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1503년 전 한-일 문화교류의 흔적

[일본 간사이 지역을 찾아서 49] 백제인의 향수가 숨 쉬는 백제사

등록|2010.04.06 10:33 수정|2010.04.06 14:36

▲ 본존에 모셔진 십일면관세음보살상, 이곳에서는 식목관음(植木觀音)이라고 합니다. 삼나무의 아랫부분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 박현국


시가켄에는 비와코라고 하는 큰 호수가 있습니다. 이 호수 주변에는 논이 펼쳐져 있고 이 논이 끝나는 지점에 산이 있습니다. 이 비와코 동쪽 산기슭에 백제사가 있습니다. 백제사라고 하는 한자의 음독명은 한글이 만들어진 다음 지어진 것이고, 원래 이 절은 처음 지을 때부터 햐쿠사이지였다고 합니다.

일찍이 고구려 스님 혜자가 당시 일본의 성덕태자의 스승이 되어 둘이 비와코 부근을 여행하다가 밤에 산 속에서 이상한 빛이 발하는 것을 보고 신기하게 여겨 다음날 찾아가 보았답니다. 산 속에 있는 거대한 삼나무가 빛을 발하는데 주위에서 원숭이들이 나무 열매를 바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곳이 상서로운 곳이라 하여 절을 짓고, 이상한 빛을 발하는 삼나무로 십일면관세음보살상을 만들어 하나는 백제의 용운사에 안치하고 한 기는 백제사에 안치했다고 합니다.

▲ 희견원서원(喜見院書院)과 본존 사이에 있는 인왕문입니다. 안에는 한국 사천왕상과 비슷한 나무 조각상이 양 옆으로 두 기가 있습니다. ⓒ 박현국


이 절을 처음 지은 때는 서기 606년 10월 21일로 비와코가 있는 오우미(近江), 지금의 시가켄에서 가장 먼저 지은 절입니다. 당시 삼나무로 만들었던 십일면 관세음보살상은 지금도 같은 모습으로 본존에 모셔져 있는데 지금은 식목관음이라고 합니다. 삼나무 한 그루로 관음보살 두 기를 만들어 하나는 백제 용운사에, 하나는 당시 일본 백제사에 안치한 것은 1500여 년 전 있었던 한일 교류의 상징이자 징표가 아닌가 합니다.

▲ 백제사 종루입니다. 한국 절에서는 스님이 정해진 시간에 종을 치지만 일본 절에서는 누구나 불전함에 돈을 넣으면 종을 칠 수 있습니다. 한국 종은 땅바닥에 가깝게 놓여 있지만 일본 종은 한국 종과 비교하면 하늘에 가깝습니다. ⓒ 박현국


절 이름을 백제사라고 한 것은 당시 이곳에 옮겨와 살던 백제인을 위해서 그 당시 백제에 있던 용운사를 본떠서 그대로 지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백제사는 처음 지어진 뒤 많은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화재로 소실되거나 정치적으로 배척을 당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지금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희견원서원(喜見院書院) 안쪽에 있는 연못 정원입니다. 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모아 연못을 만들고 물속에는 잉어가 헤엄치고 있습니다. ⓒ 박현국


백제사는 산 아래쪽에 희견원서원(喜見院書院)이 있고 산길을 따라서 300여 미터를 오르면 나무로 만든 십일면관세음보살입상을 모신 본존이 있습니다. 희견원서원은 부처를 보신 법당과 스님이 사는 요사체가 있는데 이 두 건물 사이에 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모아 만든 정원이 있습니다. 산 중턱에 있는 본존은 다른 절보다 자유롭게 안을 들여다 볼 수 있게 열려져 있습니다. 본존 오른쪽에는 종류가 있고 왼편 산 속에는 5층탑이 있습니다.

▲ 백제사 곳곳에 심어진 삼지닥나무입니다. 4월 초 잎보다 먼저 연노랑꽃이 피었습니다. ⓒ 박현국


시가켄에 있는 백제사의 위도는 북위 35.1도인데 이곳에서 똑바로 서쪽으로 880 킬로미터를 가면 백제 땅 광주와 맞닿는다고 합니다. 희견원서원에서 본존에 오르는 양 옆 숲에는 동백꽃과 삼지닥나무가 심어져 있습니다. 4월 무렵 방문하면 동백꽃의 빨간 입술을 볼 수 있고 삼지닥나무의 노란 꽃이 내는 꽃 내음을 맡을 수 있습니다.

- 가는 법
오사카나 교토에서 JR 동해도본선 비와코(琵琶湖)행을 타고 오우미하치망(近江八幡)역에서 내려 다시 그곳에서 출발하는 오우미(近江) 철도를 타고 요카이치(八日市)역에서 내려 백제사행 버스를 타고 갑니다.
덧붙이는 글 박현국 기자는 일본 류코쿠(Ryukoku, 龍谷)대학 국제문화학부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