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러워라// 희고 창백한 얼굴로 등굽혀 무릎 세우고 잠시 내려 앉았다/저 나한상의 손등위로/ 다시 맨발로 대웅전을 가로 질러 돌탑으로 날아/ 석등에 불 밝히더니/ 칼을 버리라 상처를 버리라 내내 첫 사랑의 발자국처럼/ 탕탕 가슴을 치받더니 가슴을 에리더니/ 한 순간 풍경소리로 처마에 걸려 바람을 흔든다. -이하 생략-
강릉출신 김경미 시인의 "나비날다"의 1연과 2연이다.
노랗게 익은 감이 주렁주렁 달린 가로수 길을 따라 가을이 먼저 온 걸 안다는 예향 강릉에는 지금 강릉예술제가 한창이다. 사진전, 미술전, 국악공연, 시화전이 모두 한 곳에서 열리고 있다. 강릉예술관 전시실과 대공연장, 소공연장에서 다채로운 문화예술 행사가 시민들의 발걸음을 붙잡고 있다.
가장 먼저 발길이 멈추는 곳은 예술관 앛 뜨락에 자리 잡은 시화전 풍경이다. 강릉지역 문인 70여 명의 시가 단풍에 붉게 물들어 펄럭이며 바람결에 시어가 그림을 품은 채 가슴 속으로 들어 오는 걸 느낄 수 있다.
소를 팔러 북평장에 간 아버지는/소 값이 똥값이라며 북평우체국 앞 대폿집에서/ 해거름을 안주 삼아, 연신 막걸리만 한나절이다/ 꼬까신 갖고 싶은 내 맘 아는지 모르는지/ 소 팔아야 느늘 오래비 학비 부칠텐데/ 다 퍼드러진 메밀묵이 울먹인다 -이하 생략-
이애리 시인의 북평장날 중에서
온통 환하다/ 겸허히 버리는/ 가을 숲/ 나는 무엇을 버려/ 님 가시는 그 길에/ 등불 밝힐 수 있을까/ 버려야 할 것 버리지 못하고/잊어야 할 것 잊지 못하고/ 아집으로 버틴 회한의 언덕 -이하 생략- 최숙자 시인의 가을 숲길에서 1연
당신이 내게 무엇으로 사느냐고 물으신다면/ 마음 감시 시스템이 설치완공중이라고 할래요/ 당신이 내게 미움을 아느냐고 물으신다면/ 미움은 4차원을 넘나드는 미소였다고 말할래요/ 당신이 내게 슬픔을 아느냐고 물으신다면/그것은 물독을 채워가는 두꺼비였다고 말할래요/ 당신이 내게 몸체를 아느냐고 물으신다면/ 세웠던 칼날 무디어져 터 닦는 쟁기로
변했다고 말할래요 -이하생략- 권오선 시인의 당신이 중에서
시인의 시가 내밀한 그리움으로, 애타는 눈빛으로 가을 바람 속에서 말을 걸어 오고 있다.
그 그리움이 단풍으로 들어 오고 낙엽으로 지기 전에 감나무에 노랗게 익어가고 단풍이 피빛으로 붉게 물든 사이에서 펄럭이는 시화전으로 들어가 가을 햇살이 노랗게 익어 가는 뜨락에서 시의 물결에 빠져 보는 것은 계절의 더 없는 감동이 될 것이다.
같은 시각 원주 치악예술관에서는 현수막에 시와 그림을 넣은 야외 전시가 아닌 작은 액자에 수채화와 어우러진 예쁜 시화전이 대공연장 로비에서 시민들과 만나고 있다.
역시 원주예술제의 일환으로 열리는 이 행사는 사진전, 국악공연, 클래식공연과 연극공연등과 함께 다채로운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원주지역 시인 82명중 56명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오탁번 시인의 초대시 [밤]은 가을의 고향풍경을 생각나게 한다.
할아버지 산소 가는 길/ 밤나무 밑에는/ 알밤도 송이밤도/ 소도록 떨어져 있다.
밤송이를 까면/ 밤 하나하나에도/ 다 앉음앉음이 있어/ 쭉정밤 회오리밤 쌍동밤/ 생애의 모습 저마다 또렷하다.
