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후기] "지역언론 보도가 왜 이래?"
지역언론 미디어법 논조에 민주당 울산시당 '발끈'
"밤낮없이 거리에서 미디어법 원천무효를 외치고 있는 것은 지역언론을 살리자는 뜻도 있는 것 아닙니까. 정말 해도 해도 너무합니다."
민주당 울산시당 한 당직자가 미디어법을 다루는 지역언론의 보도 태도에 "어이가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울산지역 한 일간지가 지난 22일 국회에서의 미디어법 처리 사태를 보도하면서 "미디어법이 통과된 것은 한나라당 최병국 의원(울산 남구 갑)의 보좌관이 숨은 주역"이라는 내용의 기사를 실은 것을 두고 한 말이다.
해당 기사는 '이광복 보좌관 미디어법 숨은 주역'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이렇게 적었다.
"…이를 위해 한나라당은 의원단 대표와 보좌진 대표, 국회 사무처 대표, 당직자 대표 4명이 부상없이 바리게이트를 뚫기 위해 각종 아이디어를 냈다. 의원단 대표는 4선의 정의화 의원이, 보좌진 대표는 최연장자인 최병국 의원실 이광복 보좌관이, 이원기 국장, 이동주 국장 등이 사무처와 당직자 대표를 각각 맡았다.
(7월 22일) 오후 2시 직권상정이 예고된 가운데 2시30분부터 4차례에 걸쳐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점령한 본회의장 로텐더홀 공략을 시도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
이미 숫적 열세속에 허망하게 하늘만 바라볼 뿐이었다. 곳곳에서 '이러다 오늘도 물건너 가겠지'란 자조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그러나 이들 4명에게 순간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정문보다는 감시가 소홀한 우측 출입구를 선택한 것.
김형오 국회의장과 이윤성 국회 부의장, 한나라당 의원들은 일사분란하게 이들이 공간을 확보한 통로를 따라 본회의장으로 입장, 미디어법을 통과시켰다."
이 신문은 또 다음날 사설에서는 "법 개정의 목적은 신문·방송·통신·인터넷이 융합하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부응해 국내 미디어 산업의 성장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함으로써 미디어 산업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키우자는 것이다"면서 미디어법 통과를 기정사실화 하기도 했다.
울산에서는 현재 일부 언론노조원과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야당, 네티즌과 시민단체들이 연일 미디어법 원천무효를 외치며 서명운동과 촛불시위, 길거리 시국연설회 등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이들이 기자회견을 통해서도 "미디어악법의 통과로 지역 언론이 성장하고 발전할 환경이 근본적으로 제약된다"며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지역 언론이 거대기업과 거대언론사와의 무차별 경쟁에 내몰리게 됨으로써 사실상 지역 언론은 고사될 위기에 내몰리게 됐다"고 우려를 나타낸 것에 비하면 아이러니한 일이다.
울산지역에는 6개의 일간지와 3개의 주간지, 10여개의 인터넷 매체가 있다. 하지만 대다수 언론들은 미디어법을 둘러 싼 지금의 사태를 무덤덤하게 관망하고 있다.
울분을 토한 민주당 울산시당 당직자는 "친한나라당 논조를 보여온 것은 비단 이 신문만이 아니지 않냐"면서 "하지만 미디어법이 지역언론을 고사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는 정말 납득하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해당 언론 구독을 끊고, 당원들에게도 구독을 끊으라고 할 참"이라며 "정말 힘이 빠지고 의욕이 없어진다"고 말했다.
민주당 울산시당 한 당직자가 미디어법을 다루는 지역언론의 보도 태도에 "어이가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 민주노동당 울산시당 지방의원들이 7월 27일 "미디어법이 지역언론을 다 죽인다"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시사울산
해당 기사는 '이광복 보좌관 미디어법 숨은 주역'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이렇게 적었다.
"…이를 위해 한나라당은 의원단 대표와 보좌진 대표, 국회 사무처 대표, 당직자 대표 4명이 부상없이 바리게이트를 뚫기 위해 각종 아이디어를 냈다. 의원단 대표는 4선의 정의화 의원이, 보좌진 대표는 최연장자인 최병국 의원실 이광복 보좌관이, 이원기 국장, 이동주 국장 등이 사무처와 당직자 대표를 각각 맡았다.
(7월 22일) 오후 2시 직권상정이 예고된 가운데 2시30분부터 4차례에 걸쳐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점령한 본회의장 로텐더홀 공략을 시도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
이미 숫적 열세속에 허망하게 하늘만 바라볼 뿐이었다. 곳곳에서 '이러다 오늘도 물건너 가겠지'란 자조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그러나 이들 4명에게 순간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정문보다는 감시가 소홀한 우측 출입구를 선택한 것.
김형오 국회의장과 이윤성 국회 부의장, 한나라당 의원들은 일사분란하게 이들이 공간을 확보한 통로를 따라 본회의장으로 입장, 미디어법을 통과시켰다."
이 신문은 또 다음날 사설에서는 "법 개정의 목적은 신문·방송·통신·인터넷이 융합하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부응해 국내 미디어 산업의 성장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함으로써 미디어 산업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키우자는 것이다"면서 미디어법 통과를 기정사실화 하기도 했다.
울산에서는 현재 일부 언론노조원과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야당, 네티즌과 시민단체들이 연일 미디어법 원천무효를 외치며 서명운동과 촛불시위, 길거리 시국연설회 등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이들이 기자회견을 통해서도 "미디어악법의 통과로 지역 언론이 성장하고 발전할 환경이 근본적으로 제약된다"며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지역 언론이 거대기업과 거대언론사와의 무차별 경쟁에 내몰리게 됨으로써 사실상 지역 언론은 고사될 위기에 내몰리게 됐다"고 우려를 나타낸 것에 비하면 아이러니한 일이다.
울산지역에는 6개의 일간지와 3개의 주간지, 10여개의 인터넷 매체가 있다. 하지만 대다수 언론들은 미디어법을 둘러 싼 지금의 사태를 무덤덤하게 관망하고 있다.
울분을 토한 민주당 울산시당 당직자는 "친한나라당 논조를 보여온 것은 비단 이 신문만이 아니지 않냐"면서 "하지만 미디어법이 지역언론을 고사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는 정말 납득하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해당 언론 구독을 끊고, 당원들에게도 구독을 끊으라고 할 참"이라며 "정말 힘이 빠지고 의욕이 없어진다"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시사울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