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구미의 대표인물 길재와 박정희, 그 아이러니

길재 유적과 박정희 생가가 공존하는 구미 여행

등록|2011.03.27 14:36 수정|2011.03.27 15:36

박정희 생가복원된 초가 건물이다. ⓒ 정만진


경상북도 구미시를 대표하는 관광지는 아마 박정희 생가와 금오산일 것이다. 과연 구미 시내로 들어서면 '박정희 생가'와 '금오산'으로 가는 방향을 말해 주는 이정표들이 도로 위 허공마다 줄줄이 걸려 있다.

그러나 금오산은 등산을 하기 위해 찾아온 외지인만을 반기는 그런 곳이 아니다. 금오산에는 고려말 삼은의 한 사람인 길재 선생의 유적이 있다. 조선 영조 때 금오산 입구에 건립된 채미정이 먼저 눈에 들어오고, 산을 절반 이상 오른 다음 정말 천길 낭떠러지를 오른편에 둔 채 콩알만큼 작아진 가슴을 애써 달래며 절벽에 붙은 가느다란 길을 아슬아슬하게 걸어가면 '길재 굴'이 불쑥 나타난다. 길재 선생이 숨어 살았다는 동굴이다.

길재굴 가는 길엄청나게 가파른 절벽에 비스듬히 붙은 철책을 붙잡고 살금살금 걸아야 한다. ⓒ 정만진


굴로 나아가는 절벽의 길을 걸어보면, 어찌 이런 곳에 이토록 큰 굴이 있으며, 또 사람들은 어떻게 이 굴을 발견하였을까 싶은 찬탄이 저절로 일어난다. 요즘 같으면 헬기를 타고 산 일대를 탐색한 끝에 이곳에서 커다란 굴을 찾아낼 수 있겠지만, 아무런 장비도 없는 아득한 옛날에 무슨 재주로 '길재 굴'의 존재를 알아낼 수 있었을까! 그리고 또 어찌 굴까지 다달을 수 있었을까! 아무리 보아도 굴에 이르는 절벽 길은 천연의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정을 들고 쪼아서 만들어낸 인조의 산물인데 말이다.

금오산의 '길재굴'야은 길재 선생이 숨어 지냈다는 굴. 금오산 중턱 가파른 절벽 사이에 있다. ⓒ 정만진


굴에서 내다보는 구미 일대의 경치는 정말 장관이다. 찾아온 사람들은 카메라를 들고 진중하게, 또 어떤 이는 휴대폰으로라도 풍치를 담느라 여념이 없다. 시내 쪽을 바라보면 시가지와 너른 선산 평야가 한눈에 들어오고, 금오산 정상 방면을 쳐다보면 대혜폭포와 악산의 정상이 눈을 찌른다. 그뿐인가. 굴 왼쪽은 깎아지른 듯한 수십 길 낭떠러지가 보는 이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 이런 풍치를 두고 사람들은 흔히 '장관'이라 할 것이다.

금오산 대혜폭포이 물줄기가 흘러 구미 일대 평야의 들판을 기름지게 한다. 그래서 이 폭포에는 '큰 은혜를 주는 폭포'라는 뜻의 '대혜폭포'라는 이름이 붙었다. ⓒ 정만진


굴 들머리에 있는 대혜폭포도 1000m가 채 안 되는 산에 있는 것으로는 기대를 훨씬 뛰어넘는 위용을 자랑한다. 방문한 날이 겨울 끄트머리라 꽁꽁 얼어붙은 빙벽을 보여주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삼단 같은 낙수를 보여주지도 못해 사뭇 아쉬움이 남지만, 한 여름 물이 많을 때나 눈 내린 겨울날에 찾아오면 차마 말로는 그 아름다움을 두루 나타낼 수 없는 눈부신 경관을 감상하게 되리라.

채미정조선 영조 때 건물이다. 금오산 입구에 있다. ⓒ 정만진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 데 없다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길재 선생이 남긴 이른바 '회고가'이다. 나라는 망하고, 그러나 산천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는데, 그 많던 충신들은 모두 어디로 사라졌는지 '인걸은 간 데 없다'는 탄식이다. 새로운 권력 앞에 납작 엎드린 인간 군상들의 얄팍한 처세술을 지켜보며, 쓸쓸히 숨어지낼 곳을 찾아떠난 길재 선생의 심정이 고스란히 담긴 고시조의 절창이다. 그 후 선생은 나물을 뜯어먹으며 숨어지낼 곳을 찾아 금오산으로 들어왔으니 그가 은거한 곳에 세워진 정자의 이름은 당연히 '채미정'이 되었다.

길재의 회고가채미정 입구에 있다. ⓒ 정만진


구미를 대표하는 관광지가 금오산 길재 선생 유적과 박정희 생가라는 사실이 자못 흥미롭다. 한 사람은 새로운 권력에 맞서 타협을 거부하고 산으로 들어간 야인이고, 다른 한 사람은 권력을 잡기 위해 서울로 진격한 군인이다. 두 사람의 이력은 정말 완벽하게 모순 관계를 보여준다. 하루에 두 사람의 유적을 한꺼번에 둘러보는 이 마음, 어쩐지 쓸쓸하고 애잔하다. 정녕 어떻게 사는 것이 인간다운 삶의 길일까. 하지만 길재 굴을 찾은 아이의 얼굴과 박정희 생가를 방문한 노인의 표정에는 아무런 해답도 쓰여있지 않았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