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새콤달콤의 결정체 딸기밭을 가다

등록|2009.02.16 16:31 수정|2009.02.16 16:37
저희 장인어른께서는 농사를 지으십니다. 쌀, 고추, 딸기, 방울 토마토 등 여러 가지를 지으시으시는 데요. 이 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딸기입니다. 저는 지금까지 저희 장인 어른 딸기보다 맛난 것을 먹어본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간척지 딸기라 얼마나 맛이 좋은지 모릅니다. 지난 주말 저희 부부는 이런 장인 어른 댁에 갔었는 데요. 그래서 오늘은 지난 주말 있었던 딸기 수확의 모든 것을 공개해보고자 합니다.

▲ 딸기하우스 ⓒ 임정혁




"딸기밭"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딸기 하우스" 모습입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땅에 바로 키웠었는 데요. 올해는 다양한 기술과 재배 방식을 연구하셔서 새로운 도전을 하신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하우스 내부가 참 깔끔하고, 커 보이지요?

▲ 딸기꽃 ⓒ 임정혁




딸기꽃 보신 적 있으세요? 아마 딸기꽃이 있는 줄도 모르는 분이 많으실 것 같은 데요. 아니면 있어도 직접 보지는 못했거나 말이죠. 바로 이것이 딸기꽃입니다. 참 예쁘죠? 직접 보면 더욱 예뻐 보입니다.

▲ 딸기꽃에 벌이 앉아 있다 ⓒ 임정혁




이 사진을 보면 "벌"이 보이지요? 이 벌은 자연스런 딸기번식을 위해 일부러 풀어 놓은 것입니다. 제가 약간 위험해보여 장인 어른께 여쭤봤더니 사람이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는 이상 절대 쏘지 않는다 하네요. 만약 내 몸에 앉아도 가만 있으면 알아서 날라 간답니다.

▲ 필자가 딴 딸기. 양이 얼마 되지 않는다. ⓒ 임정혁



제가 딴 딸기의 모습입니다. 핑계 같지만 제가 가던 자리는 딸기가 얼마 없더라구요. 물론 더 솔직히 말하자면 하도 많이 먹다 보니. 음, 어쩔 수 없었습니다. 너무 맛있어서 말이죠. 딸기를 따고 나면 그냥 보낼 수가 없더라구요~

장인 어른께서 따신 딸기 모습인데요. 저와 너무 비교 되지요. 장인 어른께서는 하나를 따도 정성을 다해 따시는 데요. 그 모습이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 장인어른께서 따신 딸기 ⓒ 임정혁




딸기 생산자에게는 아래와 같은 박스가 있습니다. 처음부터 이렇게 나오는 건 아니구요. 모두 손으로 접어서 만들어줘야 합니다. 그럼 이런 모양이 나오게 되지요. 이제 여기에 수확한 딸기를 넣게 됩니다.

▲ 딸기상자의 모습 ⓒ 임정혁





▲ 딸기 1차 포장 ⓒ 임정혁




위 사진은 1차 포장을 마친 모습입니다. 모두 수작업으로 이뤄집니다. 장모님께서 정성을 다해 너무 예쁘게 포장하시는 모습이 인상깊었습니다.

▲ 딸기 포장을 마친 모습. ⓒ 임정혁



이 사진은 1개의 박스에 넣은 모습인데요. 모두 특상품으로써 1박스에 2개씩 들어갑니다. 무게는 1.5kg 이상입니다. 세번째 사진은 박스를 쌓아둔 모습이구요. 씨알이 굵은 것만 모아둔 것입니다.

▲ 포장을 마친 딸기가 출하를 기다리고 있다. ⓒ 임정혁




쌓여있는 박스 옆에 보면 씨알이 중간 크기쯤 되는 것이 있습니다. 상당히 크지요? 이걸 개인적으로 팔면 한 상자에 7천원씩 받으신다 합니다. 제가 시중에서 보니 H 더하기 마트에서 1kg 짜리 한팩에 7천원씩 하던데요. 하여튼 중간 도매상 몇 번 거치면 살이 많이 붙습니다. 농민 입장이나 소비자 모두 아쉬운 측면이 있습니다.


▲ 막딸기 모습이다. 씨알이 작은 경우 이렇게 따로 모아 팔게 된다. ⓒ 임정혁




위에서 언급했던 중간크기 딸기상자를 확대한 모습입니다. 이건 흔히 "막딸기"라 하는 데요. 대개 딸기잼을 만들 때 쓰입니다. 사실 저는 이런 걸 더 좋아합니다. 이게 은근히 맛있습니다. 손이 계속 가게 됩니다.

▲ 수확하다 나온 예쁜 딸기의 모습 ⓒ 임정혁




참 예쁘지요? 수확하다 나온 하트 모양 딸기입니다. 너무 예뻐서 찍어보았습니다. 하지만 이런 건 상품성이 없답니다. 그래서 바로 제 뱃속에 들어갔습니다. 흐흐흐.

농사처럼 정직한 일이 또 있을까요. 농부의 땀과 정성이 들어간 만큼 수확이 되고, 맛이 나곤 합니다. 아마도 저희 장인 어른께서 기르신 딸기가 맛있는 것은 그 속에 그만큼 장인 어른의 마음이 담겨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저는 그 마음을 받고 온 것이겠지요.

우리가 농민과 농산물을 보는 마음도 조금은 달라졌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단순히 돈 주고 먹거리를 산다는 것보다 생명과 이들의 마음을 받는다 는 식으로 말이지요.

서로가 서로의 마음과 기운을 주고 받을 때 우리의 삶과 사회 모두 한층 더 풍요로워지고, 감사하는 삶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려봅니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필자의 블로그 [라이프]하늘바람몰이(http://kkuks81.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