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겉그림
 겉그림
ⓒ 샨티

관련사진보기

 
ㄱ. 돈이 모두 사라진다면?

<돈이 필요 없는 나라>
 나가시마 류진
 최성현 옮김
 샨티
 2018.4.25.

 
"생각해 보세요. 당신네 사회에서 돈을 다루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한꺼번에 그 업무에서 모두 해방됐을 때 어떤 일이 발어질지, 그리고 돈을 움직이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세상에 도움이 되는 일에 썼을 때 사회가 어떻게 바뀔지." (35쪽)

"생명은 돈으로 바꿀 수 없는 것이에요." (65쪽)

돈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때도 과연 법이 필요할까? 폭력은? 왜 폭력이 일어날까? 원망이나 증오는? 하지만 그런 것은 법이 있다고 해서 멈출 수 있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 (131쪽)

기본적인 지식은 학교에서 배운 것이 아닌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학교에 다니지 않아도 살아가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말 아닐까? (176쪽)

정답을 외우기만 하면 되는 우리 사회의 교육은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 줄 수 없다. (191쪽)


돈이 있는 나라에 사는 우리는 돈을 생각 안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돈이 있는 나라에서 산다 하더라도 돈을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틀림없이 있어요. 첫째, 어린이입니다. 둘째, 아픈 사람입니다. 셋째, 손수 지어 손수 살림을 꾸리는 사람입니다. 넷째, 꿈을 그리거나 사랑을 하는 사람이에요.

그러나 이 네 갈래에 들더라도 돈을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고 말할 분이 있겠지요. 요즈음 어린이는 거의 모두 손전화를 들고 다니며 누리놀이를 합니다. 아프기에 병원에서 돈이 많이 나간다고 걱정하기도 합니다. 손수 짓고 살림을 꾸리지만, 저잣마당에 내다 팔아야 한다고 여기기도 합니다. 겉보기로는 꿈이나 사랑 같으나, 속으로 보면 꿈하고 사랑하고는 동떨어지기도 합니다. 이른바 욕심이나 살섞기는 꿈이나 사랑이 아니에요.

<돈이 필요 없는 나라>》(나가시마 류진/최성현 옮김, 샨티, 2018)는 참모습을 다룬 인문책일 수 있고, 아직 어디에도 없는 꿈을 그린 소설책일 수 있습니다. 읽는 분마다 달리 여길 만할 텐데, 이 책은 '돈을 바라보는 눈길에 따라 우리 삶이 달라진다'고 하는 줄거리를 폅니다.

돈을 생각하기에 돈에 얽매이는 삶이 된다고 해요. 돈 아닌 삶을 생각하기에 삶을 짓는 하루가 된다고 해요. 돈만 바라보기에 아이를 슬기롭게 못 가르치기도 하지만, 어른 스스로도 새롭게 배우는 길에 못 나선다고 해요. 돈 아닌 사랑을 바라보기에 늘 사랑으로 아름다이 어우러질 길을 즐거이 걷는다고 해요.

어느 나라이든 찬찬히 들여다보면 좋겠습니다. 정치나 경제나 사회나 교육이나 복지나 군대에 돈을 어마어마하게 들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돈을 들이는 만큼 무엇이 나아질까요?

학교는 배움터인가요, 입시전쟁터인가요? 정치는 민주일까요, 정당 쇠밥그릇터인가요? 경제는 우리 살림을 헤아리나요, 숫자놀음인가요? 군대는 평화일까요, 전쟁무기 젯밥에 빠진 수렁일까요? 왜 복지는 돈이 있어야만 할 수 있다고 여길까요? 우리는 사랑으로 슬기롭게 세울 새로운 숲집을 바라보아야지 싶습니다.
 
겉그림
 겉그림
ⓒ 시와서

관련사진보기

 
ㄴ. 곁으로 찾아온 고양이

<고양이를 쓰다>
 나쓰메 소세키 외
 박성민·송승현 옮김
 시와서
 2018.8.10.

