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퍼스트 슬램덩크> 포스터.? ⓒ NEW 1990년대 초중반 일본과 한국 양국의 만화계, 아니 문화계 전반을 지배했던 <슬램덩크>는 21세기가 한창인 지금도 여전히 크나큰 인기를 끌고 있거니와 영향력도 끼치고 있다. 최근 일본의 앙케이트 조사에서 가장 좋아하는 만화 순위 최상단에 위치했고, 역시 최근에 모바일 게임으로 재탄생하기도 했으니 말이다. 무엇보다 신극장판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원작자 '이노우에 다케히코' 작화, 각본, 감독으로 찾아온 게 크다. 궁극의 인기 만화답게 그동안 극장판이 없었던 건 아니나, <슬램덩크> 연재가 한창이던 1994년~1996년 공개한 네 편의 구극장판들은 길지 않은 분량으로 원작에선 짧게 스쳐지나가듯 다룬 에피소드를 자세히 다룬 정도였다. 그런가 하면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구극장판의 기조, 즉 원작에선 크게 다루지 않은 에피소드를 자세히 다룬다는 기조를 따르지만 원작이 끝난 지 참으로 오래되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원작자가 직접 각본과 감독 그리고 캐릭터 디자인과 작화까지 사실상 모든 걸 챙겼다는 점에서 감화가 새롭다고 하겠다. 신극장판의 진주인공은 강백호, 서태웅, 채치수, 정대만도 아니고 송태섭이다. 의외라면 의외이겠으나 <슬램덩크>의 팬들 입장에선 너무나도 기다렸던 이야기이기도 하다. 송태섭의 이야기, 그리고 산왕전 일본 오키나와, 초등학생 송태섭에겐 중학생 형 송준섭과 여동생 송아라가 있다. 어느 날 아버지를 여의고 가족 전체가 실의에 빠진다. 하지만 형 준섭은 태섭과 가족들을 보살핀다. 출중한 농구 실력으로 학교 농구부에서도 이름을 떨치고 있는 준섭은 종종 태섭과 1 대 1 게임을 하며 놀아주기도 했다. 그런데 오래지 않아 준섭마저 잃고 만다. 태섭은 자기와 1 대 1 게임을 하다 말고 친구들과 낚시를 나가는 준섭에게 울고 불고하며 저주를 퍼부었는데, 그것이 현실이 되어 버렸다는 자책감을 가지고 있다. 태섭은 괜찮은 실력으로 학교에서 농구를 시작했지만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형 준섭의 이야기와 그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결국 농구를 포기하고 만다. 북산 고등학교로 전학 온 태섭, 정대만이 이끄는 일진 무리와 얽혀 더없이 힘들어한다. 이제까지의 삶을 돌아 볼 시간이다. 그러던 차 형 준섭, 농구 그리고 엄마와 다시 조우하며 농구를 향한 열의를 불태운다. 그에게 농구 말고 남은 게 무엇이란 말인가. 한편, 북산고등학교는 지역 예선을 뚫고 인터하이 32강에서 전국 최강 산왕 공업고등학교와 맞닥뜨린다. 제아무리 북산고등학교 역사상 최강의 멤버가 모였다고 해도 이겨 내기 너무나도 어려운 상대다. 채치수, 정대만, 송태섭, 서태웅, 강백호 5인방은 어떻게 이 위기를 헤쳐 나갈 것인지? 최선을 다한다고 해서, 한계를 뛰어넘는다고 해서, 꺾이지 않는 투지를 견지한다고 해서 이길 수 있을까? 인생에 다시없을 기회를 꽉 붙잡고 영광의 시대를 마음껏 즐길 시간이다. 익숙함과 새로움의 조화와 균형 '슬램덩크' 신극장판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주지했듯 원작자 이노우에 다케히코가 작화, 각본, 감독을 도맡아 오랫동안 작품 전체를 진두지휘한 결과물이다. 어떤 식으로 나왔든, 얼마큼의 퀄리티로 나왔든 상관없이 원작 팬들은 환희에 찰 게 분명하다.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가는 듯한 느낌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작품은 예상대로였다. 원작을 대표하는 경기인 산왕과의 인터하이 32강전을 그대로 가져왔거니와 원작을 대표할 만한 장면과 대사가 다수 포함되어 있기에, 가슴이 벅차오른다. 한편, 원작에선 전혀 다뤄지지 않았거니와 비중도 가장 떨어지는 '송태섭'을 전면에 배치해 그의 사연이 경기 중간중간 회상으로 들어간다. 이런 장면이 작품의 반 이상을 차지하니 마냥 익숙하지 않고 새로운 감성을 충족시키기도 한다. 익숙함과 새로움의 조화와 균형이 참으로 적절하다고 하겠다. 물론, 바로 그 지점 때문에 오롯이 송태섭의 이야기에만 집중하고 감상하는 게 힘들었을 수도 있다. 경기 흐름이 뚝뚝 끊기는 맛이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건 원작을 본 사람이라면 너무나도 잘 알 만한 산왕전의 익숙함을 흔드는 한편, 송태섭의 새로운 회상신이 갖는 의미가 산왕전과 의미있게 연결되길 바라는 원작자의 바람이 담겨있다. 원작을 봤든 보지 않았든, <더 퍼스트 슬램덩크>를 보고 반드시 원작 <슬램덩크>를 보길 바란다. 또 다른 감동을 느낄 테다. 그리고 다시 <더 퍼스트 슬램덩크>를 보면, 남다른 디테일을 접할 수 있을 테다. 충만해지는 감상법이다. 가슴을 뛰게 하고 먹먹하게 하고 <슬램덩크>가 지금도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지만 원작을 접하지 못한 이도 많을 것이다. 원작이 나온 지 자그마치 30년 가까이 흘렀고 1996년 이후엔 관련된 그 어떤 영상 콘텐츠도 나온 바가 없으니 말이다. 그런 와중에 신극장판이 개봉했으니, 원작을 제대로 접하지 않은 이가 본다면 어떤 느낌일까 궁금하기도 하다. 현장감이 중요한 산왕전에선 바탕에 3D를 깔아 입체감을 부각시켰고, 회상신에선 만화책의 질감을 살려 아날로그적인 느낌을 부각시켰다. 따로 또 같이, 적절하게 감성을 터치한 시도가 돋보인다. 단순히 원작 팬의 절대적이고 확고한 노스텔지아에 기댄 게 아니라 만인에게 다가가기 위해 완벽에 완벽을 기한 것 같다. 다시 제목으로 돌아가 본다. '슬램덩크' 앞에 붙인 '더 퍼스트(THE FIRST)'를 눈여겨본다. 일종의 선언처럼 보인다. <슬램덩크>가 다시 시작되는데 이 작품이 그 첫 번째 결과물이라고 말이다. 언젠가는 '더 세컨드(THE SECOND)'가 찾아올 거라고 말이다. 그때 다시 가슴 먹먹해지고 또 가슴 뛸 준비가 되었느냐고 말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singenv.tistory.com과 contents.premium.naver.com/singenv/themovie에도 실립니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 #이노우에 다케히코 #송태섭 #산왕전 #감성 터치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10만인클럽 회원 김형욱 (singenv) 내방 구독하기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네이버 채널에서 오마이뉴스를 구독하세요 스크랩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공유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기사 요약 보기 추천10 댓글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