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돈 관리? 나는 남편에게 타다 써"

월급 관리 남편 시킨다는 지인의 말을 듣고

등록|2010.09.16 11:09 수정|2010.09.16 11:10
"배추 4포기 얼마에요?"
"요새 배추나 야채가 금값이야. 배추 4포기에 3만원."

헉, 말로만 듣던 금값이다. 추석이 코앞인데 진정 기미가 없다. 추석 장보기도 힘든데 엎친 데 덮쳤다.

어느 명품녀의 몇 억 원짜리 치장이 사실은 몇 천만 원이라고 야단법석이었다. 또 백화점에서 수백에서 수천만 원짜리 선물세트가 불티나게 팔린다고 한다. 서민들은 몇 천만 원은 고사하고 추석 지내기도 벅찬데 완전 다른 세상이다.

추석 연휴는 최소 3일에서 최장 9일까지 될 예정이다. 최대의 여행 러시가 있을 것이란다. 있는 사람이야 황금연휴지만 없는 사람들은 한숨 나는 추석 연휴기도 하다. 그래선지, 지인 아내의 하소연이 남 일 같지 않았다. 

"돈 관리? 우리 집은 남편이 해. 나는 남편에게 타다 써."

보통 아내들이 예산을 쥐고 가계를 꾸려나가는 경향이라 생소했다. 더군다나 30대도 아닌 50대 중반 지인 부부라 더 낯설었다. 왜 남편에게 타다 쓰는지를 물었다.

▲ 지인 부부와의 한담에서 남편들은 마냥 왜소했다. ⓒ 임현철




"월급 타봤자 매달 적잔데, 뭐 하러 골치 아프게 살아."

"월급 타봤자 매달 적잔데, 뭐 하러 골치 아프게 살아. 적은 월급 쪼개서 이리 쓸까? 저리 쓸까? 머리 굴려봐야 내 머리만 아파. 남편에게 타 쓰는 게 훨씬 편해."

고단수 주부였다. 옆에서 겸연쩍게 웃던 지인이 "남편 기 어지간히 죽여라"며 눈치다. 한 번 터진 이야기가 그런다고 그칠까. 그녀는 한술 더 떠 "남편에게 타서 쓰는 게 제일 편할 때가 언제인 줄 아냐?"며 호기까지 부렸다. 이를 되물었다.

"명절에는 더 편해. 제수용품도 남편이 다 알아서 처리하고. 시댁과 친정에 주는 용돈까지 알아서 처리하니 골머리 썩을 일이 없다."

이런 경우라면 굳이 적은 월급 머리 써가며 쪼갤 필요가 없다. 하지만 타다 쓰는 것도 한계가 있다. 돈 한 번 타려면 별걸 다 물어 자존심 상한다는 말 때문이다. 그녀는 이도 단칼에 일축했다.

세상이 자기 마음대로 되면 그 무슨 재미

"말하면 남편이 사 주는데 뭐 하러 머리 싸매고 살어. 안 그래?"

참 편한 주부다. 하여, 지인에게 물었다. 월급 어떻게 쓸까 계산하면 머리 안 아프냐고. 그랬더니 자조 섞인 답변이 돌아왔다.

"각시가 계산을 잘 못해. 그러니 내가 해야지 어쩌겠어. 이번 추석 물가가 장난 아니라 나도 골치 아파. 번번이 돌아오는 명절이 답답하고 무서워."

이 부부도 역시 한쪽은 골치 아팠다. 이게 우리네 현실이었다. 내 아내도 간혹 "돈 한 번 마음껏 써봤으면 소원이 없겠다"는 말을 종종 한다. 아내만 그럴까? 나도 그렇다. 하지만 이에 대한 내 변명은 언제나 비슷하다.

'세상이 자기 마음대로 되면 그 무슨 재미. 안 되는 것도 있어야 사는 맛이 나지.'

어쨌거나, 현명한 추석나기가 필요한 때다.
덧붙이는 글 다음과 SBS에도 송고합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