 
새끼 고양이 네 마리를 대하는 아이들 네 명의 감정도 역시 서로 다른 데가 있었다. 그것은 어떻게 할 수 없는 자연의 이치일 것이다. 애증은 나쁜 것이라고 하지만, 애증이 없는 세계가 혹시 있다면 그것은 얼마나 쓸쓸할까. (41쪽)

노인의 손이 부인의 손끝에서 은화를 긁어당기듯 낚아챘다. 그리고 새끼 고양이를 감싼 수건을 받자마자 잡동사니가 실린 짐 위로 내던지더니, 손잡이를 잡기가 무섭게 덜커덩덜커덩 수레를 끌기 시작했다. (88쪽)

"아!" 듣고 있던 고양이는 "정말 어리석은 말이로군" 하고 야생의 꼬리를 흔들며 습한 야생의 숲으로 혼자 걸어 돌아갔다. 하지만 아무한테도 말하지는 않았지. (221쪽)

고양이가 얼마나 오랫동안 사람 곁에서 살았는지는 알 길이 없습니다만, 한국말에서 '고양이'는 개랑 더불어 무척 오래되었으면서 살가이 여기는 낱말입니다. '냐옹이'나 '나비'처럼 귀엽게 일컫는 이름이 따로 있는 고양이를 두고, '집고양이·길고양이'로 따로 가르기도 하고, '들고양이'가 있기도 합니다. 가만히 보면 먼 옛날부터 '마을고양이'도 있었겠지요.

어미를 잃은 새끼 고양이 한 마리한테 밥을 준 지 어느새 한 달 남짓 되지 싶은데, 어미를 잃은 뒤에 다른 또래 고양이나 어른 고양이하고 사귀지 못한 탓인지, 이 새끼 들고양이는 자꾸 사람을 따르려 합니다. 사람 사는 집으로 자꾸 들어오려 하고, 사람 손이나 품을 자꾸 타려 해요. 아니 들고양이 가운데 이렇게 사람한테 다가오는 녀석이 있던가?

<고양이를 쓰다>(나쓰메 소세키 외/박성민·송승현 옮김, 시와서, 2018)를 읽습니다. 고양이를 둘러싼 삶과 사람과 사랑과 살림이 촉촉히 묻어나는 여러 나라 여러 글을 묶었습니다. 좀 오래된 글이라 할 수도 있을 텐데, 달리 보면 고양이를 그만큼 가까이에 두고서 지켜본 이야기가 많았다는 뜻이기도 하겠지요.

어미를 잃고서 오랫동안 굶던 새끼 고양이는 처음에는 먹이를 앞에 두고 악다구니였습니다. 아직도 이 티를 다 씻지 못했습니다만, 조금씩 털어내지 싶어요. 이제 배를 곯지 않아도 된다고 말이지요. 그러나 이 새끼 고양이는 고양이로 살아가는 길에서 큰 실마리를 아직 못 배워요. 고양이가 고양이다우려면 스스로 사냥해야 합니다. 쓰레기통을 뒤지거나 사람 손으로 먹이를 얻는 살림이 아닌, 스스로 먹잇감을 찾아서 누리는 몸짓이 되어야지요.

사람은 어떻게 먼먼 옛날부터 고양이를 가까이할 수 있었을까요? 때로는 사람 손을 타거나 따르기도 하지만, 언제나 제 결과 길을 지켜서 꿋꿋하게 설 줄 아는 몸짓이 바로 사랑스러운 들넋이 아닐까요? 네(사람)가 먹이를 준다면 고맙게 받지만 너희(사람)한테 종이 아니라고 하는, 너희한테 노리개 구실을 하지 않는다는, 나(고양이)는 언제나 나로서 이 땅에 네 발을 디디면서 삶을 노래하는 멋진 숨결이라는 대목을 보여주기에 고양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집에서 한동안 얹혀 지내는 새끼 고양이가 부디 씩씩하게 홀로서기를 할 수 있기를 빌어 마지 않으면서 먹잇그릇을 내놓습니다.
 
겉그림
 겉그림
ⓒ 책과함께

관련사진보기

 
ㄷ. 비단길은 군대길이었을까?

<실크로드 세계사>
 피터 프랭코판
 이재황 옮김
 책과함께
 2017.5.20.

