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통일부 북한자료센터로부터 교내 상영 허가를 받았습니다. 내블통이 출범한 날, DVD를 담은 소포가 도착했습니다.
▲ 북한 예술 영화 <우리 집 이야기> 통일부 북한자료센터로부터 교내 상영 허가를 받았습니다. 내블통이 출범한 날, DVD를 담은 소포가 도착했습니다.
ⓒ 서부원

관련사진보기

 
학교 곳곳에 게시물도 만들어 붙이고, 수업 시간마다 열심히 홍보했지만 별다른 호응이 없었다. 이 와중에 무슨 통일 교육이냐며 하나같이 생뚱맞다는 표정이었다. 고작 관심을 보인 아이도 활동 내용을 생활기록부에 기재할 수 있는지부터 물었다. 대학 입시에 도움이 되면 하겠다는 뜻이다.

스스로 들떠 동아리 가입 신청서를 수십 장 미리 출력해놨는데, 애꿎은 종이만 낭비한 꼴이 됐다. 고민해보겠다며 가져간 아이는 모두 11명, 제출한 경우는 달랑 5명이다. 그나마 2명 빼고는 제출한 신청서에 장난기가 가득했다. 가입하려는 이유를 '김정은 처단'이나 '북한 여자 친구를 사귀고 싶어서'라고 적은 아이도 있었다.

결국, 직접 '영업'에 나섰다. 수업 시간 눈에 띈 각 학급 아이들을 개별 면담하면서 가입을 종용했다. 통일에 아무런 관심이 없고, 북한이라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드는 아이들을 설득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당장 대학 입시 준비에 지장을 줄 거라는 우려를 불식시키는 것이 급선무였다.

대학 입시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하는 아이라면 애초 배제하기로 마음먹었다. 아이들은 2024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자율 동아리를 비롯한 비교과 영역의 활동 내용이 전형자료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 사실 한 사람이라도 마음이 '콩밭'에 가 있으면, 함께하는 다른 이들의 의욕만 꺾게 만든다.

일단 독서 모임으로 시작하기로 했다. 아이들도 책을 정기적으로 읽은 뒤 감상을 나누는 가벼운 모임에는 큰 부담을 느끼지 않는 눈치였다. 더욱이 한 달에 한 번 정도 야간자율학습 시간을 활용해서 모일 계획이라고 했더니, 잠깐 머리도 식힐 겸 괜찮겠다고 맞장구를 치기도 했다. 북한에 관해서라면 왠지 자극적인 내용일 거라는 편견도 작용하는 것 같았다.

흔히 '영상 세대'라며 뭉뚱그리지만, 책 읽기를 좋아한다는 아이들이 더러 있다. 함께할 책을 무제한 공짜로 제공한다고 공지했더니, 아이들이 한두 명씩 모여들기 시작했다. 조건은 딱 하나, 정기적인 독서 모임에 참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방역지침 상 모임을 비대면 원격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불참 시에는 감상문을 제출하도록 했다.

아이들과 나눌 북한 이야기

지난 4월 9일, 회원 6명, 준회원 6명, 교사 3명, 이렇게 15명으로 동아리가 출범했다. 여기서 준회원이란 동아리 가입 신청서를 미제출한 경우이거나 한두 번 모임에 참여한 뒤 그때 가서 결정하겠다는 아이들이다. 일단 한국사 교사 2명과 행정실 직원 1명이 함께하는데, 앞으로 교사들의 참여도 독려할 계획이다.

첫 번째 책은 임종진 전 <한겨레> 사진 기자가 쓴 <평화로 가는 사진 여행>으로 정했다. 책에 대해서는 지난 연재 글을 통해 나름 자세히 소개했다. 한 아이에게 슬쩍 보여주었더니, 이 책이라면 누구나 부담 없이 읽을 것 같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이내 동네 책방에 동아리 홍보를 위한 몫 5권을 포함해 총 20권을 주문했다.

