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을 빠뜨렸다면, 경주를 간 게 아닙니다
[경주의 숨은 보물 찾기 ③] 노천 박물관, 남산에 오르다
흔히 남산을 두고 ‘불국토’라는 단 한마디 말로 갈무리하곤 합니다. 골짜기마다 불상이 모셔진 까닭에 돌멩이 하나,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까지도 부처님의 자애로운 손길이 미치는 듯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 배리 삼존불상영험한 기도처로 알려져 불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습니다. '배(拜)리'라는 마을 이름도 어쩌면 이 불상에 '절'하려고 몰려드는 사람들 때문에 붙여진 이름은 아닐는지 상상해 보았습니다. ⓒ 서부원
통통한 얼굴이 덕스러운 배리 삼존불상 앞에 허리를 굽혀 ‘신고식’을 가진 후 불국토에 들어섭니다. 남산에 오르는 길은 등산로라기보다는 계곡의 시원한 물소리 들으면서 거니는 산책로에 더 가깝습니다. 급하게 달려 오르지만 않는다면 숨이 차거나 땀이 송글송글 맺힐 일도 없습니다.
▲ 목 없는 불상몸통만으로도 당당함을 잃지 않고 있는 목 없는 불상 저 뒤로 포근한 큰누이 같은 마애관음불상이 보입니다. ⓒ 서부원
▲ 삼릉골 마애선각육존불상바위를 도화지 삼아 일필휘지로 그려낸 걸작입니다. 다들 국보나 보물이라는 명함 자체가 거추장스럽다는 듯한 표정들입니다. ⓒ 서부원
목 잘린 어깨너머 손에 잡힐 듯 가까운 곳에는 삼릉골 마애관음불상이 서 있습니다. 아리따운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보면 볼수록 흡사 다른 동생들에게 모든 것을 희생할 것 같은 자상한 큰누이 같은 느낌을 줍니다.
그런가 하면 그 길로 200미터쯤 더 올라가면 평평한 바위에 새긴 한 편의 색깔 없는 탱화를 만나게 되는데, 이름하여 마애선각육존불상입니다. 말하자면, 바위에 ‘스케치’한 여섯 불상이라는 의미입니다.
바위의 중간 중간 선이 끊어진 흔적이 거의 없어, 마치 붓으로 도화지에 일필휘지로 내저은 것처럼 신비롭습니다. 더욱이 그 오랜 세월 동안 온갖 풍파 다 맞았을 텐데도 크게 마멸되지 않고 또렷한 것이 종교적 영험함으로 다가옵니다.
이쯤 되면 남산의 품에 깊숙이 안긴 셈입니다. 지금껏 완연하던 봄기운이 어디론가 사라지고 투명한 살얼음이 여전히 계곡을 덮은 깊은 골짜기를 따라가다 보니, 저 멀리 낯선 물체 하나가 눈에 들어옵니다. 가까이 가서 보니 난데없는 비닐하우스입니다.
▲ 삼릉골 석불좌상현재 보수 중이어서 실물을 확인할 수는 없고, 대신 등산로 곁에 사진을 걸어두었습니다. 부디 이번 보수만큼은 제대로(?) 되길 빌어봅니다. ⓒ 서부원
기실 이 불상은 잘못 보수했다고 ‘욕먹는’ 대표적인 사례인 까닭에 또다시 손보려는 것일 터인데, 부디 이번만큼은 부처님의 자애로움이 살아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 마음을 담아 지나가는 길, 바윗돌 위에 조그만 돌탑을 정성스럽게 쌓았습니다.
▲ 상선암 마애불상몸통은 부조이지만 얼굴은 환조에 가까운 거대한 불상입니다. 남산 정상을 향해 앉아 산 아래를 굽어보고 있습니다. 남산의 대표적인 기도처로 알려져 있습니다. ⓒ 서부원
완만하던 등산로가 이내 가팔라지더니 튼실한 나무 계단이 놓여 있습니다. 남산의 능선이 시작되는 상선암에 다 온 겁니다. 목을 축이고자 했는데, 겨우내 언 약숫물에는 아직 봄이 오지 않은 모양입니다. 바쁠 것 없이 천천히 걸었는데도 배리 삼존불상에서 길을 나선 지 꼭 1시간 반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상선암 지붕 위 바위 벼랑에도 어김없이 부처님은 살아계십니다. 암자와 나란히 자리해서인지 상선암 마애여래좌상이라고 부르는 거대한 불상입니다. 지금껏 봐온 불상들과는 달리, 어서 와 절하라는 듯 제법 넓고 평평한 터를 갖추고 있어, 남산에서 내로라는 기도처이기도 합니다.
