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7일은 청주삼백리 회원들이 대청호반을 답사하는 날이다. 흥덕구청을 출발해 문의면 산덕리 고갯길에 차를 주차시키고 청남대 뒷산인 곰실봉에 올랐다. 대청호 주변의 경치가 아름다웠지만 우거진 나뭇가지들이 가리고 있어 아쉬웠다. 오늘은 평소보다 답사 코스가 짧아 산에서 내려오니 이른 시간이다.
송태호 대표가 인근에 있는 두루봉동굴을 들르자는 의견을 내놨다. 마침 두루봉동굴의 발굴에 직접 참여했던 홍순두 선생님이 같이 답사를 하고 있어 모두가 환영했다. 사실 두루봉동굴은 내가 여러 번 답사를 계획했던 곳이다. 하지만 인근의 마을 사람들도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거나, 동굴이 없어졌다고 말해 실천할 수 없었다.
괴곡리 마근이마을 뒤편으로 홍 선생님의 뒤꽁무니를 따라가니 두루봉동굴유적지에 도착한다. 큰길에서 의외로 가까운 곳에 있고, 관계자의 허가 없이는 출입을 금하는 통제구역이라 놀랐다. 더구나 몇 발자국 안으로 들어서자 두루봉동굴은 어디로 사라지고 인공 빙벽장을 만들어도 될 만큼 수십m 깊이의 거대한 채석장이 자리 잡고 있다. 회원들은 동물과 식물은 물론 구석기 유적, 미라 등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발굴된 두루봉동굴유적지가 채석장으로 변해 괴물처럼 방치되고 있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홍 선생님은 옛 모습을 찾을 수 없지만 굴의 형태가 일부 남아있는 입구의 석회석 벽이 흥수굴이 있던 자리라고 했다. 이날 중요한 유적지가 사라진 것을 아쉬워하는 홍 선생님에게 두루봉동굴에 관한 얘기를 들었다.
홍 선생님에 의하면 산의 모양이나 형국이 덕이 있게 생긴 '산덕리', 10집이 망해서 동네를 떠난 '열망골', 한 집안에서 선비가 9명이 나온 '구사리' 등 인근 부락의 이름에 뜻이 담겨있다. 두루봉동굴이 있는 두루봉도 두루뭉실(두루뭉술)하게 모나지도 둥글지도 않은 산의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란다.
홍 선생님과 청주삼백리 회원들은 MBC 창사특집 다큐멘터리 '아마존의 눈물'을 얘기했다. 다큐멘터리를 보면 아마존의 밀림에서 원시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신식 문명을 받아들이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나간다. 발가벗고 사는 아마존의 원주민이 자기들의 기호식품인 원숭이 한 마리와 문명의 이기인 티셔츠 한 장을 교환하듯 구석기인들의 삶도 당시로서는 느리지만 그렇게 변화했을 것이다.
두루봉동굴은 1976년부터 83년까지 11차례나 발굴을 했지만 사유지라 발굴 후에도 계속 채석작업이 진행되었고, 보존에 대한 관심이 없던 시절이라 역사적인 가치가 관심사가 되지 못했다. 두루봉동굴에는 의식집행지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처녀굴, 쌍코뿔소ㆍ동굴곰 등의 화석이 나온 2굴, 두루봉 정상에서 새로 발굴된 새굴, 완전한 사람뼈가 발굴된 흥수굴, 집터가 발견된 15굴 등 여러 굴이 있었다.
특히 홍수굴은 완전한 사람뼈와 석기, 동물화석이 발굴된 구석기 유적지다. 이 굴에서 발견된 홍수아이는 일부러 시신을 바로 펴놓은 매장흔적과 가슴뼈 부분에서 나온 국화과 꽃가루 때문에 구석기인의 장례문화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흔적이었다.
약 4만 년 전의 후기구석기시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돼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는 흥수아이의 이름을 발견자이자 광업소 현장소장인 김흥수씨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는 것도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미라가 발굴 될 수 있었던 것도 이 지대가 알카리성의 석회암 지대라 가능했다.
대형 트럭들이 오갈만큼 넓은 차도를 따라 지하로 내려갔다. 석회채굴을 위한 굴들이 곳곳에 있는 것으로 봐 지금도 석회석을 채굴하고 있는 것 같다. 자연동굴은 사라지고 인위적으로 뚫은 작은 굴속에 고드름들이 잔뜩 매달려 있다.
채석작업을 하다 우연히 발견된 유적지라 발굴 당시에도 훼손이 심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흔적도 없이 사라졌으리라고 누가 생각이나 했을까? 되돌릴 수 없는 게 역사이듯 훼손된 유적지를 복구할 수 없는 게 안타깝다. 이곳이 두루봉동굴 유적지라는 안내판 하나쯤 세워둘 필요가 있다는 생각도 했다.
두루봉동굴의 문화적 가치를 피부로 느끼지 못한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이제 두루봉동굴 현장은 사라지고 그곳에서 발굴된 유물들을 박물관에서나 만나볼 수 있다.
우리나라 석기발달과 구석기학문의 체계를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두루봉동굴에서 출토된 유물이 충북대학교박물관(http://museum.chungbuk.ac.kr)에 전시되어 있다.
박물관의 제1전시실에 가면 청원 두루봉동굴유적, 흥수아이 인골 및 복원 흉상, 흥수아이 복원 전신상, 동굴곰, 코뿔이 등을 구경할 수 있다.