책이 도착하면 아이들에게 배포되고, 구체적인 모임 일시가 정해질 것이다. 책을 읽은 뒤 만나 아이들과 나눌 북한 이야기는 어떨지 상상만 해도 설렌다. 모임 때 나눈 이야기와 제출한 소감문 등은 학년말에 소책자로 한데 묶어낼 요량이다. 조촐하나마 1년 동안 북한에 대한 아이들의 생각이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보여주는 징표가 될 것이다.

회원들에겐 별도의 임무도 있다. 자신의 소감과 모임 때 나눈 이야기들을 다른 친구들과 다양한 채널을 통해 공유하는 것이다. 애초 비대면 원격 수업 전용 교실이 마련되어 있어 그 공간을 활용해 어설프나마 유튜브 영상으로 제작해 보려고 했다. 그런데, 현실을 도외시한 무모한 계획이었다. 대본도 배우도 없는데 카메라부터 들이댄 꼴이라고나 할까.

한편, 영화 모임도 함께 시작하기로 했다. 책보다 한결 부담을 더 느낄 것이라 여겨서다. 이는 참가 자격을 동아리 회원들로 한정시키지 않고, 관람을 희망하는 아이들과 교사들로 점차 대상을 넓힐 요량이다. 이 또한 한 달에 한 번 야간자율학습 시간을 할애하기로 했다. 당장은 방역지침에 따른 거리 두기로 20명 정도만 관람이 가능할 듯하다.

홍보할 겸 북한 관련 영화를 상영한다고 했더니, 아이들은 웬만한 작품들은 다 봤다고 심드렁하게 대꾸했다. 앞다퉈 오래된 영화로부터 최신작까지 제목을 줄줄 읊어댔다. <웰컴투동막골> <태극기 휘날리며> < JSA 공동경비구역> <강철비> <고지전> <베를린> <공작> <국제시장> <인천상륙작전> 등을 말하며 두세 번 본 영화도 수두룩하다고 했다.

사실 열거한 상업 영화들은 학교에서 공공연히 상영하기 힘들 뿐더러 통일 교육 목적으로 활용하기도 애매한 측면이 있다. 상영 계획 중인 작품이 대개 다큐멘터리 영화인 이유다. 우리나라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다큐멘터리 영화제 출품작 중에 통일과 북한 관련 영화를 선정할 예정이며, 현재 배급사에 연락해 가능 여부를 타진하고 있다.

인터넷으로 적당한 상영작을 검색하다 언뜻 흑백 영화 같기도 한 낯선 작품 한 편에 눈길이 갔다. 2016년 열린 제15차 평양국제영화축전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우리 집 이야기>. 지난 2018년 부천판타스틱국제영화제에 출품된 9편의 북한 영화 중의 하나로, '북한 예술 영화'라는 부제를 단, 말 그대로, '오리지널' 북한 영화다.

스무 살의 나이로 고아 7명을 키우며 북한 전역에 큰 화제가 된 '처녀 어머니' 장정화의 실화를 모티브로 하고 있는데, 전체 영상이 이미 유튜브에 올라와 있다. 상영 시간은 100분으로, 근래 북한에서 가장 잘 만든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화질이 좋지 않다는 게 흠이다. 고화질에 익숙한 우리로선 선뜻 시청할 마음이 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일 열차가 출발한다
 
임종진 사진작가의 <평화로 가는 사진 여행>에 실린 사진
 임종진 사진작가의 <평화로 가는 사진 여행>에 실린 사진
ⓒ 임종진

관련사진보기

 
영상 파일을 구하기 위해 부천판타스틱영화제 사무국에 전화를 걸었다. 파일은 '함부로' 가지고 있을 수 없다며, 한국영상자료원에 문의하라고 했다. 그러면서 당시의 '웃픈' 에피소드 한 자락을 들려주었다. 사무실로 '태극기 부대'로 추정되는 어르신들의 항의 전화가 빗발쳤다는 것이다. '빨갱이'를 두둔하는 영화를 상영했다는 이유에서다.

