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사진] 가면 행진부터 강강수월래, '문화'를 되찾은 촛불

7월 5일 촛불집회 현장리포트

등록|2008.07.06 12:55 수정|2008.07.06 12:55
가장 평화로운 촛불집회였다. 동시에 오랜만의 '촛불문화제'이기도 했다. 7월 5일 59번째 촛불집회는 수십만이 모였음에도 불구하고 일체의 충돌이나 사고 없이 마무리되었다. 평화로우면서도 동시에 열정적인 현장 분위기는 지난 6월 10일을 능가하는 것이었다.

정부의 고시 게재와 강경진압으로 한때 위기를 맞았다가 종교계의 개입으로 중심을 되찾은 비폭력 기조는 이날 밤 화사한 꽃을 피웠다. 덥고 습한 날씨와 북적이는 인파, 개선의 기미가 없는 정세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들은 인내와 자발성으로 '폭력보다 어려운 저항'을 일구어낸 것이다.

▲ 촛불집회가 ‘문화’를 되찾았다는 사실은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여유와 자신감, 인내를 회복했다는 증거인 동시에 그 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영화동호회 ‘디브이디프라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회원들이 워쇼스키 형제가 제작한 영화 [브이 포 벤데타]의 주인공 분장을 한 채 가두행진을 하고 있다. ⓒ 박정민

 

▲ 6월 7일 등장했던 미친소 조형물은 한동안 촛불집회의 상징물 구실을 해오다 사라지고 말았다. 이제는 촛불연등소녀 조형물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불교계에서 동원한 이 조형물의 기단에는 "중생이 아프면 보살도 아프다"는 문구가 붙어있다. ⓒ 박정민

  이날 집회의 평화 분위기를 위협한 최대 요인은 경찰도 과격시위대도 아닌 촛불반대 측이었다. 시청광장에서 지척인 소라광장에서는 '노노데모' 회원 200여명이 모여 촛불집회를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 '노노데모' 회원들이 소라광장에 모여 촛불반대집회를 하고 있다. ⓒ 박정민

 

▲ '노노데모' 회원들이 소라광장에 모여 촛불반대집회를 하고 있다. ⓒ 박정민

  폴리스 라인을 사이에 두고 이들과 일부 촛불집회 참가자들 간의 가벼운 실랑이가 이어지자 경찰은 전경버스를 동원하여 아예 둘 사이를 가로막았다. 노노데모 측은 "촛불이 필요한 곳은 북한입니다"는 대형현수막을 무대차 위에 내걸었으며, 탈북자 몇 명이 연사로 나서기도 했다. "불의구현 死제단 해체!"라는 내용이 적힌 현수막도 눈에 띄었다.  

▲ 새롭게 등장한 '삼양산성'. 정권의 언론장악 시도와 조중동 등 보수언론에 반대한다는 뜻에서 시청광장의 두 곳에 라면이 쌓이기 시작했다. 진행자들은 집회 참가자에게 커피와 라면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다인아빠’와 불우이웃들에게 이 라면을 기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 박정민

 

▲ 집회장에서의 술 판매에 반대하는 일인시위자도 눈에 띄었다. 그 동안의 촛불집회 과정에서 만취한 일부 시민이 보인 돌출행동을 염두에 둔 듯했다. 촛불집회에 술이 보이는 데 대해서는 온라인 상에서도 간간이 문제제기가 있어왔다. 조선일보는 6월 7일자 기사에서 "시위대 일부는 근처에서 술을 마시거나 돗자리 등을 깔고 잠을 청하기도 했다"고 쓰고 있다. ⓒ 박정민

  1차 문화제 후 가두행진을 마친 참가자들은 시청 앞으로 돌아와 밤 11시 반부터 2차 문화제를 이어갔다. 더 이상 전경버스를 흔들거나 끌어내려는 시도 등은 보이지 않았다. 촛불이 평정심을 완전히 되찾은 듯 보였다.   이쯤에서 비폭력 노선을 천명하는 것과 그것을 실현시켜내는 것의 차이에 대해 짚어보고자 한다.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는 그동안 줄곧 비폭력 노선을 공개적으로 천명했으며 집회 현장에서 참가자들에게 이를 호소해왔다. 하지만 충분한 실현에까지 이르게 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똑같은 상황에서 똑같은 호소를 했는데 왜 국민대책회의의 그것은 실현되기 어려웠던 반면 종교계의 호소는 효과를 발휘한 것일까. 국민대책회의 관계자들은 물론 모든 참가자가 진지하게 고민해볼 만한 과제가 아닐까 한다.  

▲ 촛불을 밝히는 어머니와 어린아이. ⓒ 박정민

  2차 문화제의 무대는 어느때보다도 풍성했다. 안치환으로 시작해서 꽃다지로 끝난 각종 공연은 장장 3시간 가까이 이어졌다. 386 세대에게 익숙한 이름일 꽃다지, 노래공장, 노찾사 초기 멤버들에서부터 현재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민중가수들인 지민주, 박준, 연영석, 박성하, 힙합 음악인 실버 라이닝 그리고 '선언' 등의 몸짓패(문선대)와 태권도 퍼포먼스 팀, 한 농민의 하모니카 독주까지 촛불들의 뜨거운 환호를 받았다.  

▲ 2차 문화제의 무대에 선 출연진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가수 안치환, 몸짓패 선언, 노동가수 지민주, 노래패 꽃다지. ⓒ 박정민

  이 무대는 또 다른 의미에서 특별한 것이었다. 90년대 초반까지 전성기를 누리던 민중가요가 극심한 침체기에 접어든 후, 많은 사람들은 더 이상 그것을 현재진행형으로 인식하려 하지 않았다. 계속해서 과거의 곡, 과거의 이름만을 회상할 뿐이었다.   이날의 무대는 그 어려운 시기를 거치면서도 아직까지 살아남은 이들이 있다는 사실을 널리 알린 장이기도 했다. 귀에 익지 않은 '새 노래'들은 하나같이 좋았으며, 가창력과 무대 매너 또한 수준급이었다는 점도 덧붙여두어야겠다. 문득, 정말로 10년을 잃어버린 이가 누구인지 생각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무대였다.  

▲ 무대장비를 밤새도록 쓸 수 없는 탓에 2차 문화제는 새벽 2시 15분경 막을 내렸다. 하지만 많은 참가자는 밤새는 쪽을 택했다. 한켠에선 트럼본을 앞세운 행진이 벌어지고 다른 한쪽에선 풍물패를 가운데 두고 강강술래가 꼬리를 문다. 과연 국민 MT라고밖에 표현할 수 없는 장면이다. ⓒ 박정민

 

▲ 서울시의 잔디교체작업으로 모래밭이 된 시청광장에 누군가가 모래글씨를 새겨놓았다. 하나둘씩 주변에 촛불을 가져다놓기 시작했다. ⓒ 박정민

  더위와 장맛비, 요지부동인 정권과 반대세력의 색깔공세라는 첩첩산중을 촛불은 넘고 있다. 마치 백두대간 종주와도 같은 긴 걸음을 분노와 흥분으로만 이어가기는 힘들 것이다. 어떤 것이 더 현명한 싸움이며 지치지 않는 길인지 더욱 고민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누군가의 말처럼 우리나라는 민주화가 된 지 그리 오래지 않은 나라인 탓이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