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1.07 06:24최종 업데이트 22.01.07 06:24
  • 본문듣기
위안부 망언으로 한·미·일 3국을 떠들썩하게 만든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가 국제적 비판에 맞서 새로운 논문을 발표했다. 미국 시각으로 이달 4일 '하버드 로스쿨(his.harvard.edu)'에 실린 '태평양전쟁에서의 성매매 계약: 비평가들에 대한 답변(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 A Response to My Critics)'이 그것이다. 작년 논문인 '태평양전쟁에서의 성매매 계약'에 대한 비판에 응답하는 형식의 글이다.
 
새로운 논문에서 그는 자신에게 쏟아진 비판들이 어이없다는 반응을 드러냈다. 자신이 강조하는 부분에 비판이 집중되지 않고 다른 데로 관심이 쏠렸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대부분의 비판자들이 계약 조건에 관한 나의 분석에 대해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라고 말한다. 자신은 구체적인 계약 조건에 관해 분석했는데도 그런 것에 대해서는 관심이 덜 집중됐다는 것이다.
 
"그 대신에 일부 비판자들은 내가 실제적인 매춘 계약(prostitution contracts)을 조사하지 않았다고 항의했다"라고 그는 말한다. 구체적 계약에 대한 확인 작업도 없이 어떻게 논문을 쓸 수 있느냐는 비판들이 쏟아진 것에 대해 불만을 표현한 것이다.
 
[황당 ①] 실제 계약서 없다면서 어떻게 계약 연구?

논문 제목에 '성매매 계약'이란 표현이 들어갔으므로 논문 저자가 그런 계약들을 분석했는지를 따지는 것은 마땅하고 당연하다. 그러나 램지어 교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듯하다. 다소 황당하다고 할 수도 있는 그의 생각을 그대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나의 실제 논문을 읽어본 사람들은 내가 실제 계약에 관한 자료들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 적이 없음을 알 것이다(Readers of my actual article will know that I never claimed to have a data set of actual contracts)."
 
자신이 실제 계약을 토대로 연구하지 않았음을 당당히 언급한 것이다. 그는 그런 계약 자료는 찾기 어렵다고 말한다. "내가 아는 한, 그 전쟁에서 살아남은 실제 계약은 거의 없다(To the best of my knowledge, very few actual contracts survived the war)"라고 말한다.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 ⓒ 유튜브캡처

 
실제 계약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자신은 2차적 자료들을 주로 참고했다고 말한다. "논문에서 분명히 밝혔듯이, 내가 의존한 것은 정부 문서, 전시회고록, 신문 광고, 위안소 경리가 쓴 일지의 요약본 등에 담긴 매춘 계약에 관한 정보"라고 말한다.
 
램지어는 '성매매 계약'을 논문 주제로 표방했으면서도 구체적 계약 사례에 대한 분석 없이 논문을 발표했다. 그런데도 자기 논문의 한계를 겸허히 인정하지 않고 '나는 처음부터 실제 계약을 참고했다는 말을 하지 않았다'는 말로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황당 ②] 상식에 불과한 사실을 논문으로 규명?

그는 자신이 규명해낸 계약 실태에 관심을 집중해주기를 희망하고 있다. '매춘 여성들'이 선불 급여를 희망한 이유가 무엇인가를 밝혀낸 자신의 연구 성과에 관심을 기울여달라고 주문한다.
 
그런데 그가 '규명'해 낸 결과는 다소 엉뚱하다. 그는 "매춘업소 주인이 (근무조건에 관한) 합의와 관련해 속임수를 쓸 수 있다는 위험성은 여성들이 급여의 많은 부분을 선불로 받겠다고 주장한 이유 중 하나였다"라고 말한다. 그런 뒤 "이것이 내 주장의 기본"이라고 강조한다. 이런 부분에 관심이 집중됐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업소 주인이 속임수를 쓸 수 있기 때문에 선불 급여를 선호했다는 것은 굳이 논문으로 규명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상식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하버드대학 교수가 그런 부분에 주목해 달라고 세계인을 상대로 촉구하는 것은 상당히 황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위안부 문제에 관한 그의 연구 성과가 이처럼 취약하다는 것은 그가 튼튼한 학술적 기반 없이 이 문제에 뛰어들었음을 보여준다. 일본 정부와 극우세력을 편들고자 하는 정치적 동기가 없었다면, 이처럼 허술한 논문을 내놓을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을 갖지 않을 수 없다.

