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의인성 CJD 환자 또 나왔다... 88년 뇌수술

등록|2011.12.08 10:11 수정|2011.12.08 10:54
(서울=신호경 기자) 수술 과정에서 뇌에 구멍이 뚫리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의인성(醫因性) CJD 환자가 또 발견됐다.

지난 7월 감각장애와 정신이상, 운동장애 등의 증상을 보이다 숨진 54세 여성 이후 두 번째 사례다.

이번 두 번째 환자에서 주목할 대목은 감염 추정 시점이다.

8일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에 따르면, 이 48세 남성의 병력을 조사한 결과 1988년 5월 외상에 따른 뇌실질 출혈로 수술을 받을 당시 뇌경막 대용제인 독일산 '라이오듀라(Lyodura)'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첫 번째 의인성 CJD(iCJD) 환자가 발견되고, 그 원인으로 경막 대용제로 사용된 라이오듀라가 지목되자 보건당국은 독일 비 브라운(B Braun)사가 사람의 경막을 원료로 만든 이 제품이 1987년 이후 제조 및 판매가 중단된 상태라는 점을 강조했었다.

첫 번째 환자는 1987년 뇌 수술 당시 라이오듀라를 사용,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후 생산이 중단됐기 때문에 이후 비슷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안심할 수 있다는 취지의 설명이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역시 "1998년부터 동물(소·돼지) 유래 조직이나 합성고분자 물질로 만든 제품만을 안전·유효성 심사를 거쳐 경막 대용제로 허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두 번째 iCJD 추정 환자의 경막 수술 시점이 1987년 이후인 1988년으로 확인됨에 따라 보건 당국의 이 같은 설명은 상당 부분 신뢰를 잃게 됐다.

실제로 라이오듀라 제조·판매가 중단된 1987년 이전의 경우 국내에서 이 제품에 대한 유통 관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얼마나 많은 라이오듀라가 수입돼 사용됐는지 통계나 기록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1987년 생산이 중단됐다 하더라도 그 이전에 생산된 물량이 1987년 이후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식약청 관계자는 "1998년 식약청 설립 이후 이 제품을 허가한 바 없으나, 그 전에 민간에서 이 제품이 얼마나 쓰였는지에 대해서는 공식 자료가 없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관련 기록과 자료를 파악해 보겠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앞으로 질병관리본부 등 보건당국의 역학조사 과정에서 비슷한 경로를 통한 iCJD 감염 사례가 추가로 확인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