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시가 8월 17일 신규 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소각장)을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업무시설과 공원을 갖춘 복합문화타운을 조성할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은 한강변 입지 유형의 예.
 서울시가 8월 17일 신규 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소각장)을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업무시설과 공원을 갖춘 복합문화타운을 조성할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은 한강변 입지 유형의 예.
ⓒ 서울시 제공

관련사진보기

 
서울시가 생활폐기물 소각장을 2026년까지 추가 건립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양천, 노원, 강남, 마포 4곳에 광역 자원회수시설을 운영중이다.

2021년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2026년 1월 1일부터는 수도권매립지에 소각재와 재활용 잔재물을 제외한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된다.

유연식 기후환경본부장은 17일 기자간담회에서 "2026년 서울의 생활폐기물이 하루 3102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나 자원회수시설 (4곳의) 처리량은 2222톤이어서 약 880톤의 폐기물이 갈 곳이 없다. 하루 1000톤을 처리하는 자원회수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치구마다 소각장 후보지 얘기가 나올 때마다 '기피시설 혐오'라는 극렬한 반대 여론에 봉착하곤 했다.

서울시는 해외 사례를 들어 새로운 자원회수시설을 '기피시설'이 아닌 디자인과 친환경 측면에서 매력적인 랜드마크로 조성하겠다는 방침을 이날 내놓았다.

소각시설 상부를 스키장으로 만들고 벽면에는 암벽장을 설치한 후 2021년 '올해의 세계건축물'로 선정됐던 덴마크 코펜하겐의 '아마게르 바케', 160m 굴뚝 상부에 360도 통유리 형식의 전망대와 회전식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타이완 베이터우 소각시설, 놀이공원 외관의 오스트리아 '슈피텔라우'와 일본 '마이시마' 소각시설 등을 예시했다.

서울시는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해 지상부에 세련된 디자인의 복합문화타운을 조성하고 소각장은 지하에 두는 자원회수시설을 만들려고 한다. 자원회수시설의 상징이었던, 높은 굴뚝은 관광 아이템으로 역활용해 전망대, 회전 레스토랑, 놀이기구, 스카이워크 등을 조성하겠다는 복안이다.

서울시는 기존 운영중인 자원회수시설 4곳 인근 지역의 2021년 미세먼지 평균농도(31㎍/㎥)가 시 전체평균(38㎍/㎥)보다 더 낮고, 지난 20년간 실시한 주민 건강영향조사 결과에서도 다른 지역과 차이가 없다며 자원회수시설이 인체에 무해한 시설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자원회수 유치 시설에 호응하는 지역에는 1000억 원을 투자해 지역 주민이 원하는 편익시설을 도입하고, 연간 100억 원 규모의 '주민지원 기금'도 조성해 아파트관리비, 난방비 등 주민 복리 증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인센티브도 계획중이다.

서울시는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법적 허용기준 대비 10%~50% 수준으로 강화하고, 차량 세척시설과 작업차량 진출입 전용 도로도 만들어 악취 및 매연 피해를 예방하겠다"고 약속했다.

주민대표 3명, 전문가4명, 시의원 2명, 공무원 1명으로 총 10명으로 구성된 '입지선정위원회'(위원장 : 서울과학기술대 배재근 교수)가 36개 후보지 중 5개를 압축한 뒤 9월 중 최적 후보지를 발표할 방침이다. 유연식 본부장은 "(발표는) 추석 전후로 생각하고 있다. '2026년 직매립 금지'는 환경부가 자원회수시설 건립시 1년 유예 규정을 뒀기 때문에 2026년 말까지 완공해 이듬해 1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후보지 발표 이후 '입지선정위원회'의 후보지 타당성 조사과정과 결과를 20일 이상 주민에게 공개해야 한다. 시는 후보지가 결정되는 대로 주민들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 오세훈 시장이 직접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할 방침이다.
 

태그:#자원회수시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