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연안매립 반대 외칩니다"
경남지역 5곳 추가 매립 계획... 마창진환경연합 "매립이 아닌 바다로 이용해야"
"한마디로 연안매립은 쉽다. 하지만 죽은 바다와 매립된 바다를 다시 복원하는 것은 어렵다. 이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새해부터 해안연안 매립이 예상되자 환경단체가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2일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아래 마창진환경연합)은 경상남도가 추가로 연안 매립 계획을 세우자 성명서를 통해 "바다는 매립이 아닌 바다로서 이용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창진환경연합에 따르면, 경남도는 최근 5곳 130만4780㎡에 걸쳐 연안 매립 계획을 세우고 있다. 경남도는 5개월 전인 지난 해 7월 정부 연안관리심의위원회를 통해 경남 7곳 648만1326㎡에 이르는 대규모 매립 승인을 획득한 뒤 다시 추가 매립 계획을 세운 것.
매립기본계획 추가 반영지 5곳은 다음과 같다. ▲마산시 동서동 일원(마산시장 신청) 8만200㎡(공공시설용지․해일피해방재언덕 설치), ▲거제시 사등면 성포리 일원(녹봉조선 신청) 8만6147㎡(조선시설용지), ▲진해시 웅천동 일원(진해시장 신청) 99만7000㎡(공공시설용지), ▲진해시 제덕동 일원(한국미부 신청) 8만7475㎡(중간재 가공공장 용지), ▲마산시 양덕동 봉암동 일원(성동산업 신청) 5만3958㎡(중간재 가공공장 용지).
환경단체는 지난해 창원에서 연 람사르총회에 이어 경남도가 '포스트 람사르'를 추진하면서 연안 매립 계획을 세우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비꼬았다.
마창진환경연합은 "시민공동의 재산을 몇몇 특정기업의 사유물로 전락시키는 매립을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다"며 "특히 자연환경은 미래세대들에게 빌려 사용하고 있다는 일반적인 가치를 외면하고 연안매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단 한번 행정은 지역사회에서 공론화(공개토론)와 합의를 거치지 않고 밀어붙이는 부끄러운 밀실행정을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산 동서동 일원 매립 계획에 대해, 이 단체는 "이 매립계획은 유보되거나 철회되어야 하며 우선적으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부터 추진하여야 한다"며 "미국의 카트리나와 인도네시아의 쓰나미 피해가 연안의 맹그로브 숲이 보전된 지역에서는 적었던 사례는 마산만에서 방재대책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단체는 "현재 마산시의 방재계획은 너무도 안일하고 단편적인 과거 토목적 접근을 버리지 못한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며 "마산만 내만에는 맹그로브 숲과 같은 연안습지가 매립되어 사라진 지 오래되었으나 앞으로의 마산만은 연안습지가 복원된 마산만을 지향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산 양덕지구 매립 계획에 대해, 이 단체는 "2008년 7월 중앙연안관리심의위원회에서 부동의 된 사업으로서 마산항에 해당되는 해수면이다"며 "지역사회의 어떠한 합의도 없이 아니 오히려 강력한 시민단체의 반대를 무시하고 매립을 강행하려는 성동산업의 이기적인 기업윤리에 분노할 따름이다"고 설명했다.
이 단체는 "마산만 매립이 경기침체에 돌입한 중소 조선소 중 하나인 성동산업에게는 땅이라도 남을지 모르지만 매립으로 좁아질 대로 좁아진 마산항을 더욱 위축시킴과 동시에 도탄에 빠진 마산경제를 더욱 침체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진해 제덕만·웅동지구 매립 계획에 대해, 이 단체는 "한국미부(주)와 진해시는 또다시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필요로 하는 부지를 확보하기보다 인근의 미개발지인 제덕만 매립지와 웅동지구 준설토 투기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주민들의 어업권 상실로 인한 생존권 보장에 대해서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창진환경연합은 "정부는 경기침체로 중소 조선소 구조조정 방침인데 연안매립해서 조선소 신·증설하겠다는 것은 '같이 죽자는 기업의 고약한 욕심'일 뿐이다"고 밝혔다.
새해부터 해안연안 매립이 예상되자 환경단체가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2일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아래 마창진환경연합)은 경상남도가 추가로 연안 매립 계획을 세우자 성명서를 통해 "바다는 매립이 아닌 바다로서 이용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 경남도는 최근 바다 연안 5곳을 추가로 매립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 마창진환경연합
매립기본계획 추가 반영지 5곳은 다음과 같다. ▲마산시 동서동 일원(마산시장 신청) 8만200㎡(공공시설용지․해일피해방재언덕 설치), ▲거제시 사등면 성포리 일원(녹봉조선 신청) 8만6147㎡(조선시설용지), ▲진해시 웅천동 일원(진해시장 신청) 99만7000㎡(공공시설용지), ▲진해시 제덕동 일원(한국미부 신청) 8만7475㎡(중간재 가공공장 용지), ▲마산시 양덕동 봉암동 일원(성동산업 신청) 5만3958㎡(중간재 가공공장 용지).
환경단체는 지난해 창원에서 연 람사르총회에 이어 경남도가 '포스트 람사르'를 추진하면서 연안 매립 계획을 세우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비꼬았다.
마창진환경연합은 "시민공동의 재산을 몇몇 특정기업의 사유물로 전락시키는 매립을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다"며 "특히 자연환경은 미래세대들에게 빌려 사용하고 있다는 일반적인 가치를 외면하고 연안매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단 한번 행정은 지역사회에서 공론화(공개토론)와 합의를 거치지 않고 밀어붙이는 부끄러운 밀실행정을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산 동서동 일원 매립 계획에 대해, 이 단체는 "이 매립계획은 유보되거나 철회되어야 하며 우선적으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부터 추진하여야 한다"며 "미국의 카트리나와 인도네시아의 쓰나미 피해가 연안의 맹그로브 숲이 보전된 지역에서는 적었던 사례는 마산만에서 방재대책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단체는 "현재 마산시의 방재계획은 너무도 안일하고 단편적인 과거 토목적 접근을 버리지 못한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며 "마산만 내만에는 맹그로브 숲과 같은 연안습지가 매립되어 사라진 지 오래되었으나 앞으로의 마산만은 연안습지가 복원된 마산만을 지향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산 양덕지구 매립 계획에 대해, 이 단체는 "2008년 7월 중앙연안관리심의위원회에서 부동의 된 사업으로서 마산항에 해당되는 해수면이다"며 "지역사회의 어떠한 합의도 없이 아니 오히려 강력한 시민단체의 반대를 무시하고 매립을 강행하려는 성동산업의 이기적인 기업윤리에 분노할 따름이다"고 설명했다.
이 단체는 "마산만 매립이 경기침체에 돌입한 중소 조선소 중 하나인 성동산업에게는 땅이라도 남을지 모르지만 매립으로 좁아질 대로 좁아진 마산항을 더욱 위축시킴과 동시에 도탄에 빠진 마산경제를 더욱 침체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진해 제덕만·웅동지구 매립 계획에 대해, 이 단체는 "한국미부(주)와 진해시는 또다시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필요로 하는 부지를 확보하기보다 인근의 미개발지인 제덕만 매립지와 웅동지구 준설토 투기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주민들의 어업권 상실로 인한 생존권 보장에 대해서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창진환경연합은 "정부는 경기침체로 중소 조선소 구조조정 방침인데 연안매립해서 조선소 신·증설하겠다는 것은 '같이 죽자는 기업의 고약한 욕심'일 뿐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