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함'은 토끼들의 경보를 들으라?
중앙대 '잠수함 토끼들', 3일부터 자유인문캠프 개최
▲ 잠수함 토끼들이 준비하는 중앙대 자유인문캠프의 포스터 ⓒ 잠수함 토끼들
'잠수함 속 토끼'는 시인이나 예술가에 종종 비유된다.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현실의 불합리를 가장 먼저 감지하고 저항하기 때문이다. 중앙대에서는 지금 이런 잠수함 속 토끼들의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두산그룹이 재단을 인수한 이후 학내 민주주의가 위태로워졌고, 문제의식을 빠르게 공유한 이들이 모여 진정한 대학의 의미를 고민하기 시작한 것이다.
'잠수함 토끼들'은 11월부터 한 달여간 중앙대에서 열리는 강연회인 '자유인문캠프' 기획단의 이름이다. 백승욱, 김누리, 강내희 등 중앙대 교수들을 포함한 여덟 명의 강사가 강의한다. 세 번의 무료 공개 강좌와 여섯 건의 기획강좌로 이루어지는 자유인문캠프는 '자기-교육 운동, 해방의 인문학'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있다.
잠수함 토끼들의 일원인 곽동건(중앙대 신문방송학과)씨는 "대학의 커리큘럼이 취업 준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반대하는 차원이다. '자기교육'은 '자기계발'에 맞서는 개념"이라며 슬로건의 취지를 설명했다.
▲ 중앙대 자유인문캠프 기획단 '잠수함 토끼들' ⓒ 박솔희
중앙대는 두산그룹의 재단 인수 이후 추진된 기업형 구조조정을 둘러싸고 본부와 학생들이 첨예하게 대립해 왔다.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 학과가 통폐합됐고, 이를 반대하며 고공농성한 학생은 퇴학 처분을 받았다. 재단에 비판적인 교지는 예산이 삭감됐고 본부에 의해 강제 수거되는 등 학내 민주주의와 학생 자치 훼손 문제가 심각한 수준으로 대두됐다.
▲ 대학원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최철웅 씨 ⓒ 박솔희
최철웅(대학원 문화연구학과)씨의 말이다. 중앙대는 전통적으로 '의에 죽고 참에 살자'는 교훈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지성이 강하기로 유명했다. 그러나 일련의 '중앙대 사태'를 거치며 신자유주의적으로 구조조정한 대표 모델로서 중앙대를 인식되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10월 고려대는 중앙대의 구조조정을 컨설팅했던 경영컨설턴트 업체에 경영진단을 의뢰했다. 제2의 중앙대 사태가 곧 고려대에서도 발생할 것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중앙대 사태는 우리 사회 전반의 위기
▲ '자기-교육 운동, 해방의 인문학'은 중앙대 자유인문캠프의 슬로건이다. ⓒ 박솔희
잠수함 토끼들은 인적 구성이 참신하다. 학부생 넷, 대학원생 넷이 함께 어울리는 것이 특이하다. 대학원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최철웅씨는 "중앙대 사태는 단지 학부만의 문제는 아니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대학원도 머지않아 구조조정이 되고 말 것"이라며 연대의식을 드러냈다. 마치 비정규직 철폐를 외치는 정규직을 보는 느낌이다.
이들이 트위터를 통해 만났다는 것도 이색적이다. 배후 세력이 없는 셈이다.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학생회나 동아리 등의 단위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 트위터를 통해 문제의식을 나누던 이들이 자연스레 만나서 기획단을 꾸렸다.
"뒷받침해 줄 '배후'가 없는데 상당한 규모의 강연회를 여는 것이 어렵지는 않았냐"는 기자의 질문에 최씨는 대학원생의 역할을 언급했다.
"이런 강연을 열 때 학부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기획과 섭외다. 우리 기획단에는 대학원생들이 있어 학부생과 교수 사이에서 다리를 놓아줄 수 있었다. 대학원생도 캠퍼스의 일원이므로 학부생과 함께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이 어색하지 않다."
의욕만 앞선 아마추어리즘에 빠지지 않고 훌륭한 프로그램을 내놓을 수 있었던 비결이다.
트위터로 지저귀다 기획... '무한 RT' 등 홍보도 트위터로
▲ 중앙대 자유인문캠프를 기획한 잠수함 토끼들의 곽동건 씨 ⓒ 박솔희
자유인문캠프는 홍보도 트위터로 하고 있다. 이미 트위터는 140자 단문 메시지가 가진 파급 효과를 극대화하는 매체로서 마케팅, 선거 전략, 여론 결집 등의 수단으로 사용되며 많은 가능성을 보여 왔다.
기획단 계정(@re_univ)에서 보낸 자유인문캠프 개최 소식에 대한 메시지는 노회찬 진보신당 전 대표(@hcroh)와 허지웅 영화 칼럼니스트(@ozzyzzz) 등 유명인을 포함해 하루 만에 100회 이상 리트윗되며 화제가 됐다.
취업준비와 스펙쌓기에 바쁜 대학생들이 얼마나 강연을 들으러 올까. 곽동건씨는 이러한 우려를 인정하면서도 "학교가 학습의 방향성을 강요하는 상황에서 본질적인 학문에 대한 수요도 분명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며 자유인문캠프가 학교 본부를 향한 의사표현의 한 방식임을 시사했다.
자유인문캠프는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자유예술캠프를 벤치마킹해 기획된 것이다. 자유예술캠프는 작년 여름 문광부가 한예종 이론과를 폐지하겠다고 나서는 등 예술교육의 자율성을 심각하게 침해하면서 첨예한 갈등을 빚었던 한예종 사태 이후 시작된 것으로, 강좌가 성황을 이루자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계절마다 이어지고 있다.
자유인문캠프도 이번 행사로 그치지 않고 계속해서 개최할 예정이다. 자유인문캠프의 또다른 슬로건은 '희망의 진지전을 펼치자'다. 참된 학문의 추구, 양심있는 지성인으로서의 삶을 가로막는 요인들에 맞서 지속가능한 투쟁을 하기 위한 진지를 구축하는 데도 목적이 있는 것이다.
패배감에 젖은 대학의 비판적 지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이번 자유인문캠프는 11월 3일부터 '자유, 인문학, 캠퍼스'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공유하는 무료 공개 강연으로 문을 연다.
신청 없이 누구나 들을 수 있는 무료 공개 강연 이후에는 한 달간 각각 4회차에 걸친 기획 강좌가 펼쳐진다. 기획 강좌의 수강신청은 11월 7일까지 자유인문캠프 커뮤니티(http://cafe.naver.com/univfree)에서 가능하며 수강료는 각 코스당 2만 원이다. 중앙대생, 대학생이 아니라도 누구나 수강할 수 있으며 문의는 트위터(@re_univ)를 팔로해서 하면 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