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옛 영화는 사라지고 바람소리만 남아

우리문화 답사기(3) 충주 숭선사지를 가다

등록|2009.09.29 11:43 수정|2009.09.29 11:43
충주시 신니면 문숭리에 자리한 사적 제445호 숭선사지. 지금은 폐허가 되어 옛 영화는 찾아볼 수 없지만, 널린 석조물로 보아 그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 밤나무 아래 커다랗게 쌓아올린 와편 더미에서도 오래전 영화를 찾아볼 수 있다.

숭선사지와편을 쌓아올린 더미 ⓒ 하주성



숭선사지봉수대처럼 쌓아놓은 와편더미 ⓒ 하주성




숭선사는 954년인 고려 광종 5년에 광종의 모후인 신명숭선황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원찰이다. 한강 이남에서 최초로 확인된 고려시대 원찰로 그 가치가 크다.

숭선사지금당터와 탑지 남문터 배수로 담장 등이 확인이 되었다 ⓒ 하주성



문숭리에 소재한 숭선사지를 찾았다. 낮은 산길을 조금 오르다가 보면 비닐로 붕괴가 되는 것을 방비를 한 흔적이 보인다. 아직은 발굴 중인 듯하다. 여기저기 널려있는 석조물들을 보아도 그 규모가 짐작이 간다.

지금까지 금당터와 배수로, 남문지, 담장터 등이 확인이 되었다. 사지 안을 둘러보아도 그 옛 흔적이 그려진다. 더욱 왕의 모후의 명복을 비는 원찰로 창건하였으니 그 규모가 어떠했을까?

숭선사지전각이 있었을 자리가 완연하다 ⓒ 하주성



숭선사지배수로인듯 한 흔적이 있다. 배수로 양편에는 전각이 있었던 것 같다 ⓒ 하주성




1980년 초 숭선마을에서 <숭선사>명 기와가 발견이 된 후 주목을 받은 숭선사지는 금동보살두, 분청사기 장군 등 많은 유물이 발견이 되었다. 널려있는 수많은 석재들. 그 규모가 상당하다. 곳곳을 돌아보다가 보니 머릿 속에 숭선사의 옛 모습이 조금은 다가오는 듯하다.

1497년(조선 성종 10) 1551년(명종 6년) 1579년(선조 12) 등에 중창을 한 것으로 추정을 할 수가 있어 조선조까지도 숭선사는 웅장한 모습을 지켜왔던 것 같다.

숭성사지배수구, 전각 사이로 난 배수로를 따라가다 보니 배수구가 나온다. 생각만해도 아름다운 절이란 생각이다. ⓒ 하주성




옛 영화는 사라지고 바람소리만 남은 숭선사지. 그러나 그 흔적 하나가 아름답던 과거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도록 만든다. 그 돌 하나하나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배어 있었을까?

1시간 정도를 땀을 흘리며 사지를 돌다가 보니 와편을 쌓아 놓은 곳에서 '후두둑' 소리가 난다. 가보니 커다란 밤톨 하나가 떨어져 있다. 나무 위에는 다람쥐 한 마리가 부지런히 돌아다닌다. 저 녀석도 가을걷이가 한창인가 보다. 밤톨 한 알을 놓아두고 발길을 돌린다. 한낮의 더위에 지친 바람 한점이 동행을 한다.

play

사적 제445호 충주 숭선사지충주시 신니면에 소재한 고려시대의 절. 고려 광종의 모후의 명복을 빌기위해 세운 원찰. ⓒ 하주성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