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운장이 우리나라에서 무신이 된 까닭은?
우리문화 답사기(129) - 전북 문화재자료 제5호 관성묘
▲ 관성묘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남고산성 안에 자리한 관우를 모신 관성묘. 전북 문화재자료 제5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 하주성
삼국지에서 출연하는 명장 가운데 한 사람인 관우(關羽, 160년~219년)는 3세기경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이다. 유비, 장비와 더불어 도원결의를 맺고 수많은 공을 세운다. 삼국지에 나타나는 관운장은 청룡연월도를 빗겨들고 적토마에 올라 적군의 간담을 서늘케 만든다. 이 관운장이 우리나라에 와서 왜 무신(武神)으로 신격화되어 숭배를 받는 것일까?
임진왜란 때 진인이 세운 신상이 효시
관우를 우리나라에서 신성시한 것은 임진왜란 때부터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진인이 서을 남묘에 관우를 조각한 신상을 모신 것이 그 효시로 보여진다. 그 뒤 관우는 전국에서 관왕묘, 관제묘 등의 명칭으로 불리면서 신격화됐다. 관우를 가장 신성시하는 것은 역시 무속인들이었다. 무속에서는 관우를 무신으로 신성시하고, 집집마다 모셔둘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추앙을 받았다.
관우에 대한 전설은 많이 전해진다. 그것은 신격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명나라 장수 진인의 활동이 관우와 혼동이 될 수도 있다. 처음에는 남묘에 모셔졌던 관우가 현재 서울 종로구 숭인동에 소재한 보물 제153호 동묘(동관왕묘)로 옮겨졌다. 이렇게 동묘로 옮겨진 것은 관우의 영험이라는 전설이 한 대목 전한다.
▲ 솟을대문관성묘를 들어가는 입구. 다섯칸으로 지어진 솟을대문 양편에는 조각상이 모셔져 있다 ⓒ 하주성
▲ 관성묘관성묘로 오르는 계단. 중문인 솟을대문을 지나면 사당이 보인다. 전주 관성묘는 모두 삼단으로 구성을 하였다 ⓒ 하주성
전설 속에서 우리나라를 구한 관우
임진왜란 때 한양이 왜병의 습격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한양 남대문 앞에 왜병들이 다다르자, 적토마를 탄 장수 한 명이 수많은 병사들을 거느리고 왜병들을 맞아 일전을 벌였다. 적을 물리친 장수는 남산의 한 굴속으로 사라졌는데, 나중에 그곳을 가보니 대나무 잎만 가득 쌓여 있었다고 한다. 후에 한 조정 대신의 꿈에 관우가 나타나 '동묘로 가자, 동묘로 가자'라고 하였다. 그래서 관우의 조각상을 동묘로 옮겼는데, 그날 밤에 남묘에 불이 나 다 타버렸다.
대개 전설은 이와 같은 내용이다. 그러나 이 내용을 살펴보면 관우를 신격화하기 위한 전설임을 알 수 있다. 동묘는 임진왜란 중인 1593년 왜병에 의해 파괴가 되었다. 명의 신종은 친히 친필 현판과 함께 건축자금을 보내와, 1599년부터 새로 짓기 시작하여 1601년에 완성을 하였다. 이 때 서묘와 북묘가 함께 건축이 되었으며, 현재는 동묘만 남아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동묘로 가자'고 했다거나, 남묘가 불이 나 타버렸다는 것은 관운장을 신격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설화로 보인다. 정작 임진왜란 때 파괴가 된 것은 동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남대문에서 관우가 병사들을 이끌고 나타났다는 것도, 남대문 밖에 남묘가 있기 때문에 나타난 설화로 볼 수 있다.
