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클럽

북클럽 ⓒ 영화사 진진

 
1946년생 다이앤 키튼과 캔디스 버겐, 1953년생인 메리 스틴버겐, 그리고 무려 1937년생인 제인 포다까지 한 시대를 풍미했던 여배우들이 모였다. 그들은 '노익장'이란 말이 무색하게 여전히 진행중인 노년의 성과 사랑 그리고 삶을 당당하게 이야기 한다.
 
old age, '노년기'.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정상적인 인간의 일생에서 마지막 단계이다. 나라마다 혹은 사회적 환경에 따라 언제부터가 노년기인지는 조금씩 달라진다. 어떤 사회는 40대 중반 이후를 노년기로 잡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60세, 65세 이상의 인구를 '노년기'라 보고 있다. 고대 로마나 중세 때만 해도 인간의 수명은 20~30세였다. 하지만 과학, 의학 기술의 발달로 오늘날 노년세대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100세'를 고대하는 것도 이상하지 않는 시절이 되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지각은 물론 신체적 능력이 한층 저하되고 노화로 인한 다양한 질병을 앓게 된다. 이 때문에 노년기는 사회 활동을 하는 것이 부적합한 세대로 여겨진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과학의 발달로 상황이 많이 바뀌었다. 그와 함께 죽음을 기다리는 무기력한 세대의 위상도 달라지고 있다. 영화 <북클럽>은 바로 이렇게 달라지고 있는 노년세대의 삶을 성과 사랑이라는 각도에서 살펴본다.
 
<그레이>가 분출시킨 '노년세대'의 욕망 
 
 북클럽

북클럽 ⓒ 영화사 진진


여기 20대부터 40년간 우정을 쌓아온 네 명의 여성이 있다. 다이앤(다이앤 키튼 분), 비비안(제인 폰다 분), 섀론(캔디스 버겐 분), 캐롤(메리 스틴버겐 분), 이 네 여성들의 우정을 유지시켜 준 매개체는 '책'이다. 풋풋했던 젊은 시절, 한 달에 한 번 만나 책을 읽으며 '교양'을 쌓았던 이들은 40년 동안 그 우정을 이어오고 있다.
 
훌쩍 흘러버린 40년의 시간만큼 그들의 삶과 존재도 달라졌다. 숱한 남성들을 매혹시켰던 비비안은 한 남자에게 정착하는 대신 당당한 호텔 CEO가 되었다. 섀론은 과거엔 드물었던, 여성 법대 학생이란 자신의 이력을 연방 판사로 승화시켰다. 캐롤 역시 큰 레스토랑을 운영한다. 주부였던 다이앤 역시 딸 둘을 잘 키워냈다. '책으로 이어온 우정'이란 말 자체가 일정 정도의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온 그녀들의 삶을 상징한다.
 
그럴 즈음, 책을 읽기 위해 모인 모임에서 여전히 남성들을 갈아치우며 데이트를 즐기는 비비안이 2011년 e.l 제임스가 쓴 에로틱 로맨스 소설을 다음 책으로 선정한다. '남사스럽게 어떻게 그런 책을 읽느냐'는 섀론의 투정은 묵살되고, 당당하게 다음 달의 책으로 선정된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다.
 
왜 하필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였을까? 이미 같은 해 로버트 레드포드의 노익장을 한껏 발휘한 영화 <미스터 스마일>을 제작했던 빌 홀더맨 감독은 어버이날 자신이 선물한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를 어머님이 재밌게 읽으시는 걸 보고 <북클럽>의 모티브로 삼았다고 밝혔다. 빌 홀더맨 감독의 경우만이 아니다. 사디즘과 마조히즘적 노골적인 성애 모사를 한 이 책은 서구 중년 여성들 사이에서 베스트셀러가 되며 '엄마 포르노'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북클럽>은 '중년 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던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를 영화 속 여성들의 욕망 지렛대로 등장시킨다.
 
그리고 그 '지렛대'는 성공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수행했다. '우리 나이에 무슨 그런 책을 읽느냐고 했던 친구들은 모두 그 책에 푹 빠져버린다. 빠져버린 정도가 아니다. 그 책에 등장했던 성적 욕망에 대해 저마다 해프닝을 벌이며 '숨겨왔던' 자신의 욕망에 눈을 뜬다.
 
섀론은 근엄한 연방 판사지만, 오랫동안 싱글로 외로운 삶을 살았다. 15년 전 남편과 이혼한 그녀는 아들과도 전화 통화 한 통 겨우 하는 사이다. 하지만 여전히 남편의 근황에 촉각을 곤두세우던 그녀가, '그레이' 덕분에 '데이트' 사이트를 클릭한다. 은퇴한 남편과 사는 캐롤은 언제인지 기억조차 가물가물한 남편과의 섹스를 꿈꾸며 노심초사한다.
 
