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적' 없애야 말 된다 (102) 실사구시적

― '언어를 실사구시적으로 다루는 일' 다듬기

등록|2008.09.10 11:57 수정|2008.09.11 11:00
.. 언어를 실사구시적으로 다루는 일이 삶의 문제를 풀어가는 데 절대적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그물코 인생, 그물코 사랑>(도법, 불광출판사, 2008) 75쪽

 ‘언어(言語)’는 ‘말’로 고쳐 줍니다. “삶의 문제”는 “살아가는 문제”나 “살며 겪는 문제”로 손보고, ‘절대적(絶對的)’은 ‘크디크게’나 ‘크게’나 ‘몹시’나 ‘대단히’로 손봅니다.

 ┌ 실사구시적 : x
 ├ 실사구시(實事求是) : [철학]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
 ├ 언어를 실사구시적으로 다루는 일
 │→ 말을 있는 그대로 다루는 일
 │→ 말을 꾸밈없이 다루는 일
 │→ 말을 올바르게 다루는 일
 │→ 말을 제대로 다루는 일
 │→ 말을 잘 살피어 다루는 일
 └ …

 지난 밤부터 새벽을 거쳐 아침까지 잠들지 않고 칭얼거리는 아기는 엄마젖을 쉬지 않고 먹으려고 하더니, 새벽부터 쉬지 않고 똥질을 해댑니다. 오줌 기저귀며 똥 기저귀며 잔뜩 나오니 밤이고 새벽이고 아침이고 한숨을 돌리지 못하고 빨래만 합니다. 빨래를 하다가 똥 기저귀를 아기 옆에 놓고 사진 한 장 찍습니다. 아기가 자라서 어린이가 되고 푸름이가 되고 어른이 되고 나서, 이 사진 한 장 보여줄 생각인데, 그때 아이는 자기 어릴 적에 제 어미 아비가 똥질 때문에 몹시 고달파 한 줄을 깨닫게 될까요.

 ┌ 언어를 실사구시적으로 다루는 일
 ├ 언어를 사실에 토대를 두어 다루며 진리를 탐구하는 일
 │
 ├ 말을 있는 그대로 다루며 참이 무엇인가를 찾는 일
 └ 말을 올바르게 다루며 참다운 삶을 찾는 일

 아기는 하루하루 자라나고, 언젠가 말을 하게 될 테며, 우리 두 사람이 주고받는 말을 알아들을 뿐 아니라, 낯선 이야기를 여쭈어 보게 됩니다. 그 먼 뒷날, 아이는 우리한테 “아빠, ‘실사구시’가 뭐여요?” 하고 여쭙기도 하리라 봅니다. 그러면 우리는, “그래, ‘실사구시’란 무엇일까?” 하면서 아이가 궁금해 하는 이야기를 함께 찾아볼 테지요.

 ┌ 사실을 바탕으로 진리를 찾기
 └ 꾸밈없이 보며 참된 길을 찾기

 지난날, 한문을 쓰던 우리 옛 지식인들은 ‘실학’을 하고 ‘실사구시’를 찾았습니다. 오늘날, 영어가 우두머리가 된 세상에서 요즈음 이 나라 지식인들은 ‘미국 학문이나 유럽 학문’을 하고 ‘세계화’를 찾습니다.

 아이는 ‘실사구시’ 말뜻을 알게 된 다음 어떻게 받아들일까요. 아이는 지난 옛날 양반이나 선비 들이 주고받던 ‘실사구시’ 같은 한문을 오늘날에도 써야 한다고 생각할까요. 옛날에는 ‘실사구시’였다면 오늘날에는 오늘날에 걸맞는 새로운 낱말을 살피면서 엮어내야 한다고 생각할까요.

 ┌ 참되게 살아갈 길 = 참살길
 ├ 참다이 걸어갈 길 = 참갈길
 ├ 참답게 찾아나설 길 = 참찾는길 / 참찾기
 └ …

 길을 찾는 사람들은 ‘길찾기’를 합니다. 어른이나 아니나 ‘보물찾기’를 즐깁니다. 사람을 잃었기에 ‘사람찾기’를 합니다. 네비게이션이라고 하는 기계는 ‘집찾기’를 해 줍니다. 도서관이나 책방에서는 ‘책찾기’를 합니다.

 우리 나름대로 북돋우고 우리 스스로 갈고닦으며 우리 깜냥껏 쓰고 있는 말과 글은 ‘말찾기’와 ‘글찾기’를 하면서 가꾸어 나갑니다. 알맞게 쓸 말이 무엇인지 찾아나서면서 ‘말찾기’요, 부지런히 글을 쓰는 가운데 어떤 글이 가장 올바르고 알맞춤한가를 헤아리면서 ‘글찾기’입니다.

 그러나 말과 글만 찾는다고 해서 찾을 수 있는 말과 글이 아닙니다. 말에 담는 삶이 무엇인지 먼저 살펴야 합니다. ‘삶찾기’를 해야 합니다. 말에 깃든 넋이 무엇인가 가만히 돌아보아야 합니다. ‘넋찾기’를 해야 합니다. 말로 나누려는 얼이 무언지 찬찬히 짚어야 합니다. ‘얼찾기’를 해야 합니다.

 ― 참배움 / 옳은배움 / 곧은배움 / …

 어버이 된 저와 옆지기는 언제나 아이한테 길동무가 되면서, 때로는 이슬떨이가 되면서, 아이 스스로 자기한테 참된 배움을 찾아나설 수 있도록 도와주려고 합니다. 아이는 제힘으로 옳은 배움이 무엇인지 곱씹어야 할 테며, 제가 디딘 땅에서 곧게 키워 갈 배움이 무엇인가 되새겨야 합니다.

 돈만 바라는 삶이 아니라, 제 삶에 알맞는 돈이 얼마만큼인지를 깨닫는 삶입니다. 이름값을 높이려는 삶이 아니라, 이웃하고 어깨동무하면서 함께 걸어가는 삶입니다. 힘을 키워 남 위에 올라서려는 삶이 아니라, 크든 작든 아름답든 밉든 스스럼없이 누구하고나 나눌 수 있는 착한 마음결을 추스르는 삶입니다. 아이는 아이답게 제 삶결을 매만지면서 제 말결과 글결도 쓰다듬을 수 있어야 하고, 어른은 어른답게 아이가 튼튼하게 걸음을 떼도록 손을 내밀 수 있어야 합니다.
덧붙이는 글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hbooks.cyworld.com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