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총명하고 본인 주관이 뚜렷한 소녀 '오필리아(데이지 리들리)'는 왕실의 연회 자리에서 기지를 발휘해 왕비 '거트루드(나오미 왓츠)'의 총애를 받고, 왕실의 시녀가 된다. 비록 규율이 엄격한 궁전에서 지내지만 오빠인 '레어티즈(톰 펠튼)' 어깨너머로 공부하는 등 특유의 자유로움을 잃지 않은 오필리아에게 왕자 '햄릿(조지 맥케이)'은 첫눈에 반해 열렬히 구애하고, 오필리아도 그 사랑을 이루려고 하나 신분의 격차가 두 연인을 가로막는다.

그러던 어느 날 선왕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덴마크 왕국은 혼란의 소용돌이에 빠져들고, 왕비와 선왕의 동생인 '클로디어스(클라이브 오웬)' 간의 비밀은 물론 왕비와 숨겨진 자매인 '마틸드(나오미 왓츠)'의 과거사까지도 모두 아는 오필리아는 햄릿과의 사랑은 물론 자신의 인생까지도 바꿀 선택의 순간을 마주한다. 

<오필리아>는 영국의 화가 존 에버렛 밀레이의 그림을 그대로 옮긴 듯한 장면으로 시작한다. 원작인 <햄릿> 대로라면 이 장면에서 물에 떠내려가는 오필리아는 이내 물 밑으로 가라앉아 사망한다. 하지만 원작에서 그녀의 최후가 사고인지 자살인지 애매하게 묘사되었다는 점에 주목한 영화는 이 장면 전후로 새로운 이야기를 붙여 넣는다. 총 스무 장으로 구성된 <햄릿>에서 다섯 장에만 모습을 드러냈던 오필리아는 물론, 원작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거의 드러내지 않던 거트루드와 같은 여성 인물을 운명을 극복하고 삶과 사랑을 쟁취하는 진취적이고 독립적인 캐릭터로 재해석하는 것이다. 이때 영화는 그들의 이미지를 새로이 만들기 위해서 오래된 신화 속 두 여성의 삶을 재현하며 설득력을 더한다. 

영화로 다시 태어난 인물들
 
 영화 '오필리아' 속 한 장면.

영화 '오필리아' 속 한 장면. ⓒ 씨나몬(주)홈초이스

 
오필리아가 주체적인 여성으로 우뚝 서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햄릿과 새로운 관계를 맺어야만 한다. 그러지 않는 한 그녀는 영원히 햄릿이라는 지구 주위를 떠도는 달과 다름없는 여인으로 남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필리아>는 이 달의 궤도에 자유와 진취성을 불어넣기 위해 제우스의 딸이자 아폴론의 쌍둥이인 아르테미스의 이미지를 빌려온다. 실제로 영화는 오필리아가 햄릿을 처음 만나는 순간부터 그리스 신화에서 달빛의 신이자, 숲과 샘물, 산짐승과 소녀들, 그리고 처녀들의 수호신으로 등장하는 아르테미스의 성격을 그녀에게 투영시킨다. 

미래에 자신이 몸을 던질 개울가에서 목욕을 하던 오필리아는 갑작스럽게 햄릿과 그의 친구 호레이쇼를 조우하고, 그녀는 자신에게 추근대며 말을 걸어오는 햄릿을 피해 도망친다. 이후 궁전에서 재회한 햄릿에게 오필리아는 같이 보고 있던 아르테미스와 악타이온의 그림, 곧 자신이 목욕하는 것을 훔쳐본 사냥꾼을 아르테미스가 사슴으로 변신시키는 순간을 묘사한 그림을 예로 들어 그를 비난한다. 사슴이 된 악타이온이 자신의 사냥개들에게 물어뜯겨 죽었다는 신화 속 결말을 고려하면, 이 장면은 원작에서 드러나지 않는 왕자와 시녀 간의 위계에 굴하지 않는 오필리아라는 인물의 이미지가 뇌리에 강렬히 각인되는 순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영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오필리아에게 아르테미스의 이미지를 거듭 덧입힌다. 예를 들어 오필리아는 숲에 발을 내딛고 밤에 궁전을 자유로이 돌아다니는 여성이며, 그녀가 궁성의 망루에 올라갈 때면 항상 화면에 달이 등장한다. 특히 그녀는 자신을 따르는 요정과 여성들이 남신들과 영웅들에게 쫓길 때 그들을 지켜주었던 아르테미스처럼 여성들과 연대하고 보호하는 유일한 인물이다. 

