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대체로 많은 사람들이 농사의 시작과 끝을 파종과 수확까지로 이해한다. 그러나 짧은 경험이지만 농사는 시작과 끝이 없는 일이 아닌가 한다. 벼를 심어 수확하면 보리를 심어야하듯이, 감자를 심고 캐면 콩을 심어야하고, 콩을 수확하면 그 땅에 시금치를 씨앗을 뿌려야한다. 한 작물을 심고 가꾸고 수확하여 하나의 마침표를 찍을 뿐 농사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물리적인 계절을 넘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우리 텃밭만 해도 이미 마늘, 쪽파, 시금치, 상추, 케일 등이 자라고 있어 여름보다 다소 농사가 쉬워졌을 뿐 여전히 농사는 진행 중이다. 이제 봄을 맞아 작물을 고르고 심을 준비를 한다. 아무리 소득을 기대하지 않는 비록 작은 텃밭 농사라고 해도 시기에 맞추어 단계별로 계획이 필요한 법이다. 

우선 한정된 땅, 그리고 기후와 토양에 맞는 작물을 고르는 것은 기본이고, 토양과 기후에 맞더라도 연작은 피해야 되고, 물 빠짐이 좋은 땅, 거름기가 많은 땅에 맞는 작물을 골라야 하는 등 주의할 사항을 고려하여 금년 봄에는 어디에 무엇을 얼마나 심을 것인지 결정하는 일이 중요하다. 아마 금년에도 상추를 비롯한 각종 채소를 파종하고, 감자를 놓고, 야콘과 옥수수, 고구마, 무, 배추 등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다.

두둑을 쌓다가 기록으로 남겼다.
▲ 이랑 만들기 두둑을 쌓다가 기록으로 남겼다.
ⓒ 홍광석

관련사진보기


심을 작물을 정했으면 다음에는 작물을 심을 이랑을 만들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경운기로 땅을 갈아엎고 이랑을 만들었다. 그런데 경운기를 쓰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금년부터는 땅을 파는 일부터 내 손으로 하겠다고 작정을 했다. 그리 넓지도 않은 땅, 혼자 슬슬하면 못할 것도 없다는 자신감도 한몫 했고, 또 그렇게 하는 것이 운동도 되고 땅을 살리는 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콩 종류와 각종 채소류는 약간 북돋아 작은 이랑을 만들면 된다. 이른 봄에 심을 감자나 고추 오이, 토마토, 옥수수는 이랑의 간격이 좁고 두둑의 높이가 조금 낮아도 되지만 야콘과 고구마 두둑은 높고 간격이 넓어야 한다.

괭이나 쇠스랑으로 굳은 땅을 파고 고무래로 덩이 흙을 깨고 다시 삽으로 두둑을 치면서 고랑을 내는 일을 했는데 서툰 내 경험으로 폭 1m, 길이 25m쯤 되는 이랑을 만드는 데 1시간쯤 걸렸다고 본다. 땀 없이 이루어지는 일이 있으랴! 심을 작물에 맞추어 이랑을 만드는 일 또한 쉬울 것인가?

혼자서 거의 두시간의 작업끝에 두 두둑을 쳤다.
▲ 만들어진 이랑 혼자서 거의 두시간의 작업끝에 두 두둑을 쳤다.
ⓒ 홍광석

관련사진보기


요즘 그런 일을 한다. 비닐하우스 안에는 강낭콩을 심을 이랑을 만들고 텃밭에는 야콘 심을 두둑을 친다. 고구마 순을 내기 위해 씨고구마를 심을 두둑도 비닐 하우스 안에 만들었다. 이제 좋은 날을 받아 강낭콩과 고구마 씨앗을 넣으면 될 것이다. 아무 것도 심지 않았음에도 만들어진 이랑만 보아도 마음이 든든해진다.

사실 처음부터 특별한 사상이나 이론을 바탕으로 시작한 텃밭농사가 아니었다. 도시에서 낳고 자라 호미를 쥐어 본 적이 없는 아내 역시 자기만의 철학은커녕 확고한 농사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출발한 일이었다. 고향으로 갈 수 없는 처지이기에 큰 병원 가까운 도시 부근에 자리를 잡고 여생을 보내고 싶다는 나의 주장, 그리고 아내와 나의 건강 때문에 시작한 일이었다.

지금도 새로운 농촌 공동체를 만들거나 특별한 작물을 심어 소득을 올리겠다 목표는 없다. 또 남다르게 살겠다는 계획도 없다. 개인적인 경험을 축적하고 관련 서적과 귀농자들의 글을 읽으면서 관련 지식을 쌓아가는 중이다.

텃밭 농사 3년. 아직 고진감래(苦盡甘來)를 말할 시기는 아니다. 그러나 희망을 보았던 3년이었다. 심은 작물들이 자라고 그걸 수확하여 보다 안전한 밥상을 만들 수 있다는 희망, 그렇게 함으로써 가족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희망, 또 이웃 친지들과 작은 것이라도 나눌 수 있는 기쁨을 맛볼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보았다는 사실이다.

농사란 내가 손을 놓는다고 하더라도 인류가 존재하는 한 누군가에 의해 계승해야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텃밭 농사라도 농기구는 갖추어야하고 절기와 토양을 살피고 이랑을 만드는 수고를 해야 한다. 하찮은 텃밭 농사라도 계획 없이 주먹구구로 하는 것이 아니다.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에 단계가 있고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제 지난 가을 갈무리해놓은 씨앗을 챙겨야 한다. 상한 것은 버리고 튼튼한 것만 골라야 한다. 작은 씨앗이 수 만 배의 몸으로 자라 수 십 배의 열매를 맺는 여름, 그 열매가 익어 수확하기까지의 과정은 자연의 도움이 으뜸이지만 농부의 땀 없이 되는 일이 아니다. 우격다짐으로 싹을 틔우고 열매를 익게 할 수도 없고, 서둘거나 때를 놓치면 실패하는 것이 농사다.

앞으로 몇 줄의 이랑을 더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빠진 것은 없는지, 새로 심을 것은 없는지 검토해야 한다. 비가 내리는 날에는 그런 일을 한다. 텃밭에 가지는 못하지만 농사는 계속되는 셈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한겨레 필통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이랑, #두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