<섹스 앤 더 시티>와 비슷한 구성, 그러나
 
 북클럽

북클럽 ⓒ 영화사 진진


여기까지만 보면, 1994년부터 여러 시즌에 걸쳐 '성담론'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네 여성의 삶을 다룬 <섹스 앤 더 시티>와 구성이 비슷하다. 당시 <섹스 앤 더 시티>는 왜 그토록 전 세계 여성들에게 화제가 되었을까? 그건 그저 '성'을 담론으로 했기 때문이었을까? 물론 드라마의 주된 소재가 '성'이었다는 점이 인기 요인 중 하나라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그것만이 아니다. '성'을 매개로 하여, 전문직 여성들의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문제를 적나라하게 그렸다는 게 인기의 가장 큰 핵심이다. 즉, 성, 성적 욕망은 다른 말로 바꿔 표현하면 여전히 적극적이고 주제척인 자기 삶에 대한 욕망이다.
 
그런 의미에서 누가 봐도 노년세대인 네 친구들이 북클럽에서 '그레이'를 매개로 드러내 보인 성적 욕망은, 그들이 죽음을 기다리는 삶의 마지막 단계가 아니라 여전히 삶의 여정의 어딘가를 걷고 있음을 말해준다.
 
영화 속 딸들의 성화에 못 이겨 딸들이 사는 지역으로 가게 된 다이앤. 딸들은 "엄마는 힘들 테니 여기서 기다리라"며 백화점 1층에 엄마를 놔둔 채 2층으로 쇼핑을 하러간다. 다이앤은 엉거주춤 1층 계단 옆에 마련된 마사지 의자로 향했지만, 대기 의자에는 자기 몸조차 가누기 힘든 노인들이 실신하다시피 앉아있다. 그런 '노인'들에 비하면 아직은 한참 젊은 다이앤. 그러나 딸들은 그런 엄마를 마사지 의자에 의탁한 노인 취급 하며 자기 집 지하에 방을 마련해 줄 테니 와서 지내라며 보호를 자청한다.
 
영화에는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 '가지 않은 길'이 등장한다.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은 자신의 앞에 놓여 있는 두 가지 길 중 하나의 길을 가본 사람이 회고하는 '길', 즉 삶에 대한 감상이다. <북클럽>은 아직은 마사지 의자에 의지할 나이가 채 되지 않은 현역 '노년 세대'들을 등장시키며 그들이 걸어온 '길'을 회고할 처지가 아닌, 자신 앞에 놓여 있는 또 다른 길을 선택할 수 있는 나이라고 단언한다.
 
<섹스 앤더 시티>가 '섹스'로 시작해 결국 도시를 살아가는 여성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되었듯이, <북클럽> 역시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의 도발로 알을 깨고 나온 네 여성의 성적 욕망은 결국 그녀들의 삶에 대한 새로운 도전으로 마무리된다. 딸들이 마련한 지하 방에서 손주 돌보미로 나머지 인생을 보내는 대신, 자가용 비행기를 가진 새 애인과 미지의 세계에 도전하는 것을 선택한 엄마 다이앤부터 늘 애인을 갈아치우는 듯했지만 사실은 자신의 직업적 성공을 위해 사랑을 도피해온 비비안의 늦지 않은 사랑, 그리고 어엿한 연방 판사에 싱글이 된 지 15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얽매여왔던 전 가족 관계의 사슬에서 이제는 자유로워진 섀론, 마지막으로 성을 넘어 여전히 부부로서의 신뢰를 회복한 캐롤까지... 그녀들의 삶은 다시 새로운 문을 열며 마무리된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온 가족에 친지, 친구들을 불러 떠들썩하게 치렀던 환갑잔치건만, 요즘은 '민망하다'는 이들이 대다수다. 영화는 '노년세대'는 그저 한 세대로 퉁치기엔 다양한 욕망과 희망, 꿈을 가진 세대라고 말하는 듯하다. 영화는 노년세대가 '휴식'이 아니라, '살아가야 할' 과제를 가지고 있는 진행형의 삶이라고 정의한다.
 
노년세대들에게 '비타민' 같은 영화
 
 북클럽

북클럽 ⓒ 영화사 진진


물론 <북클럽> 속 이야기는 보고 싶은 것만 보여준 '판타지 로맨스'의 측면이 강하다. 영화 속 네 명 주인공들은 중산층 이상의, 대학을 나온, 한 달에 한 권 정도 책을 소화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을 가진 여성들이다. 그녀들에겐 보정 속옷이 문제가 될지언정 노인들에게 친근한 질병인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을 앓는 것 같은 기색조차 없다.
 
여전히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이스크림 한 통은 거뜬히 해치울 수 있는 건강 상태이다. 그뿐만 아니라 노년을 괴롭히는 중요한 고뇌인 '경제적'인 문제는 그녀들과는 관련이 없다. 자식들은 부모에 기생하는 대신, 전화 한 통으로 결혼을 통보할 정도로 너무도 독립적이거나 심지어 엄마를 못 돌봐줘서 안절부절못한다.
 
내 주변 노년세대들이 겪는 상당수의 문제들은 영화 속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역설적으로 60중반이 되어서도 여전히 현역이어야 하고, 사랑도 해야 하는 삶의 여정이 정열적이기도 하지만, 참 인생이 길다 싶은 생각도 든다.

그럼에도 <북클럽>은 여전히 팔팔한 노년세대들에게는 삶의 의지를 불러일으킬 만한 '비타민' 같은 영화임에는 틀림없다. 물론 그 '비타민'의 상표가 한 시대를 풍미했던 제인 폰다, 다이앤 키튼, 캔디스 버겐이었기에 더욱 개연성 있게 다가왔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북클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