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몸'으로 '소통'을 이야기하다

구본숙과 물아현대무용단, '말과 말사이' 공연 펼쳐

등록|2010.10.28 10:56 수정|2010.10.28 10:56

소통을 주제로 한 무용공연 광경인간 사이에서 벌어지는 여러가지 일들을 몸짓으로 표현해 낸 광경. 이번 주제는 '말과 말사이'로 인간의 소통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 김용한


지난 27일 천마아트센터 그랜드홀에서는 구본숙과 물아현대무용단(대표 안재연)의 '말과 말사이'라는 공연이 펼쳐졌다.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일어나는 말로 인해 생겨나는 스토리로서 사랑, 미움, 환멸, 다툼 그리고 화해 등을 스토리화하여 꾸민 몸짓 마당이다.

소통을 소재로하여 꾸민 무대.캐스트 박은영 무용수와 정연수 무용수의 몸짓 공연 ⓒ 김용한

시작 전부터 잔잔하게 들려오는 라이브 연주가 마치 멋진 레스토랑에 연인과 앉아 데이트를 즐기듯 정겹다.

이번 작품은 구본숙 교수(영남대 무용학전공)가 안무와 예술감독을 맡은 공연으로, 세상 속에서 일어나는 숱한 이야깃거리와 인생살이의 다양한 변화와 감각들을 젊은 무용수들의 에너지 넘치는 몸짓으로 표현해 냈다.

예술감독 구본숙 교수는 "기존의 틀을 벗어나 움직임에 또 다른 질감을 느끼게 하는데 주력했다"고 강조하면서 "인간이 할 수 있는 움직임 외에 여러 가지 심리현상들을 다각도로 해학적으로 풀어낸 퍼포먼스를 덧붙였다"고 말했다.

한 마디로 이번 공연은 인간과 인간 사이에 소통에 대해 말을 한다. 말로 인해서 빚어진 실수와 오해 그리고 그 파장까지 춤꾼들의 열정적인 무대로서 그 모습을 엿보게 한다.

춤을 춘 무용수들의 느낌은 어떠할까?

생음악에 여자 파트너와 함께 춤을 췄던 캐스트 정연수(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씨는 "녹음을 한 것보다는 직접 생음악에 맞춰 춤을 추니깐 생동감있게 내용을 표현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반면, 연극적인 요소의 동작을 표현해냈던 여소진(영남대 무용학전공 4학년) 학생은 "제게 주어진 대사가 3분 가량이 되었는데 혹시라도 틀릴까봐 조마조마하면서 대사를 외웠다"고 말했다.

말과 말사이' 공연 중 '껍데기를 잡은 손' 동작.인간의 소통을 소재로 만든 '말고 말사이' 무용공연. 여소진씨는 "연극적인 요소인 대사를 외워가며 공연을 한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하였다. 자신을 최고라고 생각하며 껍데기(사람)을 밟고 지나가고 있는 모습. ⓒ 김용한


소통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무용수들.남성 무용수들의 이색적인 퍼포먼스 광경이 인상적이다. 인간의 소통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모습. ⓒ 김용한


또 여씨는 "제 꿈이 뮤지컬 배우가 되는 것인데 이번 공연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무용수들만큼이나 무대 한편에서 숨죽이며 라이브 연주를 해주었던 색소폰 연주자 김일수씨는 "학생들과 관객인 일반인들과 함께 어울려 공연을 만들어간다는 것이 재미있었다"고 느낌을 전하면서 "일반인에게 익숙한 미션임파서벌과 같은 음악들을 무용수들에게 맞게 각색해서 연주했다"고 설명했다.

무용수들만큼이나 공연을 관람했던 관객들의 반응도 후한 점수를 줬다.

남녀의 소통을 표현하고 있는 모습.캐스트 최윤영(경상대학교 강사)무용수가 물아현대무용단 안재연 대표와 함께 소통을 소재로 공연을 펼치고 있다. ⓒ 김용한


다운비트 오케스트라의 라이브 연주 광경.색소폰 김일수, 베이스 손금식, 드러 이재민, 신디사이저 안성애씨가 수고를 해주었다. ⓒ 김용한


영남대 불어불문학과 프랑크 헤어너 교수는 "한국말이 이해되지 않아 답답했지만 무대에서 펼쳐지는 춤과 음악이 잘 어우러진 것 같아 놀랐다"고 말했다.

공연을 관람했던 김은진(영남대 영문학과)씨도 "처음에는 무용수들의 동작과 작품 내용이 부조화를 이룬 것처럼 느껴졌는데 갈수록 말에 특성과 주제가 잘 전달된 것 같아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말과 말사이' 공연은 오는 28일(오후 7:30) 천마아트센터 그랜드홀에서 한 차례 더 열린다. 공연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053)810-3149, 010-6608-8464로 연락하면 된다.
덧붙이는 글 이번 공연에 주요 제작진은 대본 최윤영, 조안무 이인수, 무대미술 오세두, 음악 안재연, 무대감독 조화, 영상감독 이봉형, 의상디자인 배경술, 사진 및 디자인 이경윤, 조명디자인 이성현씨가 참여했다. 기획. 총괄에는 김미진, 박숙현, 홍보 김주영, 김태림, 최소영, 태민지, 무대감독 최진열, 무대기계감독 박동근, 조명감독 이상헌, 음향감독 구자형씨가 수고를 해주었고 영상제작에는 지화충 스튜디오가 운영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