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친환경 고구마로 이어붙인 삐뚤빼뚤 '85'

<85개의 85> 릴레이 프로젝트 _ #004

등록|2011.10.17 16:12 수정|2011.10.18 17:54
'희망버스'는 오늘의 한국사회가 처한 노동의 위기를 보여주는 동시에, 토론과 행동, 좌절과 극복의 몸짓이 어떠해야 하는지 우리에게 질문하고 있습니다. <희망버스>를 탔건 안탔건 1%의 탐욕이 강요하고 있는 '불안한 노동'의 세계에 99%의 우리가 살고 있음을 아무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노동이 삶을 가꾸는 게 아니라, 삶을 파괴하는 지경에 이른 오늘 우리는 낯설지 않게 '해고노동자의 죽음'을 접합니다. 어느 '알바생'의 마지막을 목격합니다. 생각하면 85는 김진숙 씨가 버티고 선 한진중공업 85호 크레인에만 있는 게 아닙니다. '숨은 85찾기 게임'을 제안합니다. '없었던 85만들기 게임'을 제안합니다. 85는 숫자에 불과하지만, 어느새 85는 그냥 85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의 85는 무엇입니까. - <85개의 85> 프로젝트 기획팀

고구마 8585는 아이들에게 딱히 의미있는 숫자는 아니지만, 아이들이 자라 책임져야 할 삶의 무게와 환경을 무겁게 반영하고 있다. ⓒ 정택용


경북 안동 온혜리에 친환경학교급식 농촌체험하러 온 아이들이 고구마를 캤습니다. 그 고구마로 '85' 숫자를 만들고 있으려니 아이들이 몰려들어 자기들이 숫자를 꾸미고 있습니다.

아이들한테 '85'의 의미를 설명할 필요는 없었습니다. 순수한 마음들은 아무 의문도 없이 이 작업에 함께합니다.

_ 정택용


<참여방법>
1. 여러분 주변에 어떤 85가 있는지 살펴주십시오. 관찰한 85도 좋고, 만들어낸 85도 좋습니다.
2. 사진을 찍고(휴대전화로 찍은 것도 무방), 짧은(길어도 무방) 글과 함께 85archive@gmail.com 으로 보내주세요.
3. 85개의 85프로젝트 블로그 http://85archive.tistory.com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블로그에 댓글로 아이디어를 남겨주셔도 좋습니다.
4. 이 아카이브는 배타적 저작권을 주장하지 않습니다. 얼마든지 퍼가셔도 좋고, 나눠주셔도 됩니다. 블로그에서 마음에 드는 작업을 발견하시거든, 트위터 등으로 나눠주시고, 더 많은 분들의 참여를 독려해 주십시오.

* http://85archive.tistory.com에서 고해상 이미지를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