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반별로 응시원서철을 만들고 교육지원청에 접수해야 한다. 저 위 굵은 쇠붙이가 압인이다.
▲ 응시원서철과 수수료지급영수증 반별로 응시원서철을 만들고 교육지원청에 접수해야 한다. 저 위 굵은 쇠붙이가 압인이다.
ⓒ 추준우

관련사진보기

 
9월 6일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 접수(학교에서 입력) 마감날이었다. 고3 부장과 교감은 출력하고 압인 누르고 직인 찍은 3학년 전체 종이 원서(응시원서철)를 수능 응시료와 함께 교육지원청에 제출해야 한다. 

이 접수 방법은 1994년 이후 변화가 없다. 변한 게 있다면 교사의 손글씨가 컴퓨터 타이핑으로 바뀐 것이다. 여전히 사진을 붙이고 압인을 누르고 직인을 찍는 것은 교사의 몫이다. 이 모든 것이 수능 대리 시험 방지를 위한 방법임을 안다. 그러나 이것은 고육지책이다. 시대에 뒤떨어진 방법이며 교사의 잡무다. 

자격고시는 물론 국가고시(공무원 시험, 교원임용시험)도 인터넷 접수로 바뀐 지 오래인데 수능접수만큼은 대리시험 방지를 이유로 이 방법을 고수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응시료도 보관하고 있다가 다음 날 은행에 가서 수표로 바꿔야 한다.

학생들이 예비응시원서(연습지)에 선택할 과목을 표시하면 선생님은 그것을 보고 입력한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재차 확인시킨다. 도중에 학생이 과목을 바꾸면 다시 출력해 확인 작업을 한다. 여기서 오류가 생기는 경우를 여러 번 봤다. 변경된 과목을 깜빡하고 고치지 않고 제출하는 실수도 있고, 학생은 무관심한데 부모님이 수능 응시과목을 확인하고 변경을 요구하기도 한다. 뉴스에는 보도되지 않지만 수능접수 관련 민원은 매년 학교, 교육청에 접수된다.

선생님은 자신이 입력한 학생 개개인의 응시과목 선택 여부 등을 두 세 번 이상 확인하며 학생들에게 정확히 확인하라고 다그친다. 필자는 3년 전 뼈아픈 기억이 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 제2외국어(4교시)를 반드시 선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서울대에 지원할 수 없다. 당시 학생은 제2외국어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서를 냈다. 뒤늦게 사달이 났다. 학부모는 '서울대에 낼 수 있는 학생에 제2외국어 응시 여부를 몰랐냐'며 몰아세웠고 필자는 '미안하다'는 말을 할 수밖에 없었다. 교육청에 민원을 넣을 경우, 교육청은 학교에 간접적으로나마 책임을 지라고 요구한다. 원칙적으로 따지면 마지막에 서명한 학생 본인이 책임을 지는 것이 맞지만 문제가 생기면 교사는 도의적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 학부모의 원성을 온몸으로 받아야 한다.
동료 교사들도 '수능 원서의 여권 사진을 보며 본인 지원 여부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다고'고 말한다. 

대비시험방지를 위해 전근대적 방법을 고수해야 할 논리가 없다. 더구나 교사의 큰 잡무이며 부담을 준다. 다른 국가고시처럼 학생, 학부모가 인터넷으로 직접 입력하고 응시표를 출력하면 된다. 또한 인터넷으로 접수하면 교육청, 교육부에서 자동으로 각종 통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전근대적 방법이 수능 폐지가 될 때 사라질까? 내년부터라도 학생, 학부모가 인증서를 통해 확인하고 수능 원서를 직접 작성하는 방법으로 개선되길 바란다. 선생님에게 불필요한 잡무를 주지 말고 실수에 따른 엄청난 책임감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자. 

오늘 수능 원서 제출 마지막 날이다. 3학년 부장은 종이 원서를 한 아름 안고 돈을 꼭 쥐고 교육지원청으로 수능 대박을 기원하며 신줏단지 모시듯 들고 교감과 함께 간다. 그리고 수능 이틀 전에 다시 교육청에 소중한 수능응시표를 학생 수만큼 수령하러 또 간다. 교육부(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그 무거운 발걸음을 걷지 않게 해 주기를 간곡히 바란다.

태그:#수능접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고등학교에서 주로 입시지도를 하다 중학교로 왔습니다.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나누며 지식뿐만 아니라 문학적 감수성을 쑥쑥 자라게 물을 뿌려 주고 싶습니다. 세상을 비판적으로 또는 따뜻하게 볼 수 있는 학생으로 성장하는데 오늘도 노력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