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북 임실군 성수산(聖壽山, 876m)은 고려와 조선 두 왕조의 창업 설화가 전해오는 상이암(上耳庵)을 품고 있다. 성수산 휴양림 주차장에서 2.7km의 오르막 숲길은 어느 계절에나 상이암의 여의주 바위를 찾아가며 숲길을 체험하기 좋은 산책로이다.

11월 하순, 숲은 산새 소리가 드물고 곤충들도 자취를 감추었다. 차가운 침묵의 계절을 준비하는 성수산 휴양림의 숲길은 걷는 내내 한적하였다. 색채가 단조로운 늦가을 숲의 청량한 바람결을 휘감는 물소리와 바람 소리는 몸과 마음을 더 맑고 편안하게 해 주었다.

생왕 기도처 
 
성수산 휴양림 편백 숲
 성수산 휴양림 편백 숲
ⓒ 이완우

관련사진보기

 
성수산 상이암은 고려와 조선의 창업 설화가 전해오는 생왕(生王) 기도처이다. 신라 말기 도선(827~898년) 국사는 이곳 암자로 모여드는 산줄기는 용(龍)이고 암자 앞의 거대한 바위는 여의주이니 구룡쟁주(九龍爭珠)의 명당이라 하여 팔공산(八公山, 1151m) 도선암(道詵庵)을 창건(875년)했다고 한다.

상이암의 여의주 바위를 이 지역 주민들은 구룡 바위라 하고 스님들은 향로봉(香爐峯)이라고 한다. 어느 등산 지도에는 화심(花心)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성수산 휴양림이나 왕의 숲은 이 상이암과 여의주 바위의 역사와 설화를 튼실한 씨줄과 날줄로 하고 있다.

구한말 임실군수 박시순(朴始淳, 1848~1907)의 운불일기(雲紱日記)에 그가 성수산 상이암을 방문한 기록이 있다. 상이암 계곡이 무성한 숲과 계곡을 덮은 너덜바위로 통행하기 힘들어 험애(險隘)로 묘사하였다. 지금은 상이암 여의주 바위의 바로 아래까지 승용차의 통행이 가능한 숲길이 열려 있다.

성수산 휴양림은 계곡을 따라 올라가며 '성수산 왕의 숲 생태관광지'로 리모델링 공사가 한창이다. 성수산 휴양림 주차장을 출발하면 곧 생태 연못을 만난다. 연못에는 수련이 자리를 잡아서 수면에 푸른 잎이 생기롭다. 숲속학교 공간이 마련되어 북카페가 원두막처럼 여기저기 여유롭다. 편백 숲속에 글램핑과 카라반 캠핑장이 산뜻하게 마련되었다.
 
성수산 휴양림 본관 숙박동 신축 현장
 성수산 휴양림 본관 숙박동 신축 현장
ⓒ 이완우

관련사진보기


휴양림 주차장에서 800m 위치에 휴양림 본관 숙박동 건물 신축이 마무리 단계이다. 이 건물 뒤쪽에 울창한 편백 숲이 펼쳐진다. 베란다를 갖춘 2층의 작은 목조 건물이 전망대를 겸한 숲속 쉼터로 조성되었다. 편백 숲속에 나무 평상이 여러 개 놓여 있다. 대여섯 명이 앉아서 충분히 휴식할 수 있을 만큼 넓다.

상이암을 400m 앞둔 숲길 삼거리는 팔각정과 문화관광해설사의 집이 있는 휴식과 대화의 공간이다. 숲길 삼거리에서 상이암 입구까지 100m는 제법 가파르다. '여기는 기도 정진 수행 도량입니다.' 사찰 입구의 경건한 표어에 자세를 가다듬게 된다.

성수산은 졸참나무와 굴참나무 등 활엽수에서 떨어진 옅은 갈색 낙엽으로 온 산이 덮였다. 사찰 입구에서부터 상이암까지 300m 구간은 경사가 더욱 가팔라진다. 숲길 옆에 제법 큰 돌탑 두세 개가 방문자를 환영한다. 막돌을 허튼 쌓기로 다듬은 작은 돌탑들이 여기저기 생겨나고 있어 솟대처럼 방문객들이 정성과 기원을 느낄 수 있다.

숲길 오르막 끝에 당당한 바위가 치솟아 있다. 성수산 구룡쟁주(九龍爭珠) 지형의 화심(花心)인 여의주 바위이다. 바위는 가로 20m, 세로 40m의 마름모꼴 밑면에 높이 15m의 사각뿔 모양으로 웅장하다.

여의주 바위 아래쪽에서 오른쪽으로는 돌계단이 돌아서 오르고, 왼쪽으로는 포장된 숲길이 가파르게 바로 올라가서 험한 바위 지형 틈에 단정히 자리 잡은 상이암을 만난다. 여의주 바위는 상이암의 무량수전 앞 작은 개울 너머에 하늘로 향해 열려있다. 여의주 바위는 무량수전 건물 높이보다 높게 보인다.

여의주 바위 중턱까지 나무 데크가 설치되어 있다. 조심스레 올라가 바위 위에 앉았다. 소나무 한 그루가 일산(日傘)처럼 여의주 바위 위에 가지를 펼치고 있다.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강인한 성정의 소나무들 가지에 유난히 솔방울이 많다. 이 바위 위에 왕건과 이성계 장군이 앉아서 새로운 세상을 설계했을 장면과 포부를 상상해 본다.

