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흐리산 중턱의 동굴독공으로 명창반열에 오르다

[명창의 흔적을 찾아가다 2] 전무후무한 대명창 이동백

등록|2011.02.15 14:51 수정|2011.02.15 14:51

흐리산서천군 종천면 도만리 이동백 명창의 생가터가 있는 뒷산이다. 희이산이지만 마을 사람들은 '흐리산'이라고 부른다 ⓒ 하주성


판소리를 하는 명창들의 이야기는 참 우리로서는 상상을 초월하게 만든다. 소리를 얻는 것을 '득음(得音)'이라 하지만, 그 득음을 이루기 위해서 하는 노력은 가히 인간의 한계를 넘나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짧게는 3~4년 길게는 10년 이상을 혼자 소리공부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을 우리는 '독공(獨功)'이라고 한다.

그 독공의 과정은 정말 이야기만 들어도 아찔하다. 전공을 국악을 했기 때문에 고 박동진 명창을 스승으로 모셨었다. 그리고 방송국에서 생활을 하면서, 박동진 명창과 몇 날을 함께 방송제작을 하느라 여기저기 돌아다닌 적이 있다. 그러면서 들은 이야기가 바로 명창들의 득음 과정에 대한 이야기였다.

이동백조선조 후기의 명창으로 생김새가 장대하고 소리가 미음이란 평을 듣는 대명창이다. 우리 판소리사에서 빼 놓을 수가 없는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 인터넷자료


'독공(獨功)'은 '독공(毒恐)'이라니

대개 독공을 하고자 하는 소리꾼들은 동굴이나 폭포를 찾아간다. 동굴 속에 들어가면 2~3년을 동굴을 막아버리고, 겨우 음식물이나 변기 정도가 드나들 구멍 하나만 남겨놓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안에서 소리를 얻어, 그 동굴을 막아 놓은 것이 무너져야 나온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렇게 하는 명창들이 있었다는 이야기다.

폭포 독공 역시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권삼득 명창이 콩 서 말을 들고 남원 용담폭포로 가서, 소리 한 바탕을 할 때마다 콩알 하나씩을 폭포의 소에 던졌다는 이야기도 맥락을 같이한다.

"독공이란 것은 스스로 독을 마시는 것과 같아. 그래서 목에서 피가 넘어오지. 터진목에 예닐곱 번은 그렇게 터지고 아물어야 혀."

이동백 명창의 생가터임을 알리는 비이다 ⓒ 하주성


도만리흐리산 자락에 있는 도만리. 이동백 명창의 생가터가 있다 ⓒ 하주성


얼마나 그 독공이란 것이 힘이 들었을까? 그렇게 십년 가까이 소리공부를 마친 후에,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 가서 소리 한 대목을 한다는 것이다. 요즘 말로하면 '귀명창'들에게 시험을 보는 과정이다. 그 소리판에서 명창 반열에 들지 못하면, 다시 독공을 시작해야 한다니. 독공이란 것이 과연 독을 마시는 것과 같은 두려움이 있을 만도 하다.

흐리산 중턱에서 소리가 들려

이동백 명창은 '전무후무한 대명창'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생긴 것이 준수하고 소리의 성음이 남들이 따라올 수 없을 정도였다는 것이다.

"이동백 선생님이 소리를 할 때면 객석에서 난리가 나지. 서로 조금이라도 가까이 보려고. 그래서 소리를 할 때 선생님은 항상 맨 뒤에 순서를 맡았어. 선생님이 일찍 순서를 마치고 나면, 사람들이 다 가버렸거든."

얼마나 그 생김새가 준수했는지, 지금의 인터넷 등에서 검색을 할 수 있는 자료를 보아도 알 만하다. 이동백 명창은 어렸을 때는 한문공부를 하였다. 그러나 공부에는 취미가 없고 소리에만 전념을 하다가, 서천 장항 빗금내에 있는 김문의 소리꾼인 김정근 문하로 들어간다. 무숙이타령의 대가라고 하는 김정근 명창은, 김창룡 명창과 김창진 명창의 부친이다. 정노식은 <조선창극사>에서 '조선의 소리는 김문에서 되다시피 했다'고 적고 있다.

동굴독공동굴독공 재현. KBS 대전 방송국 제작 다큐멘터리 '중고제' 장면 캡쳐 ⓒ KBS


그후 김세종 문하로 들어간 이동백 명창은 고향인 서천군 종천면 도만리로 돌아온다. 그곳 흐리산(희이산) 중턱의 동굴 앞에 나무를 엮어 초가를 짓는다. 멀리 장항으로 나가는 길목이 보이는 이곳에서 2년간 동굴독공을 한다. '그 2년 동안 북채가 10다발은 끊어졌다'고 후세 사람들은 즐겨 이야기를 한다.

"정말 잘났지, 새색시 때도 힐금거리면 보았으니까"

벌써 20년이 지났다.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 위해 이동백 명창의 생가마을을 찾았었다. 그곳에서 평소 이동백 명창을 보았다는 김부월 할머니(당시 93세였던 것 같다)는 이동백 명창을 이렇게 소개했다.

"정말 잘났지. 논둑길을 걸어오면서 소리를 하는 것을 보면 대장부였어. 새색시였었는데 옆에 시아주버님도 계셨지만 곁눈질로 보았으니까."

아마도 당시로 치면 지금의 인기가수 뺨칠 정도였는가 보다. 그렇게 흐리산 중턱 동굴에서 독공을 마친 이동백 명창은, 어전에 나아가 소리 한 대목으로 벼슬을 얻는다. 당상관인 통정대부를 제수 받았다고 하니 참으로 대단한 소리였나 보다. 신재효의 '광대가'의 첫 머리는 바로 이동백 명창을 기준으로 삼았을 정도라는 소문이다.

생가터2008년 9월 9일에 찾아간 이동백 명창의 생가 터. 예 집은 없어지고, 새로 지은 집이 들어서 있다 ⓒ 하주성


흉내 낼 수 없는 소리 '새타령'

이동백 명창의 소리는 일본 빅타레코드사에서 취입을 한 것을, '서울음반'에서 CD로 복각을 하였다. 그래서 많은 소리를 들을 수가 있다. 그 중 압권은 당연 새타령이다. 뻐꾸기 울음소리 대목으로 가면, 정말로 뻐꾸기가 우는 듯한 착각을 할 정도다. 오랜 독공에서 얻은 명창이라는 칭호가 명불허전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제는 소리로만 기억할 수 있는 이동백 명창. 1993년에 들려본 후 15년 만인 2008년 9월 9일 생가터를 찾아갔을 때는, 예전의 집이 아닌 잘 지어진 가옥이 그 자리에 있었다. 마당에는 철을 알리는 코스모스가 한껏 자태를 자랑하고. 저 뒤편에 보이는 흐리산 자락에서는, 금방이라도 새타령 한 대목을 부르며 논둑길을 걸어오는 명창의 모습이 눈에 보일 듯하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