▲ 조각상솟을대문 앙편에는 말을 끌고 있는 장수가 조각되어 있다. 관우인지, 사당을 지키는 수문장인지 확실치가 않다. ⓒ 하주성
전주 남고산성 안에 자리한 관성묘
동남아 일대에서는 관우가 가장 추앙받는 장수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관우를 모셔놓은 사당이 보이는데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남고산상 안에도 주왕묘, 관성묘 또는 관제묘라 부르는 관우를 모신 사당이 있다. 이 관성묘는 고종 32년인 1895년 전라도 관찰사 김성근과, 남고산성을 책임지던 무관 이선문이 제안하여 건립했다.
지난 25일 '관성묘'를 찾았다. 남고산성 안으로 들어가 하마비를 지나면 주변에는 대나무 숲이 있고, 돌계단 위에 솟을대문이 보인다. 대문의 현판에는 '관성묘'라고 적혀있다. 솟을대문은 모두 5칸으로 축조되었으며, 중앙의 세 칸 밖으로 좌우에 한 칸씩이 더 달렸는데, 그 안에는 말을 끌고 있는 무장을 조각해 놓았다. 이 조각이 관우를 조각한 것인지, 아니면 사당을 지키는 무장인지는 확실치가 않다.
▲ 이름돌 계단에 적어놓은 이름. 안과태평을 기원한 것일까? ⓒ 하주성
▲ 삼국지삼국지에 나오는 관우의 활약을 그린 대전도 ⓒ 하주성
솟을대문을 지나면 위로 오르는 돌계단에 또 하나의 중문이 보인다. 이도 역시 솟을대문으로 꾸며 관우가 신격화돼 있음을 짐작케 한다. 사당으로 오르는 좌측에는 사당을 지키는 사람이 사는 집인 듯, 한 채의 가옥이 있다. 돌계단에는 사람들의 이름을 적어 놓았다. 신격화된 관우의 영험으로 안과태평을 기원한 것은 아니었을까?
제대로 관리가 안 되는 문화재
계단을 오르면 앞으로 부속건물을 달아낸 사당이 있고, 그 좌우에는 살창으로 앞을 막은 전각이 있다. 그 안에는 삼국지에 나오는 내용들을 포함, 관우의 활약상이 그려져 있다. 사당은 문이 굳게 잠겨 있어 안을 볼 수가 없다. 안에는 관우의 상을 모셔 놓았다는데, 문틈으로 안을 들여다보니 양편에도 조각상들이 보이고, 중앙에는 제단이 마련되어 있다.
▲ 전각사당 양편에 지어진 전각. 안에는 삼국지에 나오는 관우의 활약상을 그린 대전도가 걸려있다. ⓒ 하주성
▲ 사당안사당을 출입하는 문은 굳게 잠겨있다. 문틈으로 안을 들여다보니 조각상이 보인다. ⓒ 하주성
주변을 둘러보다가 눈살이 찌푸려진다. 덧달아낸 부속건물 앞에는 평상을 만들어 놓았는데, 엎어진 종이컵에서 담배꽁초들이 굴러 나와 있었다. 문화재 안에서 이렇게 담배들을 피워대고 있다니, 참으로 한심한 꼴을 본 셈이다. 여기저기 살펴보니 아마 이 관성묘를 관리하는 사람이 무속인인 듯하다. 기둥에는 정수기와 일회용 커피봉지들이 놓여있어, 정신이 사납다.
관우가 우리에게 전해준 것은 그의 충정이다. 그리고 몸을 도사리지 않고 나라를 구하겠다는 일념이다. 그렇기에 무관들이 주축이 되어 지어진 관성묘가 아닐까? 아마 무관들에게는 관우가 그 누구보다도 숭앙의 대상이 됐을 것이다. 문화재는 보존이 중요하다. 문화재가 올바로 지켜질 때 그 가치가 높은 것이다. 주변을 말끔히 정리하고 누구나 찾아와 관람을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사람들은 그 문화재의 가치를 더 높게 보지 않을까? 관성묘의 제대로 된 보존이 아쉽다.
▲ 사당 앞사당 앞으로 달아낸 부속건물은 평상이 놓여있고, 담배꽁초며 정수기 등이 놓여있어 산란하다. ⓒ 하주성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