[황당 ③] 근거도 없이 일본 정부 공식 입장까지 부정
 
그가 학술적 동기보다는 정치적 동기에 치우쳐 있다는 점은 1993년 고노 담화와 정면으로 충돌하는 내용을 이번 논문에 담은 데서도 나타난다.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인 고노 담화를 근거도 없이 부정한다는 것은 이 문제에 관한 한 그가 학문적 마인드를 갖추고 있지 않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고노 요헤이 내각관방장관이 발표한 이 담화는 "위안부의 모집에 관해서는 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주로 이를 맡았으나, 그런 경우에도 감언·강압에 의하는 등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모집된 사례가 많았으며 더욱이 관헌 등이 직접 이에 가담한 적도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라고 시인한다.
 
고노 담화는 외형상의 형식에 관계없이 실제로는 강제 연행이 많이 일어났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아베 신조 전 총리는 이 담화를 폐기하고 싶어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그래서 이 담화는 현재까지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이다.
 
위안부 문제의 실상에 가장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일본 정부가 위안부 강제 동원을 공식 인정했다. 그런데도 램지어는 근거도 없이 상반된 주장을 내놓고 있다. 그는 일본 공권력이 한국 여성들을 강제로 연행했을 리가 없다고 주장한다. 이 부분에서도 그는 과잉된 주장을 내놓는다.
 
그는 "1930년대에 한국은 일본의 일부였으며 한국인은 일본 국민이었다"라고 말한다. 그런 뒤 "군인들이 전쟁 지역과 포로수용소에서 적대국 여성들을 다루는 방식은 동료 시민들을 다루는 방식과 완전히 다른 문제"라고 말한다.
 
그는 일본 군인들이 일본 국민인 한국 여성들에 대해 무력적이고 강제적인 방법을 썼겠느냐고 말한다. 그는 일본 군인들이 총을 겨눈 대상은 적대국가 여성들이었다고 말한다. 한국 여성들은 총을 겨눌 대상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위안부 강제 연행을 부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난징 리지샹 위안소 유적전시관 건물 ⓒ 조종안

 
남·북한과 중국이 '위안부들이 일본 관헌에 의해 강제로 끌려갔다'라고 주장하는 것은 '일본 군대가 총으로 위협해서 여성들을 끌고 갔다'라는 의미가 아니다. 일본이 식민지 공권력을 이용해 강제적인 방법으로 여성들을 연행해 갔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런 실상을 도외시한 채 램지어는 '일본 군대가 일본 국민인 한국 여성들에게 뭣 때문에 총을 겨누겠느냐?'라는 식의 주장을 펴고 있다. 문제의 본질을 흐리려는 접근법이 아닐 수 없다.
 
고노 담화에서도 나타났듯이, 위안부가 강제 연행됐다는 것은 일본 정부도 시인한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이 명제를 깨트리려면 그에 걸맞은 탄탄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램지어의 접근법은 이런 학문적 기초를 도외시하고 있다.
 
[황당 ④] 위안소 업자의 강압 행사는 인정

램지어가 일본 국가 권력의 범죄 행위를 덮어주려는 동기를 갖고 있다는 점은 그의 모순된 진술에서도 드러난다. 그는 일본 정부의 강압 행사는 부정하면서도 위안소 업자들의 강압 행사는 부인하지 않는다.
 
그는 "나에 대한 모든 비평가들은 위안부 여성들이 종종 모집업자에게 속임을 당하거나 매춘업소 주인에게 학대를 받았다고 주장한다"라며 "이 점은 사실이며 분명히 해두는 게 중요하다"라고 단언한다. 모집업자와 위안소가 일본 군대의 대리인이었다는 엄연한 사실을 도외시한 채, 그들의 강압 행위와 일본 정부의 강압 행위를 분리해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램지어가 이번 반박 논문에서마저 허술하고 모순된 모습을 보일 수밖에 없었던 것은 그가 논증하고자 하는 것이 실제로는 논증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이 위안부를 강제동원해 성노예로 혹사시켰다'라는 부정할 수 없는 엄연한 진실을 깨트리려다 보니 그런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독자의견


다시 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