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단종의 슬픈 역사를 지켜본 관음송

우리문화 답사기(32) - 천연기념물 제349호 관음송

등록|2009.10.30 10:34 수정|2009.10.30 10:34
강원도 영월군 남면 광천리, 흔히 청령포라고 하는 곳이다. 청령포는 남한강 상류에 위치한 단종의 유배지로, 1971년 강원도 기념물 제5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조 제6대 단종이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찬탈당한 후, 1446년 성삼문, 하위지 등 사육신의 단종복위 움직임이 사전에 발각되자, 단종은 노산군으로 격하되어 원주, 주천을 거쳐 이곳 청령포에 유배되었다.

청령포는 배를 이용하지 않고는 들어갈 수가 없는 곳이다. 삼면이 남한강 물줄기가 휘돌아드는 곳이며 물살이 거센 곳이다. 서쪽으로는 육육봉이라 불리는 험준한 암벽이 솟아있어 접근을 할 수도 없고, 밖으로 출입을 할 수가 없다. 마치 섬과 같은 이곳 청령포에는 단종의 슬픈 역사를 지켜 본 소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관음송천연기념물 제349호 관음송은 영월 땅 청령포에 소재한다. ⓒ 하주성



관음송(觀音松), 수령이 600여년이며, 나무의 크기는 높이가 30m, 가슴높이 둘레가 5.2m 정도에, 가지 길이는 동·서쪽이 22m, 남·북쪽이 19.5m 정도이다. 지상에서 1.6m 정도 되는 곳에서 두 갈래로 갈라진 이 소나무는, 단종이 유배시절 이 갈라진 곳에 앉아 생활을 했다는 것이다. 관음이라는 말도 단종과 연관이 있다. 즉 단종의 '슬픈 유배생활을 보았으며(=觀), 이야기 소리를 들었다(=音)'는 것이다. 그러나 이야기소리를 들은 것일까? 아니다, 이야기가 아닌 단종의 구슬픈 울음이었을 것이다.

관음송단종이 걸터앉았다는 관음송의 갈라진 부문. 아마 단종임금은 이곳에 앉아 날마다 울음으로 세월을 보냈을 것이다. ⓒ 하주성



단종 임금은 유배생활을 하면서 이 나뭇가지에 걸터앉아 무엇을 했을까? 때로는 서북의 한양을 바라보고 그리운 사람들을 생각하며 눈물을 짓기도 했을 테고, 때로는 동쪽의 흐르는 강물을 바라다보면서 이 좁은 곳에서 나가고도 싶었을 것이다. 어린 단종임금은 아마 어디를 보나 자신의 처지가 슬퍼 울음으로 날을 보냈을 것이다. 그 슬픔을 묵묵히 바라다보며 함께 한 소나무는 그 후 나라에 안 좋은 일이 있을 때마다 껍질이 검게 변했다고 한다. 그리움에 속이 타버린 단종의 마음이 전해져 나라걱정을 하는가 보다.  

관음송수령 600여년이 된 관음송은 여기저기 수술을 한 자국들이 보인다. ⓒ 하주성



춤추는 가지마치 춤을 추는듯 한 관음송의 가지. 단종을 위로하기 위해 남몰래 춤을 추지는 않았는지. ⓒ 하주성



천연기념물 제34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관음송을 보기 위해 청령포를 찾아 영월 땅에 들어설 때마다 비가 내렸다. 세 번이나 찾았지만 그 때마다 쏟아지는 비로 인해 청령포를 들어가질 못했다. 아마 영월이라는 곳이 단종임금의 슬픈 사연이 많은 곳이다 보니, 갈 때마다 눈물이 되었는가 보다. 네 번째 찾았을 때 비로소 관음송을 볼 수 있었다. 주변에 나무들보다 유난히 높게 자란 관음송. 가지는 마치 춤을 추는 듯하다. 단종임금을 위로하기 위해 나무가 스스로 춤을 추지는 않았을까?

관음송슬픈 단종의 역사를 지켜보고 그 울음소리를 들었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 하주성



그 슬픈 역사를 아는지 모르는지. 사람들은 연신 나무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기에 바쁘다. 세월이 흐르면 사람들은 저렇게 모든 것을 다 잊고 살아가는데. 관음송 한 그루만이 그 슬픈 역사를 기억하는 것인지. 단종을 위로하느라 추던 춤을, 오늘도 멈추지 않고 있다.

play

단종의 슬픈 역사를 지켜 본 관음송수령 600여년의 천연기념물 제349호 관음송은, 단종임금의 유배지인 청령포 안에 있다. 유배를 온 단종이 이 나무에 걸터앉고는 했다는데, 슬픈 단종의 역사를 지켜 본 역사의 나무다. ⓒ 하주성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