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주간지선정사, 지역신문발전기금 삭감 원상 회복 촉구

17일 오후 국회, 문광부 방문 삭감 경위 따져

등록|2008.12.19 01:14 수정|2008.12.19 01:14

지발위 주간신문선정사협의회지역신문기금 주간신문 선정사 대표들이 17일 지역신문기금 삭감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 김철관


여야 국회 상임위 합의에도 불구하고 지역신문 발전기금 소외계층 구독료, NIE시범학교 구독료, 인턴사원 지원 등이 모두 삭감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자 주간 지역신문 선정사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 13일 국회는 본 회의를 열어 신문발전기금은 40억7천만원이 삭감된 79억8천만원, 지역신문발전기금은 57억이 삭감된 1백45억원 등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예산안심사소위원회는 지난달 27일 내년도 문광부 신문발전기금과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전년도 수준으로 하기로 합의를 한 상태였다.

예산 삭감 소식이 알려지자 전국 42개 지역신문발전기금 주간신문선정사협의회(대표 최종길)는 17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12층 연수원에서 예산 삭감에 대한 긴급회의를 여는 등 강하게 반발하면서 대책 마련을 논의했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 전액 삭감된 인턴사원지원(14억4천만원)과 삭감된 소외계층 구독료지원(5억7천만원), NIE시범학교 구독료(7억7천만원)의 원상복귀는 물론, 주간지역신문 실정을 전혀 모르는 문광부와 상시간담회 등을 갖자는데 의견일치를 보고 이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전달했다.

문광부 담당 사무관 면담이날 선정사 대표들이 문광부 담당사무관을 찾아 삭감경위와 대책을 촉구했다. ⓒ 김철관


이날 문화체육관광부 1층 식당에서 열린 문화부 지역신문 담당 주무과장 면담에서 풀뿌리 주간선정사 대표들은 한결같이 삭감된 지역신문 발전기금 소외계층 구독료, NIE시범학교 구독료, 인턴사원 지원 등의 원상 복구와 문화부와의 상시간담회를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중동 문화부 미디어정책과 사무관은 "꼭 필요한 부분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기금변경을 통한 재원확보에 노력하겠다"면서 "선정 지방일간지와 함께하는 간담회 참여를 검토해 보겠다"고 밝혔다.

이날 선정사 대표들은 국회 김창수(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자유선진당 의원을 방문해 정권이 바뀔 때마다 입장이 바뀌는 지역신문에 대한 지원법이 한시법이 아닌 일반법이 될 수 있게 법안을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긍정적으로 받아드리겠다"면서 "다양한 여론 조성을 위해 지역신문이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겠다"고 밝혔다.

김창수 의원이날 선정사 대표들이 지역신문특별법을 일반법으로 발의를 해달라는 요구에 김 의원은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김철관


한편, 지난 14일 신문발전기금과 지역신문발전기금 삭감에 대해 한국기자협회와 한국언론노조의 반발 성명에 이어 17일 오후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주간신문사선정사협의회(대표 최종길)도 긴급성명을 통해 "여야합의를 무시한 채 문화체육관광부의 원안대로 삭감된 안을 통과하는 것은 상식과 순리에도 맞지 않는다"면서 "이제 과감하고 단호한 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반발했다.

또 "여야 합의는 국민과 언론을 속이는 한낱 말장난에 불과했다"면서 "더 이상 지역언론 경시정책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주간신문선정사 대표들은 언론재단 지역신문발전위원회, 문광부, 국회 등을 차례로 방문해 예산삭감과 관련된 대책을 주문했다. 현재 지역신문발전기금에 선정된 회원사는 주간지 42개사, 지방일간지 20개사이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