한가위 보름달을/ 손전등 삼아/ 하느님도/ 내 생애의 껍질을 까고 있다.
토지문학관장 고창영 시인은 가을을 이렇게 노래했다.
메밀전에 청국장/ 돼지고기 두루치기가 맛있는/ 흥업면 기와 집// 가을 비 오시는 날/ 따끈한 구들방에 앉아/ 추녀 끝에 떨어지는 가을을/ 소주잔에 기울이다가// 눈 딱 감고/ 사랑하다 죽겠다는 / 그 사내/ 따라 나서고 싶은, -가을 전문
권순형 시인에게도 가을은 아프다, 그리고 시리게 다가온다.
이렇게 좋은 날/ 까페에 혼자 앉아 있다는 것이/ 외로움이다//오지 않는 사람을 /기다린다는 것이/ 슬픔이다//가을이라서/ 가슴이 이리 허전한 거겠지라고/ 까페 주인은 혼잣말을 한다// 나는 아무 말도 않고/ 커피만 마신다// 이렇게 좋은 날이/ 이렇게 슬플 줄 몰랐다
-가을 한 잔을 마시며 전문
우리 집 아그배 엉큼도 하지./ 나비도 모른 채,/ 꿀벌도 나 몰라라,/ 아침나절 스쳐 간 휘파람새에 마음 팔려,/ 바람소리 날 때마다 꽃잎 흩날린다.
꽃잎 편지 봄바람에 부쳐 놓고/ 하마나 올까 휘파람새 기다리며/ 밤에도 온 마을이 환한/ 분홍 꽃 등불 -김정희 시인의 아그배나무 꽃 전문
시인들의 가슴은 가을을 태우고 슬픔도 태우고, 사랑도 태우면서 그렇게 온 몸으로 시를 쓴다. 때로는 엉큼하게 자기만의 상상으로 사랑하고 연애하고 풀도 나무도 꽃도 모두 시인의 포로로 만들고 만다.
이 가을이 시인에게 시를 못 쓰고 못배기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시인들의 시어를 가슴에 담아 가고 그들의 감성에 못내 뛰어들 수 있는 시화전이 해마다 단순하게 열리는 연례행사로만 치부하기에는 너무도 안타까운 이유다.
강릉출신 김경미 시인의 "나비날다"의 1연과 2연이다.
노랗게 익은 감이 주렁주렁 달린 가로수 길을 따라 가을이 먼저 온 걸 안다는 예향 강릉에는 지금 강릉예술제가 한창이다. 사진전, 미술전, 국악공연, 시화전이 모두 한 곳에서 열리고 있다. 강릉예술관 전시실과 대공연장, 소공연장에서 다채로운 문화예술 행사가 시민들의 발걸음을 붙잡고 있다.
▲ 가을시화전시화전 풍경 아래서 가을 햇살을 받으며 누어서 시를 읽고 싶었다 ⓒ 김남권
가장 먼저 발길이 멈추는 곳은 예술관 앛 뜨락에 자리 잡은 시화전 풍경이다. 강릉지역 문인 70여 명의 시가 단풍에 붉게 물들어 펄럭이며 바람결에 시어가 그림을 품은 채 가슴 속으로 들어 오는 걸 느낄 수 있다.
소를 팔러 북평장에 간 아버지는/소 값이 똥값이라며 북평우체국 앞 대폿집에서/ 해거름을 안주 삼아, 연신 막걸리만 한나절이다/ 꼬까신 갖고 싶은 내 맘 아는지 모르는지/ 소 팔아야 느늘 오래비 학비 부칠텐데/ 다 퍼드러진 메밀묵이 울먹인다 -이하 생략-
이애리 시인의 북평장날 중에서
온통 환하다/ 겸허히 버리는/ 가을 숲/ 나는 무엇을 버려/ 님 가시는 그 길에/ 등불 밝힐 수 있을까/ 버려야 할 것 버리지 못하고/잊어야 할 것 잊지 못하고/ 아집으로 버틴 회한의 언덕 -이하 생략- 최숙자 시인의 가을 숲길에서 1연
당신이 내게 무엇으로 사느냐고 물으신다면/ 마음 감시 시스템이 설치완공중이라고 할래요/ 당신이 내게 미움을 아느냐고 물으신다면/ 미움은 4차원을 넘나드는 미소였다고 말할래요/ 당신이 내게 슬픔을 아느냐고 물으신다면/그것은 물독을 채워가는 두꺼비였다고 말할래요/ 당신이 내게 몸체를 아느냐고 물으신다면/ 세웠던 칼날 무디어져 터 닦는 쟁기로
변했다고 말할래요 -이하생략- 권오선 시인의 당신이 중에서
시인의 시가 내밀한 그리움으로, 애타는 눈빛으로 가을 바람 속에서 말을 걸어 오고 있다.