 
십자군이 마침내 예루살렘에 도착하자 그들은 도시 성벽으로 다가가면서 기쁨과 안도의 눈물을 흘렸다. 6주간의 포위 끝에 마침내 도시 성벽을 돌파하자 공격자들은 학살에 나섰다. 예루살렘은 곧 시체로 가득 찼다. (233쪽)

국왕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는 노예가 추가 노동력일 뿐만 아니라 칸투를 통한 수입원이기도 하다고 보았다. (347쪽)

유럽이 비록 영광스러운 '황금시대'를 경험하고 미술과 문학을 부흥시키고 과학 연구의 도약을 이루었을지라도, 그것은 폭력을 통해 이룬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세계의 '발견'은 유럽 사회를 더욱 불안정한 상태로 만들었다. 싸울 일이 더 많이 생기고 더 많은 자원을 두고 판돈이 커졌고, 패권 다툼이 치열해지면서 긴장은 한층 더 높아졌다. (426쪽)

갈릴레오 갈릴레이, 아이작 뉴턴, 레온하르트 오일러 같은 과학자들의 이름은 어린 학생들에게도 유명해졌지만, 그들이 총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발사체의 탄도나 편차의 원인을 찾아내는 데 몰두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427쪽)

나라마다 군대를 두는 까닭을 헤아리면, 나라를 이루는 사람들을 지키려는 뜻이 아닙니다. 어느 나라이든 군대를 두는 까닭은, 그 나라 우두머리를 비롯한 권력자를 지키려는 뜻입니다. 이러면서 군대에 끌려가는 사내한테 떡고물을 안기고, 이 떡고물로 먹고살도록 길들여 놓으면, 어느새 사람들은 군대가 하는 일을 잊으면서 쳇바퀴살림이 되어요.

군대하고 전쟁무기는 아무것도 안 낳습니다. 오직 싸움만 일으킵니다. 군대하고 전쟁무기로는 밥도 옷도 집도 낳지 않아요. 이웃마을이나 이웃나라 밥하고 옷하고 집을 전쟁무기로 때려부수거나 윽박질러서 빼앗습니다. 이리하여 군대하고 전쟁무기를 갖춘 나라는 늘 돈이 모자라요. 왜냐하면 밥하고 옷하고 집을 짓는 데에 쓸 품이며 땀을 오롯이 부질없는 곳에 쏟아부었거든요. 그래서 자꾸 새롭게 싸움을 일으켜야 하고, 이웃으로 쳐들어가야 하며, 종으로 부릴 사람을 긁어모아야 합니다.

<실크로드 세계사>(피터 프랭코판/이재황 옮김, 책과함께, 2017)를 읽으면 비단길을 둘러싸고 얼마나 많은 나라가 얼마나 오랫동안 군대나 전쟁무기를 키워서 이웃마을하고 이웃나라를 윽박지르거나 괴롭혀서 돈을 가로채려고 애썼는가 하는 발자국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른바 넉넉한 돈이란, 물질이나 자원이란, 스스로 지은 길이 아닌, 군대하고 전쟁무기로 빼앗거나 가로채서 누리기 일쑤였습니다. 모든 문명이 이와 같아요. 그래서 모든 문명은 언제나 새로운 문명, 다시 말해서 새롭고 더 센 군대하고 전쟁무기한테 짓밟혀서 사라집니다.

오늘 우리 모습을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우리는 언제까지 밥도 집도 옷도 짓지 못하는 군대하고 전쟁무기에 어마어마한 돈을 쏟아붓는 바보짓을 해야 할까요? 바보걸음은 언제 멈출까요? 지구 어디에서나 손수 살림을 짓는 곳에서는 밥도 옷도 집도 넉넉합니다. 싸워서 윽박지르지 않아도 이웃하고 알뜰히 나눌 수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글쓴이 누리집(blog.naver.com/hbooklove)에도 실립니다.


실크로드 세계사 - 고대 제국에서 G2 시대까지

피터 프랭코판 지음, 이재황 옮김, 책과함께(2017)


고양이를 쓰다 - 작가들의 고양이를 문학에서 만나다

나쓰메 소세키 외 지음, 박성민 외 옮김, 시와서(2018)


돈이 필요 없는 나라

나가시마 류진 지음, 최성현 옮김, 샨티(2018)


태그:#꾸러미 읽기, #책읽기, #삶읽기, #인문책, #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