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파주책도시에 야무지게 문을 연 헌책방 하나

[헌책방 나들이 201] 헌책방 〈숨어있는 책〉 2호점 여는잔치를 합니다

등록|2009.06.17 10:58 수정|2009.06.17 10:58
 1999년 11월, 서울 노고산동(신촌) 골목길 안쪽에 헌책방 하나 조그맣게 문을 열었습니다. 이곳은 조그맣기도 조그마한 곳이었으나, 책방이름처럼 '골목 안쪽에 숨어 있는' 듯이 자리하고 있어서 〈숨어있는 책〉이라는 이름이 잘 어울렸습니다.

처음 문을 열던 그무렵에는 고작 7000권으로 헌책방 일을 했는데, 하루이틀 한 달 두 달 책살림을 늘리고 키우고 살찌우면서, 옆가게를 하나 텄습니다. 다음으로 아래층까지 손을 뻗었습니다. 책을 갖추어 놓을 창고를 하나 마련했습니다. 그리고 2009년 6월, 헌책방 문을 연 지 꼭 다섯 달이 모자란 열 해를 맞이한 이때에 '두 번째 가게'를 엽니다.

▲ <숨어있는 책> 2호점 문간에 붙은 작은 간판. ⓒ 최종규


어느 헌책방이든 책살림을 꾸리다 보면 '팔려고 꽂는 책'과 함께 '먼저 갖추어 놓고 조금씩 꺼내놓고 팔 책'이 함께 늘어납니다. 지난날에는 '새로 나오는 책'과 '헌책방에서 그러모으는 책'이 그리 많지 않았던 가운데 '사람들이 사 읽을 책'도 그렇게까지 많지 않았습니다. 오늘날에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책이 쏟아져나오는 터라 아주 큰 새책방에서도 모든 책을 아우르며 꽂아 놓지 못하지만, 아주 크게 지은 도서관이라 할지라도 모든 책을 꼼꼼히 갖추어 놓지 못합니다.

헌책방에서도 '거두어들이지 않고 막바로 버리는' 책이 꽤 많습니다. 흔한 말로 썩다리 책인데, 늘어나는 책 가짓수만큼 '다 다른 사람들 다 다른 입맛'에 맞추며 마음밭 살찌울 책을 고르고 가리는 일이란 몹시 어려운 일 가운데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헌책방으로서도 '알짜가 되는 책'을 틈나는 대로 곳간에 모아 놓는 얼거리로 나아가게 되며, 이와 같은 얼거리로 나아가는 가운데 인터넷방을 열거나 이웃가게를 더 얻어 크게 늘리거나 새로운 자리에 새 가게를 얻어 더 많은 가짓수 책을 꽂아 놓곤 합니다.

헌책방 〈숨어있는 책〉 큰일꾼은 "큰 건물만 멋없게 있는 책도시에 헌책방도 한 군데 있으면 좋지 않겠느냐"면서, 어렵고도 고단한 길을 걸어가겠다고 다짐합니다. 인터넷을 누비면 새책이든 헌책이든 값싸게 장만할 뿐더러, 집이나 일터에 앉아 느긋하게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세상에서, 우리 스스로 다리품을 팔아 몸을 움직이고 말미를 내도록 하는 '매장 헌책방'을 한 군데 늘렸습니다. 세상과는 거꾸로 가는 셈이라 할는지 모르지만, 책이 책답게 퍼지기보다는 싸구려 물건처럼 다루어지는 흐름이라면 기꺼이 거스르면서 책을 책으로 느낄 수 있는 자리를 지키려는 몸짓이라 여길 수 있습니다.

▲ 아직 준비가 다 끝나지 않아, 알림판은 그냥 책상맡에 놓여 있습니다. ⓒ 최종규


파주 책도시에는, 아름다운재단에서 꾸리는 헌책방 〈보물섬〉이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 2층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책도시 한쪽 끝자락(한길사와 열린책들 있는 곳에서 바깥쪽으로 조금 더 간 자리)에는 〈이가 고서점〉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숨어있는 책〉이 새끼가게(2호점)를 내면, 세 번째 헌책방이 들어서는 셈입니다.

헌책방 〈숨어있는 책〉은 '중앙입시교육연구원' 건물 1층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책방을 여는 날은 '수요일∼일요일'이며(월요일과 화요일은 쉼), 낮 두 시부터 저녁 여덟 시까지 열어 놓습니다. 책방 전화는 따로 없고, 책방 큰일꾼 손전화로 길을 여쭈면 됩니다(010-3236-1369). 헌책방 〈숨어있는 책〉 1호점은 서울 신촌에 자리하고 있으며, 이곳은 지하철 2호선 신촌역에서 내려 8번 나들목으로 나온 뒤 큰길을 따라 죽 걷다가 빠리바게트 앞 골목에서 안으로 접어들어 세 번째 네거리에서 오른쪽으로 들어서면 만날 수 있습니다(02-333-1041, 월요일 쉼, 14∼22시 엶). 1호점에 전화를 걸어 길을 여쭈어 보셔도 됩니다.

틈을 낼 수 있는 분은 틈을 내어 헌책방 새로 여는 잔치를 기려 주시고, 틈이 없으신 분이라면 틈을 만들어 찾아가면서 헌책방 하나가 책도시에서 어떤 길을 걸어나가려 하는지 살며시 들여다보아 주며, 책 쉼터 한 곳이 앞으로 힘차게 발걸음 내딛도록 손뼉을 쳐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때 : 2009년 6월 19일(금요일) 17시
- 곳 : 경기도 파주시 파주책도시 '중앙입시교육연구원' 건물 1층 헌책방
- 연락할 곳 : 010-3236-1369, 02-333-1041

▲ 웬만큼 책꽂이에 책을 꽂았지만, 아직도 갈무리해야 할 책이 한 가득입니다. ⓒ 최종규


▲ 알맞는 자리에 꽂히기를 기다리는 책이 바닥에 놓여 있습니다. ⓒ 최종규


▲ 책을 보기에 넉넉하도록 골마루를 마련했고, 천장이 높아 책꽂이가 커도 시원스러운 느낌입니다. ⓒ 최종규


▲ 헌책방이기 때문에, 나라밖 온갖 책도 넉넉히 만날 수 있습니다. 게다가 퍽 눅은 값으로. ⓒ 최종규


▲ 여느 새책방에는 꽂히지 않는 책이 있기에, 또 도서관에서 제대로 갖추지 않는 책이 있기에, 헌책방에는 헌책방 맛이 있을 뿐 아니라, 헌책방이기에 고맙고 반가운 책 문화가 있습니다. ⓒ 최종규


▲ 제가 인천에서 타고 온 자전거. 대중교통과 자가용이 있고, 지하철 3호선 대화역부터 오는 버스 편도 있으나, 자전거를 타고 찾아오는 길도 있습니다. 길그림을 들여다보면서, 식구들하고 자전거여행을 삼아 이곳으로 나들이를 와 보아도 즐겁습니다. ⓒ 최종규


▲ 파주책도시를 오가는 대중교통은 그리 많지 않아 자가용으로 오가야 할는지 모르는데, 자전거를 타고 오가도 괜찮습니다. 저도 인천에서 자전거를 타고 이곳을 찾아왔습니다. ⓒ 최종규

덧붙이는 글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hbooks.cyworld.com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작은자전거 : 인천+부천+수원 자전거 사랑이] http://cafe.naver.com/inbusu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