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흰지팡이

[S다이어리] 제9화

등록|2007.11.22 13:22 수정|2007.11.22 13:24
'S다이어리'는 시각장애인기관에서 일하는 S(김수현)의 이야기다. 시각장애인 동료와 함께 일하고 시각장애인을 취재하면서 겪게 되는 토막 이야기들을 통해 S가 시각장애인에 대해 이해해 가는 과정을 담아낸다. S다이어리가 시각장애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기자 주>

<S다이어리> 제9화 흰지팡이에 대하여

10월 15일은 세계시각장애인연합회(WBU)가 제정한 흰지팡이의 날이다. 흰지팡이의 날을 맞아 시각장애인 복지대회를 개최한다는 보도자료를 보며 S는 입사 초기를 떠올렸다. S가 시각장애인들의 지팡이의 색깔이 흰색이라는 걸 알게 된 것은 시각장애인 도서관 입사 후 한참이 지나서였다.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노인들의 나무지팡이나 등산용 지팡이와 달리 흰색으로 규정돼 있다. 지팡이는 길을 갈 때 시각장애인이 장애물을 피해갈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인 동시에 시각장애인임을 표현하는 방편인 것이다.

시각장애인 동료 J의 말에 따르면, 흰지팡이를 이용한 보행교육은 중학교 때 시작된단다. 흰지팡이 규격은 소/중/대로 나뉘어 있는데, 아동용 지팡이는 따로 제작되지 않기 때문에 중학생 정도 돼야 지팡이를 사용할 만하다는 것이다.

학교에서는 주 2시간 정도 보행교육을 하는데, 약시와 시각장애인이 한 조를 이뤄서 연습을 한다. 시각장애인이 흰지팡이로 길을 가면, 약시자가 뒤따라가면서 정말 위험할 때만 도와주는 것이다. 경로를 얘기해주고 어느 팀이 빨리 찾아오나 하는 경기를 하기도 하고, 좀 익숙해지면 등산을 가기도 한다.

J가 물었다.
“흰지팡이가 모든 장애물을 피해줄 수는 없다는 거 알아요?”
“지팡이로 감지할 수 없는 장애물이 뭐가 있죠?”

“보통 시각장애인들이 지팡이를 좌우로 흔들면서 앞부분의 장애물을 찾잖아요. 근데 그 박자가 잘 안 맞을 경우에는 지팡이는 차량진입방지말뚝에 닿지 않았는데, 다리는 거기에 부딪힐 수도 있어요. 그리고 특히 키 높은 덤프트럭이 서 있을 땐 분명 아래 부분엔 아무것도 없었는데 갑자기 얼굴이나 가슴이 트럭 몸체에 맞닥뜨려지기도 하고요.”
“아~! 위험하겠어요.”

“제가 아는 사람한테 들은 얘긴데요. 흰지팡이 보행을 하면서 지하도를 걷고 있었는데, 갑자기 바닥에서 우두둑 소리가 나더래요. 바닥에 시계를 깔아놓고 팔던 노점이었는데, 바닥에 얇게 깔린 걸 시각장애인이 알 턱이 있나요. 장사하던 사람도 불법영업 중이었으니 안 보이는 사람한테 배상하라 할 수도 없고.”

그리고 시각장애인들 사이에서 도는 우스개이야기도 들려주었다.

“시각장애인 두 명이 이야기를 나누며 나란히 길을 가고 있었어요. 그런데 갑자기 한 명이 사라진 거예요. 남은 한 명이 야, 너 어디 갔어? 하고 친구를 찾았죠. 그랬더니 저 아래에서 나, 여기 있어. 라고 대답했대요. 열려 있던 맨홀에 빠진 거예요. 하하하.”
“아…!”

흰지팡이가 계단이나 벽 같은 장애물을 인지하는 데는 요긴하지만, 움푹 파인 웅덩이 같은 경우엔 감지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J의 설명이다. 길에 불쑥 솟아있는 차량방지말뚝, 인도를 침범하여 서 있는 차들, 열려있는 맨홀 등 시각장애인들의 독립보행을 방해하는 것들이 주변에 참 많다는 것을 새삼 생각하게 되었다.

“보너스로 한 가지 더! 시각장애인들끼리 길에서 만날 때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요?”
“어떻게 하는데요?”
“저 편에서 지팡이 소리가 들리잖아요. 그럼 먼저 도착한 사람이 지팡이로 바닥을 탁탁탁탁 하고 쳐요. 그럼 상대편에서 그 소리를 듣고 찾아오는 거죠.”
“흰지팡이의 용도가 하나 더 있었네요. 하하.”
덧붙이는 글 한국점자도서관 소식지 월간 <빛이 머문 자리>에도 연재 중인 글입니다.
김수현 기자는 한국점자도서관 기획홍보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