인해 출격조차 못해보고 목숨을 잃는 대원들이 늘어만 갔다.

출격의 기회를 얻는다 하여도 공격을 성공시킬 뾰족한 수가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저 보트들을 일렬횡대로 전개해 적의 사격을 분산시키는 것이 공격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자폭보트를 이용해 적의 상륙작전을 저지한다는 것은 처음부터 허황된 발상이었다는 게 전쟁이 지속되면 지속될수록 분명해졌다.

그럼에도 해군은 신요 운용에 대한 집착을 꺾지 않았다. 항공전력은 물론 수상함대까지 완파된 전쟁 말기의 해군에게 있어, 신요를 비롯한 '특공병기'들은 일본 본토로 쇄도해올 연합군에 맞설 거의 유일한 희망이었다.

이미 제국 일본의 패색이 확연하게 짙어진 1945년 6월, 군령부총장 도요다 소에무(豊田副武) 대장은 어전회의에서 "해군은 전군(全軍) 특공정신을 철저히 한다"고 발언했다. 즉 본토결전이 벌어지게 되면 모든 해군 장병을 신요와 같은 특공작전에 투입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에 발이라도 맞춘 듯 그 즈음의 언론에는 터무니없이 과장된 신요의 전과가 거듭 보도됐다. 아사히 신문의 지면에는 '적의 침공이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신요의) 위력이 더욱 더 커지는 것이 매력'이라는 내용의 사설까지 실렸다. 국민들의 엄청난 희생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계속하고자 했던 제국 지도부의 광기가, 급기야는 베니어 보트에 지나지 않는 신요에 대한 말도 안 되는 예찬으로까지 이어졌다.

신요 공격에 의해 격침된 연합군 함선의 숫자는, 미국 측 추산에 따른다면 겨우 4척에 불과하다. 일본 해군 상층부가 신요를 입안시키며 전세를 단숨에 역전시켜 버리겠노라 호언장담했던 것을 상기해본다면 참으로 초라한 실적이다. 반면, 전쟁 말기에 목숨을 잃은 신요 특공대원의 숫자는 2500명을 웃돈다. 헛된 죽음이라고 밖에 달리 표현할 길이 없는 신요 특공대원들의 희생. 도대체 그들의 희생에는 어떤 의미가 있었던 것일까.
 
쿠로시마 소장은 신요 외에도 인간어뢰 카이텐, 인간미사일 오카, 인간기뢰 후쿠류와 같은 자폭병기들을 입안하거나 승인하였다. 패전 후, 쿠로시마 소장은 처벌받거나 전몰 장병들에 대한 죄책감을 드러내는 일 없이 안락한 여생을 보냈다.
▲ 자폭보트 신요의 아버지 쿠로시마 카메토 소장 쿠로시마 소장은 신요 외에도 인간어뢰 카이텐, 인간미사일 오카, 인간기뢰 후쿠류와 같은 자폭병기들을 입안하거나 승인하였다. 패전 후, 쿠로시마 소장은 처벌받거나 전몰 장병들에 대한 죄책감을 드러내는 일 없이 안락한 여생을 보냈다.
ⓒ wiki commons

관련사진보기

 
이 질문에 대답해야 할 가장 큰 책임을 갖고 있는 인물은 신요의 입안자 쿠로시마 카메토 소장을 꼽을 수 있다.

쿠로시마 소장은, 전후 자신에게 불리한 내용이 서술된 해군의 주요 문서들을 고의적으로 폐기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결과적으로 쿠로시마 소장은 전쟁 책임 추궁을 면했고, 공직에서 추방되는 정도로 무탈하게 일신의 안위를 보전했다. 이후 그는 현미경 회사의 임원을 지냈고, 말년에는 종교와 철학에 심취하여 스스로 '우주, 인간, 생명을 연구'하고 있음을 자랑했다.

우주와 인간, 생명을 연구하면서도, 자신이 주도적으로 추진했던 자폭 공격에 동원됐다가 희생된 장병들에 대해서는 일말의 죄책감도 느끼지 못했던 것일까. 1965년, 폐암으로 인해 72세를 일기로 사망할 때까지, 쿠로시마 소장이 '신요특별공격대'를 입에 담는 일은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태그:#신요, #일본군, #아시아 태평양 전쟁, #특공, #자폭
댓글1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영논리에 함몰된 사측에 실망하여 오마이뉴스 공간에서는 절필합니다. 그동안 부족한 글 사랑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