몸은 비록 남산 정상을 향해 있지만, 저 산 아래 사바세계를 굽어보며 미소 짓는 모습에서 기도하면 다 들어줄 것 같은 따뜻함과 영험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불상이 기댄 바위틈을 비집고 오르면 남산의 등줄기, 능선이 시작됩니다.
▲ 남산 능선에서 바라본 배리와 형산강저 멀리 보이는 마을이 남산 등산을 시작한 배리 마을이고, 그 너머에 형산강이 있습니다. 사진 오른쪽은 상선암 마애불상입니다. ⓒ 서부원
평평한 이 길을 따라 15분쯤 가면 남산 정상입니다. 본디 남산은 공식적인 지명이 아닙니다. 해발 468미터의 금오산과 494미터의 고위봉 자락을 묶어 부르는 말입니다. 그중에서도 고도는 낮지만 산체(山體)의 가운데 위치해 있는 까닭에, 대개 금오산을 남산의 정상으로 삼습니다.
금오산 정상을 알리는 표지석을 지나면 흉물스런 길이 담벼락처럼 막아섭니다. 넓이로 보자면 자동차 두 대가 너끈히 지나다닐 만하지만, 비포장인데다가 곳곳이 웅덩이처럼 깊게 패 있어 도로로써 기능하기에는 어려워 보입니다. 듣자니까 군사정권 시절 이곳에 관광객을 더 많이 유치할 목적으로 만든 도로라고 하니, 과거와 현재가 손바닥 들여다보듯 그려집니다.
▲ 남산의 화룡점정, 용장사터 3층석탑남산 전체를 받침돌 삼은, 군더더기 하나 없이 단정한 걸작입니다. 세상을 굽어보며 지그시 눈감고 있는 부처님의 얼굴을 하고 서 있습니다. ⓒ 서부원
흙먼지 풀풀 날리는 그 길을 빌어 10분쯤 가면 용장골로 들어서는 입구이고, 이곳부터는 수직에 가까운 가파른 내리막길입니다. 용장골 산 아래로부터 보자면 맨 꼭대기이고, 내려가자면 맨 처음인 너럭바위 위에, 남산의 ‘화룡점정’격인 3층 석탑이 서 있습니다.
▲ 용장사터 마애불상3층 석탑을 받치고 있는 바위 아래에 새겨져 있습니다. 비교적 작은 크기이지만, 윤곽이 또렷해 매우 아름답습니다. ⓒ 서부원
금오산 정상에서 한참 내려온 능선에 세워진 것인데도, 용장골 골짜기가 깊어서인지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사방이 낭떠러지인 바위 위에 자리하다 보니 남산 전체를 받침돌 삼은 격입니다.
아래 세상을 굽어보며 지그시 눈감고 있는 부처님의 얼굴을 떠올리게 됩니다. 그래서인지 주변의 모든 나무들이 탑의 설법을 듣고자 모여들어 우러르는 모양새입니다. 세상 모든 것을 발아래에 둔 절대지존의 모습입니다.
▲ 용장사터 석불상에서 올려다본 3층석탑거대한 삼륜대좌불로 조각이 매우 섬세하지만, 목이 잘려나간 것이 아쉽습니다. 가파른 벼랑 위로 3층석탑이 보입니다. ⓒ 서부원
산에서 내려오면서 만난 한 등산객에게 "답사를 다닌다며 이곳저곳 다녀봤지만, 남산만한 데가 없더라"고 했더니, 껄껄 웃으며 말씀하시기를 "선생님이 오늘 본 것, 아마 남산의 절반의 절반도 안 될 걸요"라고 하는군요.
▲ 용장사 금당터에서 바라본 3층석탑용장사의 금당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에는 현재 무덤 두 기가 남아 있습니다. ⓒ 서부원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는 지난 2월 21일부터 3일간 다녀온 기록입니다.
제 홈페이지(http://by0211.x-y.net)에도 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