송태호 대표가 인근에 있는 두루봉동굴을 들르자는 의견을 내놨다. 마침 두루봉동굴의 발굴에 직접 참여했던 홍순두 선생님이 같이 답사를 하고 있어 모두가 환영했다. 사실 두루봉동굴은 내가 여러 번 답사를 계획했던 곳이다. 하지만 인근의 마을 사람들도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거나, 동굴이 없어졌다고 말해 실천할 수 없었다.
▲ 사라진 두루봉동굴 입구 풍경 ⓒ 변종만
▲ 두루봉동굴을 사라지게 한 채석장 풍경 ⓒ 변종만
괴곡리 마근이마을 뒤편으로 홍 선생님의 뒤꽁무니를 따라가니 두루봉동굴유적지에 도착한다. 큰길에서 의외로 가까운 곳에 있고, 관계자의 허가 없이는 출입을 금하는 통제구역이라 놀랐다. 더구나 몇 발자국 안으로 들어서자 두루봉동굴은 어디로 사라지고 인공 빙벽장을 만들어도 될 만큼 수십m 깊이의 거대한 채석장이 자리 잡고 있다. 회원들은 동물과 식물은 물론 구석기 유적, 미라 등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발굴된 두루봉동굴유적지가 채석장으로 변해 괴물처럼 방치되고 있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홍 선생님은 옛 모습을 찾을 수 없지만 굴의 형태가 일부 남아있는 입구의 석회석 벽이 흥수굴이 있던 자리라고 했다. 이날 중요한 유적지가 사라진 것을 아쉬워하는 홍 선생님에게 두루봉동굴에 관한 얘기를 들었다.
▲ 흥수굴 입구에서 옛 두루봉동굴 유적을 회상하는 홍순두 선생님 ⓒ 변종만
▲ 채석장 입구에서 사라진 두루봉동굴을 아쉬워하는 청주삼백리 회원들 ⓒ 변종만
홍 선생님에 의하면 산의 모양이나 형국이 덕이 있게 생긴 '산덕리', 10집이 망해서 동네를 떠난 '열망골', 한 집안에서 선비가 9명이 나온 '구사리' 등 인근 부락의 이름에 뜻이 담겨있다. 두루봉동굴이 있는 두루봉도 두루뭉실(두루뭉술)하게 모나지도 둥글지도 않은 산의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란다.
홍 선생님과 청주삼백리 회원들은 MBC 창사특집 다큐멘터리 '아마존의 눈물'을 얘기했다. 다큐멘터리를 보면 아마존의 밀림에서 원시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신식 문명을 받아들이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나간다. 발가벗고 사는 아마존의 원주민이 자기들의 기호식품인 원숭이 한 마리와 문명의 이기인 티셔츠 한 장을 교환하듯 구석기인들의 삶도 당시로서는 느리지만 그렇게 변화했을 것이다.
두루봉동굴은 1976년부터 83년까지 11차례나 발굴을 했지만 사유지라 발굴 후에도 계속 채석작업이 진행되었고, 보존에 대한 관심이 없던 시절이라 역사적인 가치가 관심사가 되지 못했다. 두루봉동굴에는 의식집행지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처녀굴, 쌍코뿔소ㆍ동굴곰 등의 화석이 나온 2굴, 두루봉 정상에서 새로 발굴된 새굴, 완전한 사람뼈가 발굴된 흥수굴, 집터가 발견된 15굴 등 여러 굴이 있었다.
▲ 흥수아이 복원 전신상(충북대박물관) ⓒ 충북대박물관
특히 홍수굴은 완전한 사람뼈와 석기, 동물화석이 발굴된 구석기 유적지다. 이 굴에서 발견된 홍수아이는 일부러 시신을 바로 펴놓은 매장흔적과 가슴뼈 부분에서 나온 국화과 꽃가루 때문에 구석기인의 장례문화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흔적이었다.
약 4만 년 전의 후기구석기시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돼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는 흥수아이의 이름을 발견자이자 광업소 현장소장인 김흥수씨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는 것도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미라가 발굴 될 수 있었던 것도 이 지대가 알카리성의 석회암 지대라 가능했다.
▲ 석회채굴을 위해 뚫은 굴 ⓒ 변종만
▲ 작은 굴속에 매달려 있는 고드름 ⓒ 변종만
대형 트럭들이 오갈만큼 넓은 차도를 따라 지하로 내려갔다. 석회채굴을 위한 굴들이 곳곳에 있는 것으로 봐 지금도 석회석을 채굴하고 있는 것 같다. 자연동굴은 사라지고 인위적으로 뚫은 작은 굴속에 고드름들이 잔뜩 매달려 있다.
채석작업을 하다 우연히 발견된 유적지라 발굴 당시에도 훼손이 심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흔적도 없이 사라졌으리라고 누가 생각이나 했을까? 되돌릴 수 없는 게 역사이듯 훼손된 유적지를 복구할 수 없는 게 안타깝다. 이곳이 두루봉동굴 유적지라는 안내판 하나쯤 세워둘 필요가 있다는 생각도 했다.
두루봉동굴의 문화적 가치를 피부로 느끼지 못한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이제 두루봉동굴 현장은 사라지고 그곳에서 발굴된 유물들을 박물관에서나 만나볼 수 있다.
▲ 청원 두루봉동굴유적, 흥수아이 인골 및 복원 흉상, 동굴곰과 코뿔이(충북대박물관) ⓒ 변종만
우리나라 석기발달과 구석기학문의 체계를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두루봉동굴에서 출토된 유물이 충북대학교박물관(http://museum.chungbuk.ac.kr)에 전시되어 있다.
박물관의 제1전시실에 가면 청원 두루봉동굴유적, 흥수아이 인골 및 복원 흉상, 흥수아이 복원 전신상, 동굴곰, 코뿔이 등을 구경할 수 있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한교닷컴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