여성으로서 자신의 삶을 잃거나 어머니로서 아들을 지키지 못하는 거트루드나 마틸드는 클로디어스로 대변되는 가부장제의 피해자, 침묵하는 여성들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왕비의 부탁을 받아 자매의 연락책으로 움직이는 오필리아는 그들의 아픈 과거사를 들어주고, 지켜주고, 그들이 클로디어스에게 맞설 수 있는 길을 귀띔해주며 영화의 끝을 장식하는 복수극으로 향하는 길을 열어준다. 

한편 <오필리아>는 메데이아를 두 번째 모델로 삼아 침묵하던 피해자인 거트루드와 마틸드가 자신의 의지와 주체성을 되찾는 서사를 그려낸다. 메데이아는 그리스 신화의 여성 중 가장 주도적인 캐릭터다. 이아손에게 먼저 구애의 손을 내민 것도, 사랑을 쫓아 가족과 나라를 배신한 것도, 보물인 황금 양피를 훔치고 이아손을 구하기 위해 동생을 죽인 것도 그녀다. 모험을 끝내고 돌아온 이아손이 더 강한 권력을 좇아 새로 결혼을 하려 하자 그에게 복수하기 위해 남편이 가장 사랑하는 대상, 아이들을 직접 살해하기까지 한다. 

영화는 메데이아의 삶을 축약하는 세 키워드, 사랑과 배신, 그리고 복수를 두 명의 여성, 왕비인 거트루드와 그녀의 언니이자 마녀인 마틸드에게 대입한다. 거트루드는 원작과 달리 적극적으로 자신의 사랑을 욕망한다. 클로디어스의 추파도 피하지 않고, 자신의 징표를 그에게 하사하며 적극적으로 애정을 표한다. 마틸드 역시 젊은 날 사랑해서는 안 될 한 남자를 뜨겁게 사랑했다고 회상한다. 그러나 자매는 배신으로 사랑의 대가를 치른다. 

클로디어스가 왕위에 오른 후 거트루드는 왕비(queen)가 아닌 왕의 아내(king's wife)로 종속당하고, 자신과 아들인 햄릿의 안위를 보장받지 못한다. 마틸드도 다르지 않다. 그녀는 연인에게 이용당하고 버려진 후 숲에서 은둔한 채 존재를 잃고 그저 거트루드의 자매로 살아간다. 결국 거트루드에게 마틸드가 젊음의 묘약을 만들어 주는 것은 먼저 사랑하고 배신 당한 왕비이자 마녀인 메데이아의 이야기가 두 인물로 나뉘어 부여된 것이고, 이는 나오미 왓츠가 두 배역을 맡아 1인 2역의 열연을 펼친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화는 자매의 손을 통해 메데이아의 복수를 이룬다. 클로디어스가 가장 사랑하는 왕국과 그의 목숨까지도 파괴한다. 그렇게 이아손으로 하여금 사랑하는 이를 잃는 고통을 맛보게 했다는 결말과 이아손까지도 메데이아가 직접 죽였다는 또 다른 전승을 동시에 재현한다. 다만 결말에서는 약간의 변주를 준다. 그렇게 숲 속에서 시작된 비극 속 여성들의 연대는 메데이아와 같은 인간들을 계속해서 도와줄 존재를 남기려는 듯이 과거를 딛고 새로운 미래를 마주하는 오필리아의 모습으로 귀결된다. 

