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사진] 공사로 몸살 앓는 한강

등록|2011.06.18 17:30 수정|2011.06.18 17:30

잠실철교남단 아래작은 섬(?)과 공원을 만드느 공사가 몇 달째 이어지고 있다. ⓒ 김민수


토건사업공사없는 날이 단 하루도 없는 것 같다. 공원을 조성하는 것도 좋은 일이지만, 그냥 두었어도 그리 나쁠 일이 없었다. 인력을 동원해서 할 수도 있는 일이지만, 그냥 굴착기 한 대로 해치운다. 이런 일들을 통해서도 일자리 창출을 할 수 있을 터인데. ⓒ 김민수


▲ '깨끗하고 안전한 서울의 수돗물 아리수'라 적혀 있는 잠실철교 북단 간판 ⓒ 김민수


공사장주변공사장 주변에는 사용하고 남은 것들이 쓰레기처럼 뒹굴고 있다. ⓒ 김민수


경계(?)과연 저것으로 경계가 지어질 수 있을까? 이쪽이나 저쪽이나 거기서 거기다. 물 위에는 쓰레기와 부유물과 공사차량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는 기름이 둥둥 떠있다. ⓒ 김민수


한강공사차량에서 나온 기름으로 보인다. 아무튼 물과 기름으로 뒤엉킨 한강, 그런데 문제는 그 물에서 살고있는 물고기들이 있다는 것이다. 물고기가 살 수 있는 깨끗한 물이라고 할런지도 모르겠다. 이것이 한강르네상스인가? ⓒ 김민수


잉어저 더러운 한강물에 갇혀버린 잉어들, 산란을 위해 그나마 수초가 있는 성내천 쪽으로 올라가고 싶어도 물이 적게 흘러 오르지 못한다. 물론, 성내천으로 올라간들 별 수가 없다. 그곳의 물은 더 지저분 하므로.그것이 송파워터웨이다. ⓒ 김민수


한강무엇을 위한 공사인가? 강을 살린다면서 강을 죽이고 있는 대한민국은 오로지 토건세력의 이익을 위해서만 봉사하는 나라인가? ⓒ 김민수


성내천거듭말하지만, 이런 지류를 다스려야 한다. 본류보다 지류를 다스려야 한다. 물깊이만 깊게 하면 저렇게 속수무책으로 지류에서 쏟아져 들어오는 오염물질이 정화된단 말인가? 사진의 둥근 배관 아래쪽으로 썩은 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고 있다. ⓒ 김민수


잠실나루(성내역)에서 내려 잠실철교 방향으로 가면 한강공원이 이어진다. 그곳엔 아주 오래 전부터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그 공사의 그림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다. 작은 섬(?)을 조성하고, 잠실철교에서 엘리베이터로 연결하여 한강 자전거도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바이크족을 배려한 공사인 듯하다.

잠실철교 북단에는 커다란 간판이 두 개 있는데, 하나는 4대강 사업과 관련이 있는 간판이고, 다른 하나는 수돗물 아리수(사진 3)를 선전하는 간판이다. 맑고 깨끗한 물이라고 주장하는 아리수의 근원은 한강, 그 한강의 오늘(6월 18일)은 이랬다.

한강르네상스, 4대강사업으로 온 나라의 강을 헤집어놓는 대한민국은 가히 토건공화국이다. 그 현실은 이와같지만, 여전히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한다. 비가 오면 비가와서 그렇다하고, 가물면 가물어서 그렇다고 한다. 

강을 가만 둬라.
그들이 순리대로 흐르게 하는 것이 그들을 살리고, 우리가 사는 길이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