그 그리움이 단풍으로 들어 오고 낙엽으로 지기 전에 감나무에 노랗게 익어가고 단풍이 피빛으로 붉게 물든 사이에서 펄럭이는 시화전으로 들어가 가을 햇살이 노랗게 익어 가는 뜨락에서 시의 물결에 빠져 보는 것은 계절의 더 없는 감동이 될 것이다.
같은 시각 원주 치악예술관에서는 현수막에 시와 그림을 넣은 야외 전시가 아닌 작은 액자에 수채화와 어우러진 예쁜 시화전이 대공연장 로비에서 시민들과 만나고 있다.
역시 원주예술제의 일환으로 열리는 이 행사는 사진전, 국악공연, 클래식공연과 연극공연등과 함께 다채로운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원주지역 시인 82명중 56명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오탁번 시인의 초대시 [밤]은 가을의 고향풍경을 생각나게 한다.
할아버지 산소 가는 길/ 밤나무 밑에는/ 알밤도 송이밤도/ 소도록 떨어져 있다.
밤송이를 까면/ 밤 하나하나에도/ 다 앉음앉음이 있어/ 쭉정밤 회오리밤 쌍동밤/ 생애의 모습 저마다 또렷하다.
한가위 보름달을/ 손전등 삼아/ 하느님도/ 내 생애의 껍질을 까고 있다.
토지문학관장 고창영 시인은 가을을 이렇게 노래했다.
메밀전에 청국장/ 돼지고기 두루치기가 맛있는/ 흥업면 기와 집// 가을 비 오시는 날/ 따끈한 구들방에 앉아/ 추녀 끝에 떨어지는 가을을/ 소주잔에 기울이다가// 눈 딱 감고/ 사랑하다 죽겠다는 / 그 사내/ 따라 나서고 싶은, -가을 전문
권순형 시인에게도 가을은 아프다, 그리고 시리게 다가온다.
이렇게 좋은 날/ 까페에 혼자 앉아 있다는 것이/ 외로움이다//오지 않는 사람을 /기다린다는 것이/ 슬픔이다//가을이라서/ 가슴이 이리 허전한 거겠지라고/ 까페 주인은 혼잣말을 한다// 나는 아무 말도 않고/ 커피만 마신다// 이렇게 좋은 날이/ 이렇게 슬플 줄 몰랐다
-가을 한 잔을 마시며 전문
우리 집 아그배 엉큼도 하지./ 나비도 모른 채,/ 꿀벌도 나 몰라라,/ 아침나절 스쳐 간 휘파람새에 마음 팔려,/ 바람소리 날 때마다 꽃잎 흩날린다.
꽃잎 편지 봄바람에 부쳐 놓고/ 하마나 올까 휘파람새 기다리며/ 밤에도 온 마을이 환한/ 분홍 꽃 등불 -김정희 시인의 아그배나무 꽃 전문
시인들의 가슴은 가을을 태우고 슬픔도 태우고, 사랑도 태우면서 그렇게 온 몸으로 시를 쓴다. 때로는 엉큼하게 자기만의 상상으로 사랑하고 연애하고 풀도 나무도 꽃도 모두 시인의 포로로 만들고 만다.
이 가을이 시인에게 시를 못 쓰고 못배기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시인들의 시어를 가슴에 담아 가고 그들의 감성에 못내 뛰어들 수 있는 시화전이 해마다 단순하게 열리는 연례행사로만 치부하기에는 너무도 안타까운 이유다.
덧붙이는 글
중복게재없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