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학교장 권한강화', 학생 여러분의 생각은?

-5월 6일~7일, 강원고에서 설문조사.

등록|2009.05.16 14:03 수정|2009.05.16 14:03
우리나라는 민주공화국이고, 모든 주권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모든 주권이 국민으로부터 나오지만 청소년은 사실상 국민으로 대접받지 못한다. 물론, 지금부터 이야기할 '청소년 기본법'상의 청소년을 뜻하는 건 아니다. 혹시, 당신은 '청소년'의 기준을 알고 계신가?
지금부터 문제를 낼 테니 맞춰 보자.

1번, 만9-24세
2번, 만15-24세
3번, 만13-18세
4번, 만18세 이하

정답은, 기사를 읽고 있는 당신이 청소년에게 관심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에 달렸다. 정답은 무엇일까? 힌트는 이 정답을 들으면 "말도 안 돼!" 라는 말이 나올 것이다. 다들 눈치 채셨을 거다. 정답 공개! 정답은, 1번 만9세부터 - 만24세 까지이다. 놀랐는가? 놀랐다면 당신은 그만큼 청소년에게 관심이 없었다는 뜻이 된다.

▲ 위로부터 왼쪽이 만9세-만24세 오른쪽이 만13-만18세 밑쪽으로 왼쪽이 만15세-만24세 오른쪽이 만18세 이하. ⓒ 안태민




그러나, 더 놀라운 사실은 그 '청소년'이라는 사람들도 대다수가 3번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이 사진은 4월에 실시한 조사결과다. 그때는 아무 지원이 없어서 저런식으로 조사하는 수밖에 없었다. 물론, 지금도 지원은 없다.

생각해보자, 청소년이라는 기준도 채 모르고, 우리는 그동안 청소년 정책을 운운해 오지 않았는가? 지금 본 기자가 꺼내려는 이야기는 학교의 주체는 학생이고, 교육의 주체도 학생이므로 앉아서 탁상공론하면서 권력과시용 정책 내놓지 말라는 이야기로 어른들에게 따끔한 일침을 가하려 한다.

이 설문조사는 사실 준비운동으로 해본 조사였다. 처음부터 무거운 주제로 나간다면 아이들이 흥미를 가질 수가 없기 때문이다. 준비운동은 충분히 해야 하지만 시간도 부족하고 바로 아이들의 관심끌기도 성공해서 다음주에 본 조사를 하기로 했다.

5월 6일, 설문판을 부착했다 주제는 '학교장 권한 강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느냐는 설문이었다. 설문판 옆에 관련기사문도 부착했다. 학생부장님과 이사장님의 협조로 5월 7일 청소년 의식조사 제2탄은 마무리가 되었다. 초 저예산 조사이고 정확한 데이터의 조사는 아니지만 청소년의 심중을 알아보는 것만 해도 정말 흥미로운 일이고 결과 또한 흥미로웠다.
지원은 이번에도 없었고, 내 자비를 털어 조사했다. 조사결과 사진이다.

▲ 두번째로 실시한 설문이다. ⓒ 안태민




이것이 모든 청소년의 마음이라고 하기는 많은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아무도 지켜보지 않은 상태라서 정확한 조사결과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표본 수도 적고. 하지만, 이 조사결과는 중요한 사실을 일깨워 준다. 이 조사결과는 아이들이 복도를 지날 때 무심코 붙인 것이다. '무심코' 붙였다는 이야기는 '아무 생각없이'라는 말로도 해석 가능하지만, 자기 마음에 있던 무의식적인 생각을 반영했다는 이야기도 된다.

현재 학교에 다니고 있는 사람들은 '학교장 권한강화'라는 정부의 주장에 "그건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고 말하고 있다. 지금 저 설문지에는 의견이 두 개로만 양분되어 있다. 그렇다고, 두 개의 의견만 있는 건 아니다. 저 속에 있는 생각은 서로 다를 것이다.

이제부터, 본 기자의 생각을 말해 보려한다. '학교장 권한강화', 이미 다들 잘 알고 계시겠지만 학교자율화 정책의 하나로 학교장의 권한을 강화하여 학교의 자율권을 보장하고 학교장의 권한을 대폭 확대하여 거의 권한수준을 교육감 정도로 확대하는 법안이다.

내년이면 그 변화를 일선학교에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정책에는 장점도 있다. 단점만 있는 정책은 어디에도 없다. 일선학교에서 교장의 권한이 확대되면 교과 수업시수의 자율편성권이 보장되는데 이는 논술 대비 시간이나 특별활동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말 유용하게 활용하면 유용한 제도가 될 것이다. 하지만, 나는 '학교장 권한강화제'에 반대한다.

첫째로, 교장은 수업시수를 마음대로 조정 할 수 있게 된다. 교과의 제한도 없다. 그렇다면 이건 시수 조정을 주요과목으로 하겠다는 이야기와 같다. 시수 조정을 주요과목으로 하면 학생들은 피곤한 나날을 보내야만 한다. 대학만이 능사가 아니다. 본 기자가 청소년 정책을 말할 때면 늘 강조하는 말이다. 스스로 공부에 대한 노력도 필요하겠지만 다른 길도 있고, 옛날에는 공부밖에 할 것이 없었지만 지금은 시대가 바뀌었다는 것도 인식해 주길 바란다.

둘째로, 주변사람들의 눈치보기 게임이 시작된다. 교장의 권한이 확대되었기 때문에 학교에서 평교사들이 교장의 눈치를 보고 잘못된 학교 내의 정책에 대해 한마디도 못하게 된다는 말이다. 이러다 보면 교장의 비위를 맞추면서 교육방법이나 태도 등을 바꾸게 된다. 교장이 생각이 지금 시대에 역행하지 않고, 또한 교육자의 자질을 담고 있다면 상관없겠지만 만일,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교육 자체가 잘못되는 큰 폐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 폐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인지는 모르겠으나 국공립 학교 등에서는 교장지위 강등제가 시행된다. 하지만, 이 정책으로 커진 교장의 권한을 견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교장의 권한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운영위원회, 학부모회, 형식적인 학생회가 아닌 실질적인 학생회, 시민단체, 정부 청소년 단체의 의견을 반영 할 수 있는 '지역교육위원회'를 말들어야 한다. 그 위원회에서 교장의 학교 내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장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혹시나, 이 제도를 믿고 학교 내의 수업시수나 제도들을 마음대로 바꾸려하는 학교장 선생님들에게 고한다. 교육대란을 일으키고 싶지 않다면 교장 자신들 스스로도 깊이 생각하고 신중하게 행동해야 할 것이다. 정권의 딸랑이가 되면 출세하고 먹고 사는 길은 쉽지만 교육자이기에 지켜야 할 것이 있는 것이다. 본 기자가 잘 알지도 못하고 교육자도 사람이지만 투철한 사명감을 가지고 임해야 나중에 제자를 올바른 '민주시민'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경솔하게 교장 권한 확대를 이용해서 교육제도에 혼란과 혼선을 주지말고 지역사회와 충분히 대화하고 교육관계자들에게 계속 자문을 구해서 어떻게 하면 더욱 잘 가르칠 수 있을까를 고민해 보기 바란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