전화를 끊은 뒤 알려준 대로 영상자료원에 연락했다. 담당자는 파일은 가지고 있지만 '함부로' 제공할 수 없다고 했다. 북한에서 제작된 영화는 일반적인 국내외 영화와는 취급 규정이 다르다며, 관련 부서인 국정원과 통일부 등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직접 영상자료원을 방문해서 통제 아래 단체 관람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담당자는 학교에서 통일 교육 목적으로 활용할 거라는 내 말에 화들짝 놀라는 목소리였다. 북한과 관련된 작품은 관점에 따라서 이적 표현물로 볼 수도 있어서 위험하다는 것이다. '함부로'라는 말은 그런 뜻이었던 셈이다. 이미 유튜브에 탑재되어 누구나 볼 수 있는 영화인데 뭐가 문제냐고 했더니, 되레 국가보안법은 이현령비현령이라는 걸 몰라서 묻냐고 반문했다.

결국 전화기를 들고 영화제 사무국에서 영상자료원을 지나 통일부에까지 이르렀다. 굳이 북한 영화를 아이들에게 보여주려는 이유를 꼬치꼬치 묻더니 알았다면서 관련 기관 담당자의 연락처를 일러주었다. 통일부가 끝이 아니었던 거다. 온종일 돌고 돌아 다다른 곳, 국립중앙도서관에 자리한 통일부 산하 북한자료센터가 종착역이었다.

과정은 그토록 험난했는데, 막상 신청 방법은 허무하리만큼 간단했다. 북한자료센터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상영 일시를 지정하고 대상 인원과 목적 등을 기재한 신청서만 보내면 끝이다. 다만, 작성한 신청서를 출력해 학교장의 결재를 받아야 하고, 학교장 직인이 찍힌 신청서를 다시 스캔한 뒤 보내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다.

물론, 북한에서 제작된 영화라는 특수성 때문에 각별히 유의할 점은 있다. 파일을 외부로 유출하는 건 말할 것도 없고, 다른 목적으로 전용해서도 안 된다. 나아가 상영 도중 영상을 사진에 담아서도 안 된다는 조건이 붙어 있다. 곧, 관람 장면을 사진으로 남기려거든, 스크린을 등지고 관람자를 향해 촬영해야 한다.

공교롭게도, 동아리가 공식 출범한 날 북한자료센터로부터 영화 DVD가 소포로 도착했다. 이게 뭐라고, 포장을 뜯으며 살짝 뭉클했다. 4월 13일 저녁 야간자율학습 시간 도서관에서 올해 첫 영화 모임이 시작됐다. 북한 영화 <우리 집 이야기>와 사진 책 <평화로 가는 사진 여행>으로, 아이들과 함께 '내 마음속 블루오션'을 향해 '통일' 열차가 출발한다.

끝으로, 영화제 사무국과 영상자료원, 통일부의 담당자분들에게 전화로 미처 하지 못한 내 대답을 여기에 남겨야겠다. 고맙게도, 그분들은 하나같이 현직 교사인 나를 걱정해주었다. 누가 알아주지도 않고, 하지 않아도 될 일을 왜 굳이 번거롭게 하려고 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기도 하다.

"여러분들의 걱정과 때론 의심 어린 눈초리까지 받아 가며, 굳이 북한 영화를 아이들에게 상영하려는 이유가 있습니다. 기존의 통일 교육은 껍데기만 남았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맥락 없이 통일만 외쳐대는, 곧, 통일 자체를 목표로 삼은 통일 교육은 '필패'입니다. 장담하건대, 통일로 가는 길은 '구동존이(求同存異)'라는 외길뿐입니다. 적어도, 미래세대 아이들은 극단적 이념 갈등과 확증편향 등 '분단의 DNA'에 갇히게 해서는 안 된다는 절박함이 교사로서 제겐 있습니다. 그 노력의 첫걸음은 북한을 만나는 것입니다. 책으로든, 영화로든, 무엇으로든!"

태그:#통일 교육, #우리 집 이야기,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평화로 가는 사진 여행, #부천판타스틱국제영화제
댓글10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잠시 미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내 꿈은 두 발로 세계일주를 하는 것이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