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식약처는 지난 8월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미승인 마스크들에 대한 주의를 환기한 바 있습니다.
 식약처는 지난 8월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미승인 마스크들에 대한 주의를 환기한 바 있습니다.
ⓒ 식약처

관련사진보기

 
7일 포털의 오픈마켓에서 '나노마스크'를 검색해보았습니다. 이날 기준 2만 4587개의 상품이 검색됩니다. '망사마스크'를 검색해봤습니다. 11만 9289개가 나옵니다. 나노필터는 망사마스크의 기본옵션처럼 되어있습니다. 가격은 만 원대. 마스크 중에서도 비싼 편입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다양한 마스크들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 중 나노필터를 정착한 마스크들도 함께 유명세를 탔는데요. 이 마스크, 정말 안심하고 써도 되는 것일까요?

확인되지 않은, 나노마스크의 효과
 
오픈마켓 상에는 FITI시험연구의 성적서가 많이 보였습니다. 이곳은 식약처 마스크 검사기관 중 한곳이기도 합니다.
 오픈마켓 상에는 FITI시험연구의 성적서가 많이 보였습니다. 이곳은 식약처 마스크 검사기관 중 한곳이기도 합니다.
ⓒ 오픈마켓

관련사진보기

 
먼저 눈에 들어온 건, 인증기관이었습니다. 많은 판매자가 'FITI시험연구원'의 시험 성적서를 인용하고 있었습니다. 이곳은 섬유‧산업자재 등의 시험분석을 해주는 종합검사기관입니다.

지난 2001년에 국가기술표준원의 공산품안전검정기관을 비롯해 산업부 등 여러 부처의 시험평가기관으로 지정되었고, 작년부터는 식약처의 마스크 시험기관으로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대부분의 업체는 이 시험성적서를 제품홍보에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일부 업체들은 한발 더 나아가, 이를 근거로 기술과 안정성이 인증된 것처럼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과연 사실일까요? 답은 아직 '알 수 없다' 입니다.

우선 FITI시험연구원은 마스크에 대한 인증을 하지 않습니다. 식약처가 지정한 검사기관 스무 곳 중 하나일 뿐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KF마스크는 의약외품으로 분류되며, 식약처의 인증을 받도록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나노필터 마스크는 식약처 인증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이 제품이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검증을 통과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는 나노필터?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첫 번째는 나노필터의 유기용매 잔류문제입니다. 필터 제조과정에서 사용된 유해성 있는 화학물질이 마스크에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두 번째 문제는 나노입자의 박리문제입니다. 마스크에서 나노물질이 떨어져 나와, 인체에 쌓일 수 있다는 문제입니다. 나노입자의 크기는 머리카락의 1/10만 정도로 아주 미세한데요. 인체에 들어오면 혈관과 뇌까지 침투할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배출할 방법이 없습니다.

또한 호흡기 안전성을 확인하는, 흡입독성 실험을 거쳤는지 불확실하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식약처와 산업부,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나노 필터 마스크
식약처와 산업부 사이에 관할공백이 생기며, 마스크 안전관리 사각지대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식약처와 산업부 사이에 관할공백이 생기며, 마스크 안전관리 사각지대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 강홍구

관련사진보기

 
마스크 관리는 크게 식약처와 산업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식약처는 '약사법'에 따라 의약외품 마스크를 담당하고 있고, 산업부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방한용 면 마스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안전관리 사각지대의 문제는 여기서 발생하게 됩니다.

나노마스크 업체들은 의약외품으로 승인이 어려워지자, 식약처에 비해 쉬운 방한대 안전관리를 기준으로 판로를 열었습니다. 현행법에 따라 성인용 방한대는 안전준수 등급을, 아동용은 공급자 확인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문제는 성인용 방한대의 경우 사전검증절차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업체들은 품질의 신뢰를 높이려고, 민간검사기관의 문을 두드리게 된 것이죠. 

문제는 이런 방식으로는 제품의 성능과 안정성을 장담할 수 없다는 데 있습니다. 해당 시험기관과 산업부, 식약처 관계자들에게도 관련내용을 확인해보았습니다. 

FIFI연구원 관계자는 해당 시험성적서가 나노필터의 성능과 안전을 보장하지는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안전성과‧유효성을 검증하는 건 식약처의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산업부는 방한용 면 마스크가 산업부의 영역이고, 유해물질과 감염원을 차단하는 보건목적 나노마스크는 식약처 담당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식약처는 약사법에 따라 의약외품 승인을 담당하기에, KF-94, KF-80, AD 이외의 공산품 마스크는 담당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나노물질 안전관리는 걸음마 단계, 안전공백은 누가?  

생활화학제품법은 나노물질을 ▲ 약 1㎚에서 100㎚ 크기의 구조를 갖는 화학물질로, 이런 입자의 개수가 50% 이상 분포하거나 ▲ 1nm 이하의 풀러렌(C60, 축구공 형태의 다면체 분자구조)이나 그래핀 플레이크(쉽게 말하면 탄소들이 육각형의 벌집 모양으로 모인 게 그래핀이고, 그래핀 플래이크는 흑연이 산화했다가, 얻어지는 그래핀 구조) 또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CNT, 탄소들이 원기둥으로 모양으로 결합한 구조) 등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아무리 봐도 모르는 게 당연합니다. 이런 생소함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세계적으로도 나노물질의 정의가 합의되지 않았고, 규제의 대상도 불분명한 면이 있습니다. 인체노출 가능성과 독성영향도 클 것으로 보이지만, 관리 수준은 아직 걸음마단계입니다.
 
다이텍이 대구시교육청을 통해 학생들에게 나눠준 나노필터 교체형 마스크. 나노필터에서 인체에 유해한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다이텍이 대구시교육청을 통해 학생들에게 나눠준 나노필터 교체형 마스크. 나노필터에서 인체에 유해한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나노필터의 안전성이 문제 된 사건도 있었기에, 시민들의 불안감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8월 14일 대구시는 자체 보유 중인 마스크에서 화학물질이 검출된 사실에 유감을 표했습니다. DMF라는 화학물질이 검출되었기 때문입니다. 공식명칭은 다이메틸폼아마이드입니다. 합성피혁제품의 생산을 위해 사용된다고 합니다. 피부접촉이나 흡입으로도 유해한 발암물질입니다. (관련 기사: 대구 '독성물질 마스크' 확인, 전량폐기... 시 공식 사과 http://omn.kr/1olzg)

정리하자면 나노라는 신물질을 활용한 마스크는 식약처의 검증을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담당해야 할 기관이 정리되지 않아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습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걱정이 많은 시기에, 검증되지 않은 나노필터 마스크는 신중한 사용이 필요해 보입니다.

태그:#나노필터마스크, #식약처, #환경운동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실체적 진실이 무엇일까요? 항상 고민하고 묻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