원작을 바꾸고 싶은 욕심
   
 영화 '오필리아' 속 한 장면.

영화 '오필리아' 속 한 장면. ⓒ 씨나몬(주)홈초이스

   
다만 신화와 비극을 절묘하게 섞어 탄생시킨 오필리아의 새로운 이야기는 그 무게감에 비해 날카롭거나 힘 있게 와닿지는 못한다. 우선 주인공을 설명하는 방식이 너무 직접적이고, 지루하다. 첫 장면에서 오필리아는 자신의 진짜 이야기를 들려주겠다고 말한 뒤, 본인이 하고 싶은 말은 다하고 의견을 꺾지는 못하는 사람이라면서 진취적이고 주체적인 인간이라고 선언하다시피 한다. 영화의 마지막도 비슷한 내용의 내레이션으로 마무리된다. 앞서 언급한 햄릿과의 언쟁이라든가 왕비의 시녀로 들어가게 되는 경위 등을 통해서도 새로운 오필리아의 모습을 유추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점에서 이러한 내레이션은 동어반복처럼 느껴지고, 굳이 삽입될 필요가 없어 보인다. 

또한 조급하다. 영화를 보다 보면 원작 속 굵직한 사건들에 가급적 모두 손을 대고 변형하려는 욕망이 강하게 느껴진다. 문제는 결코 짧지 않은 <햄릿>의 앞뒤에 새로운 이야기까지 덧붙이다 보니 제한된 러닝타임 안에서 영화의 리듬이 굉장히 빠르다는 사실이다. 마치 RPG 게임에서 주인공을 따라 퀘스트를 해결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지는 것처럼 느껴지기까지 한다. 사건과 사건, 장면과 장면 사이의 시간 간격도 매우 넓은 가운데 인물들의 대사가 상당히 빠르게 오가다 보니 주인공들의 감정선을 유추한다 하더라도 그 변화가 정확히 전달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오필리아>가 원작의 중심 메시지까지 삭제하는 급격한 재해석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이 문제는 더 두드러진다. 이번 영화에서는 햄릿의 명대사인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를 만날 수 없다. 아버지의 유령을 만난 후 있음과 없음, 선과 악, 삶과 죽음 사이에서 고뇌하고, 초연해지려고 마음 먹지만 끝내 그 이분법 안에서 고통받는 복잡한 인간이자, 그렇기에 긴 시간 동안 사람들을 매혹시킬 수 있었던 햄릿의 모습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다 보니 햄릿, 레어티즈, 클로디어스가 얽히고설킨 결투와 거트루드와 마틸드의 복수극이 합쳐진 클라이맥스는 자연스러운 듯하면서도 묘하게 어색하고, 융화되지 않은 듯 느껴진다. 굳이 살려둔 햄릿과 레어티즈의 서사가 원작의 보존도 아니고 재해석도 아닌 애매한 결과를 초래한다. 

그래서일까? 원작의 핵심 메시지를 챙기지 않을 것이라면 <햄릿>을 재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모티브로만 삼는 것이 나아 보인다.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에서 착안했지만 대부분의 내용을 새롭게 구성한 매들린 밀러의 소설 <아킬레우스의 노래>와 <키르케>처럼, 남성 주인공들과 관련된 원전의 내용을 더 쳐내고 그 빈자리를 더욱 온전히 세 여성들의 이야기로 채워 넣는 게 원작의 재해석이라는 취지에 더 적합해 보이는 것이다. 이처럼 자신의 상상력에 스스로 제동을 건 결과 비극을 신화적으로, 또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오필리아>는 미완의 시도로 남고 만다.
덧붙이는 글 개인 브런치(https://brunch.co.kr/@potter1113)와 블로그(https://blog.naver.com/potter1113)에 게재한 글입니다.
영화리뷰 오필리아 햄릿 셰익스피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영화를 읽는 하루, KinoDAY의 공간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종교학과 정치경제철학을 공부했고, 지금은 영화와 드라마를 보고, 읽고, 씁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