성수산 상이암에는 왕건이 17세 때(894년)에 송악 호족 세력의 계승자로 이곳 팔공산 도선암에서 하늘에 기도하고 24년 후(918년)에 고려를 건국하였으며, 이성계 장군이 45세 때(1380년)에 남원 운봉 황산에서 왜구를 토벌하고 개선하는 길에 이곳에 들러 하늘에 기도하고 12년 후(1392년)에 조선을 건국하였다는 역사에 근거한 설화가 전해 온다.

이성계 장군이 조선을 개국한 후(1393년) 팔공산 도선암은 성수산 상이암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성계 장군이 이곳에서 기도할 때 하늘에서 '성수만세(聖壽萬歲)' 소리를 세 번 들었다고 한다. '성수(聖壽)'는 임금의 수명이니 곧 새로운 나라를 열라는 하늘의 계시였다. 상이암(上耳庵)'은 주상(主上)의 귀에 하늘에서 축원(祝願)이 들린 암자라는 의미이다.

뜬봉샘 설화 
 
상이암 여의주 바위 정상과 계곡 원경
 상이암 여의주 바위 정상과 계곡 원경
ⓒ 이완우

관련사진보기


계곡 물소리가 산사의 정적을 확인시켜준다. 산과 숲은 어울려 적막한데 생명의 근원인 물은 변함없는 소리를 내며 중력을 따라 아래로 길을 계속하고 있다. 물소리와 바람 소리는 원시의 음향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서 듣는 마음을 항상 상쾌하게 해준다.

산기슭의 낙엽 활엽수들은 잎이 다 떨어졌다. 멀리 보이는 나무들이 겨울을 준비하는 산짐승의 겨울털처럼 부드럽게 다가온다. 여의주 바위 위에서 멀리 펼쳐진 계곡을 살펴본다. 산 넘어 산들이 첩첩하고 안개가 낀 듯 자욱하여 수묵화를 이루었다.

이곳 성수산 상이암에 금강 발원지 뜬봉샘의 설화가 전해 온다. 이성계 장군이 이곳 팔공산 도선암에서 기도하는 중에 멀리서 무지개가 선명하게 펼쳐지고 있었다. 장군이 말을 타고 달려가서 보니 맑은 샘이 있고 그 샘에서 봉황새가 하늘로 날아오르고 있었다. 그래서 그 샘을 뜬봉샘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장수군에도 이 뜬봉샘 설화가 전해 온다. 이성계 장군이 팔공산 계곡의 맑은 샘 옆에 상이암이란 막사를 짓고 기도를 하는 중 그 샘에서 봉황새가 하늘로 날아올랐다. 그래서 뜬봉샘이라고 했다고 한다. 비슷한 두 설화가 이웃 지역에서 함께 전승된다.

임실군 성수산 상이암, 진안군 선각산(1,142m)의 섬진강 발원지 데미샘과 장수군 신무산(897m)의 금강 발원지 뜬봉샘 이 셋은 예로부터 장수 팔공산의 산자락에 있는 것으로 인식했다. 성수산, 선각산과 신무산 이 세 산은 진안고원의 지붕이 되는 장수 팔공산에서 직선거리 5km 이내로 서로 가깝다.

데미샘과 뜬봉샘은 섬진강과 금강의 발원지이고 상이암은 고려와 조선의 창업 설화가 전해오는 곳이니 이 지역은 시원(始原)으로서 출발하는 장소이다. 이 세 산 성수산(聖壽山), 선각산(仙角山)과 신무산(神舞山)의 예사롭지 않은 이름에서도 하늘을 향하는 기원(祈願)이 느껴진다.
 
주차장에서 올려다본 웅장한 상이암 여의주 바위
 주차장에서 올려다본 웅장한 상이암 여의주 바위
ⓒ 이완우

관련사진보기


성수산 왕의 숲과 상이암의 여의주 바위는 역사와 설화를 바탕으로 새로운 희망이 솟아나는 샘물 같은 생태관광지이다. 휴양림 주차장은 해발 300m이고 상이암은 해발 580m로 높이 차이가 280m인 2.7km 구간은 두 시간 산책하면 왕복이 가능한 체험과 사색의 숲길이다.

임실군의 '성수산 왕의 숲 생태관광지' 조성 사업이 2024년에 완공될 예정이라고 한다. 숲길을 걸으며 숲을 체험하면 감성이 살아난다. 숲길 감성 체험은 몸과 마음의 여유와 휴식이다. 성수산 휴양림, 왕의 숲과 상이암 여의주 바위가 미래를 설계해 보는 체험 생태관광지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상이암 여의주 바위 아래의 하늘로 솟아오르는 형태의 수직절리
 상이암 여의주 바위 아래의 하늘로 솟아오르는 형태의 수직절리
ⓒ 이완우

관련사진보기


태그:#구룡쟁주 여의주 바위, #성수산 왕의 숲, #왕의 숲 생태관광지, #성수산 편백 숲, #금강 발원지 뜬봉샘 설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관광해설사입니다. 향토의 역사 문화 자연에서 사실을 확인하여 새롭게 인식하고 의미와 가치를 찾아서 여행의 풍경에 이야기를 그려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