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책에서 미리 만나는 '반구대 암각화'

[서평] 장세현의 <반구대 암각화에서 이중섭까지 우리 그림 진품명품>

등록|2008.08.06 21:48 수정|2008.08.06 21:48

▲ 장세현의 <반구대 암각화에서 이중섭까지 우리 그림 진품명품>(현암사) ⓒ 현암사


초등학생 대상의 한국 미술사 관련 책이다. 전부 스물네 꼭지다. 이채로운 점은 ‘반구대 암각화’를 한반도의 원시 미술로 바라보아 맨 앞에 놓은 것이다.

설명이 초등학생들 수준에 맞게 어렵지 않고 차근차근하다. 고래의 특징을 잘 살린 바위그림이라는 것, 고래 사냥의 비밀이 그림 속에 숨어 있다는 것, 또 당시의 사회상(신분 질서가 있는 사회)을 엿볼 수 있는 그림이라는 것 등등.

설명과 함께 이해를 돕는 직관적인 보조 그림들이 제공되고 있어 잘 정리된 느낌도 든다. 그럼 고래잡이 부분에 대한 설명을 같이 읽어보자.

왼쪽 윗부분을 유심히 관찰하면 초승달 모양이 보이는데, 그것이 바로 ‘배’입니다. 그 위에 톱니처럼 촘촘히 그려 놓은 건 ‘배에 탄 사람’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작살로 고래를 잡았는데, 암각화에는 작살에 찔린 고래의 모습도 있습니다. - 책 11쪽

▲ 암각화에 나온 고래 사냥 모습 ⓒ 현암사


‘부구’라는 도구가 이채롭다. 요동치는 고래로 인해 배가 받는 충격을 적게 하기 위한 것인데, 당시 사람들의 지혜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고구려 벽화 ‘수렵도’와 ‘사신도’, ‘무용도’와 ‘씨름도’도 만날 수 있고, 고려 불화는 물론 이제현의 ‘기마도강도’, 공민왕의 ‘천산대렵도’와 ‘기마인물도’도 만날 수 있다.

대개는 조선의 미술 작품이다. 그 가운데 강희안의 ‘고사관수도’가 보인다. “고결한 뜻을 지닌 선비가 물을 보는 그림”이다. 이러한 그림처럼 “그림을 그리되 그 속에 학문적 경지와 도덕적 깊이를 담으려 한 그림”이 ‘문인화’다. 이 밖에 강희안의 ‘고사도교도(고결한 선비가 다리를 건너는 그림)’와 ‘산수도’도 함께 실려 있다.

조영석이라는 이름은 익숙지 않지만 그의 ‘강상조어도(강에서 물고기를 낚는 그림)’는 어디서 많이 본 듯한 그림이다. 그만큼 눈에 익다. 그의 다른 작품 ‘설중방우도’가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눈 내린 겨울날, 멀리 있는 친구가 소를 타고 찾아왔습니다. 두 사람이 의젓하게 마주 앉아 격조 높은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집주인 뒤쪽에 책이 잔뜩 쌓여 있는 것으로 보아 세상을 멀리하며 깊은 산중에 숨어 사는 선비인 듯합니다. 그림 아래쪽에는 두 명의 동자가 있습니다. 선비가 데려온 동자는 소를 끌고, 주인집 동자는 사립문에 서서 오라고 손짓을 하는 모습입니다. - 책 113쪽

또 한 사람의 낯선 이름을 보게 된다. ‘최북’이다. 스스로 제 눈을 찌른 괴짜 화가이다. 책에서 이에 얽힌 사연을 확인할 수 있다.

최북의 대표작 ‘풍성야귀인(눈보라 치는 저녁에 돌아오는 사람)’을 본다. 지은이는 이에 대해 “살을 에는 듯한 바람이 휘몰아치는데도 이상하게 고요하고 따사로운 느낌을 준다”고 덧붙여 놓았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